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use of predicates appearing in the written work of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language use of users of the Korean language has concentrated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use of predicates appearing in the written work of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language use of users of the Korean language has concentrated on classifying errors by type and analyzing the causes of the errors. This research therefore attempts to examine aspects of the overall use of predicates without being limited simply to the errors made by the learner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teaching predicat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fields and to help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use of predicates by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collected samples of written work from Chinese learners and divided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use of predicates into the lexical aspect and grammatical aspect, and also analyzed morphemic combined numbers. The results of examining morphemic combined number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use of morphemes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en Chinese learners wrote in Korean, they used grammatical morphemes combined restrictedly in predicates in Korean. They also us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they thought they already knew, demonstrating a tendency to use them without properly knowing their usage.
The usage aspects appearing in the lexical aspect of predicate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the use of Sino-Korean words, Chinese-style expressions, and combined words. The Chinese learners showed a tendency to use Sino-Korean words indiscreetly as well as a tendency to use them by applying expressions appearing in the Chinese language to the Korean language.
The usage aspects appearing in the grammatical aspect of predicate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concluding ending, pre-final ending, and auxiliary predicates. Chinese learners used formal styles mixed with informal styles and also mixed final endings that represent relative honorifics in the same piece of writing. They did not conjugate verbs and adjectives properly and omitted the pre-final ending ‘-시-’ that represents the main agent honorific and ‘-었-’ that represents the past tense. They also demonstrated the tendency of being unable to use auxiliary predicates diversely but of using them restrictedly.
This study examined features of the overall use of predica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language but which Chinese learners find difficult and frequently use erroneousl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minimizing difficulties for Chinese learners in using the predicates of the Korean language effectively in writing and communication.
이 연구에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서술어 사용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의 대부...
이 연구에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서술어 사용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이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서술어 사용에 대한 특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생산한 오류에만 국한하지 않고 전반적인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서술어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 아울러 중국인 학습자들의 서술어 사용의 정확성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서술어 사용 양상을 어휘적 측면과 문법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서술어에 나타난 형태소 결합수 분석하였다.
서술어의 형태소 결합수를 살펴본 결과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의 형태소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글을 쓸 때 한국어의 서술어에 문법형태소를 제한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자신이 이해하고 인식된 문법형태소를 사용하였으며 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사용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서술어의 어휘적 측면에 나타나는 사용 양상은 한자어의 사용, 중국어식 표현, 연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에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자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표현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서술어의 문법적 측면에 나타나는 사용 양상은 종결어미와 선어말어미, 보조용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 편의 글에서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혼용하였으며 상대높임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를 혼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 동사와 형용사의 활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주체높임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시-’와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었-’을 누락시켜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보조용언을 다양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제한된 보조용언만을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고 잦은 오류를 나타내는 서술어의 전반적인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서술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 난점을 최소화하고 글을 쓰거나 의사소통을 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