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아랍어 번역의 결속구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aspects of cohesive devices such as reference, reiteration and conjunction used in the two literary genres of internet news articles and novels. A contras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regarding the way coh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aspects of cohesive devices such as reference, reiteration and conjunction used in the two literary genres of internet news articles and novels. A contras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regarding the way cohesive devices are used in Korean texts (source text), Arabic texts (target text), which are translated from Korean and non-translated Arabic texts, respectively.
The motivation for this research arose from difficulties translators face during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 selecting appropriate references and reiteration for indicating the participants and the entities, and determining the most appropriate conjunction in the light of either accuracy or naturalness in translations of Korean texts into Arabic. This also delved in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are specific prefered cohesive devices according to language and text-typ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 first and foremost, i) offered a description of the linguistic traits of Korean and Arabic; ⅱ) analyzed cohesion aspects of translation based on the systematic functional model by Halliday and Hasan, text linguistics and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Wit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research is aimed at looking into how ‘explicitation’ and ‘normalization’ (or conservatism) were activated from Korean STs into Arabic TTs by shifts and changes of cohesive devices. This applied as analysis tools ‘explicitation’ which is a universal strategy used for the process of translation by Bulum-Kulka’s hypothesis and ‘normalization’ which is a tendency to exaggerate features of the target language and to conform to its typical patterns.
In view of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and aspects of cohesive devices in both genres of news and novels, reiteration has the highest frequency in translated Arabic news articles, on the contrary the frequency of reference is the highest in translated Arabic novels. In translated Arabic texts, the frequency of the reiteration decreased. This is due to Korean texts favoring a high level of nominal repetition, while Arabic texts prefer to make considerable use of pronominal reference. In terms of translation, this is the result of a translator’s decision to sacrifice acceptability for the sake of adequacy by source language-oriented consid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Arabic specific pronominal reference (ذَلِكَ) decreased in litery texts, while it was a predominant divice in translated Arabic news text. Also, the frequency of reiteration of the same word was high in Arabic translated literary texts and it is assumed by the result of interference of source texts.
Regarding explicitation and normalization as universal strategi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iffered according to the text type. In Arabic news translation, an Arabic specific pronominal reference (ذَلِكَ) and conjunction which doesn’t exist in the original text are added, and the ambiguous reference in the original text replaced by announcing it in translation so increased the level of explicitation. Adversely, in Arabic literary translated texts, personal referent which are omitted in the original text are announced by repeating nouns or shifting the repetition of similar words into the repetition of same words. Thus levels of explicitness became high.
Relating to normalization in news translations, the reiteration by the same word is shifted to the same meaning expressions, so the tendancy of Arabic translated news text which prefer various expressions was exaggerated. As for the conjuctive device, a trait arose that tempral conjuctions changed into additive conjunctions. However, participants in literary texts are remarked in the way of shifting nominal reiteration to pronominal reference and also are remarked in the way of causal conjuctions change into the additive conjuctions in the translation text.

연구는 뉴스와 소설의 양 장르에 사용된 지시, 반복 및 접속과 같은 결속구조 장치의 빈도와 양상 고찰을 목적으로 한국어 원문(출발어), 아랍번역문(목표어), 아랍어 텍스트에 각각 사...

연구는 뉴스와 소설의 양 장르에 사용된 지시, 반복 및 접속과 같은 결속구조 장치의 빈도와 양상 고찰을 목적으로 한국어 원문(출발어), 아랍어 번역문(목표어), 아랍어 텍스트에 각각 사용된 결속구조 장치들을 비교, 연구하였다.
본 고는 한국어-아랍어 번역에서 번역사들이 텍스트 주제어와 인물을 지칭함에 있어 적절한 지시장치와 반복장치를 선택하고 적합한 접속어를 결정할 때 정확성을 우위에 둘지 혹은 자연스러움을 우위에 둘지 선택의 어려움에 직면한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장르와 언어에 따라서 선호되는 특정한 결속구조 장치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질문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먼저 한국어와 아랍어의 언어적 특징을 기술하고, 할리데이와 하산의 체계기능주의 모델과, 텍스트 언어학, 코퍼스 기반 언어학에 기반하여 번역과정에 나타난 결속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결속구조 전환에 의한 ‘명시화’와 ‘표준화(관습화)’ 경향이 한국어 원문과 아랍어 번역문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고에서는 쇼샤나 불룸쿨카의 가설에 입각한 번역의 보편적 전략인 ‘명시화’와 목표어의 전형적 유형을 따르고 목표어를 과장하는 경향인 ‘표준화’의 관점에서 결속구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뉴스와 소설 양 장르에 대해 결속구조 장치의 빈도와 양상을 분석한 결과, 뉴스 텍스트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결속구조는 반복장치였다. 반면에 문학 텍스트에서는 지시장치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원문에 비해 아랍어 번역문에서 반복 장치의 발생 빈도가 감소했는데 이는 한국어가 명사반복을 선호하고 아랍어는 지시어를 선호하는 언어적 특성에 기인한다. 그리고 번역적 측면에서 보면 이것은 충분성(adequacy)을 희생하고 목표어를 지향함으로써 수용성(acceptability)을 확보하려는 번역사의 선택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문학 번역문에서는 뉴스 번역문의 주요 장치인 지시어 ذَلِكَ (그것)의 사용이 감소하고 동일어휘 반복의 사용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원문의 간섭현상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의 보편적 전략인 명시화, 표준화와 관련해서도 텍스트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얻었다. 아랍어 뉴스번역문의 경우 원문에 없는 아랍어의 특징적 지시어 ذَلِكَ (그것)가 첨가되었고, 원문에 없는 접속어가 번역문에 첨가되었으며, 원문에 모호한 주제어 지칭이 번역문에서 명시되는 방식으로 명시성이 강화되었다. 반면에 아랍어 문학번역문에서는 원문에 생략된 인물지칭이 명사반복으로 명시되었거나 상이어휘 반복에서 동일어휘 반복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명시성의 수준이 높아졌다.
한편 표준화와 관련하여 뉴스번역문에서는 동일어휘 반복이 동의어 표현으로 전환되어 주제어 지칭에서 다양한 표현을 선호하는 아랍어 뉴스텍스트의 경향이 과장되었다. 또한 접속 장치에서 시간관계 연결이
번역문에서 부가관계 연결로 전환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문학텍스트에서는 인물지칭이 명사반복에서 지시어로 전환되고 인과관계 접속이 번역문에서 부가관계 접속어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표준화 경향이 나타났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