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가 새로운 어휘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on learning of new vocabulary concept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orking memory has not been dealt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on learning of new vocabulary concept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orking memory has not been dealt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though it has been regarded as related to the fluency in speaking Korean. It is intended in this study to look over how the manner of language learning shifts depending on the learner's individual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type of the statement for vocabulary concepts, using the literal statement and analogical statement, as it has been turned out in advanced research results that learning of new scientific concept by using analogy is effective.
The major issue of this study is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 o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type of the statement for vocabulary concepts will make significant effect to the Korean learner's learning of new word concept or not. For this study, three study hypotheses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greater working memory capacities would get higher scores in the examination for vocabulary concept learning than the group with lower working memory capacities would.
Second, the vocabulary concept learning would show different mann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tate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Third, the group given the analogical statements among the learners with bigger working memory capacities would reveal the biggest effect.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objectives of the experiment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orking memory capacity under the constant criteria after the reading span task, measurement of the working memory capacity of the objectives.
The objectives in only higher and lower groups were selected to perform the assessment of vocabulary concept learning. These two groups, then, were again divided into four to be assessed in vocabulary concept learning after learning vocabulary using the literal statements and analogical statements.
The experiment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group and the lower group in working memory capaci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the statement of vocabulary concept, however, didn't reveal statistical significancy.
It is important tha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new vocabulary learning with the topic of working memory capacity was looked over first in Korean education history an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pplied to education field sites in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가 한국어 학습자의 새로어휘 개념학습미치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작업 기억은 언어의 유창성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가 한국어 학습자의 새로어휘 개념학습에 미치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작업 기억은 언어의 유창성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아직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개념학습의 한 방법으로 유추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새로운 과학 개념을 학습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이 밝혀졌으므로,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새로운 어휘의 개념을 제공할 때 단순 기술과 유추적 기술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작업 기억 용량과 어휘 개념 기술문 유형에 따라서 어휘 학습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와 어휘 학습 자료의 기술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새로운 어휘의 개념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작업 기억 용량이 큰 집단이 작은 집단에 비하여 어휘 개념학습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을 것이다. 둘째, 학습 자료의 기술 유형에 따라 어휘 개념학습은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셋째, 작업 기억 용량이 큰 학습자 중에서 유추 기술문을 제공받은 집단이 개념의 학습 효과가 가장 높을 것이다.
연구 가설의 확인을 위하여 먼저 읽기폭 과제를 통하여 실험 참여자들의 작업 기억 용량을 측정한 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크기별로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실험 참여자들만을 어휘 개념학습 평가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두 집단을 다시 둘로 나누어 총 네 개의 집단에 어휘 학습을 위한 단순 기술문과 유추 기술문을 각각 제공하였고 이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자료의 분석 결과를 보면 작업 기억 용량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 어휘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어휘 개념 기술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는 한국어 학습자의 새로운 어휘 개념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최초로 작업 기억 용량을 주제로 하여 작업 기억 용량의 개인차와 새로운 어휘 학습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연구 결과를 향후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