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9세 성인에서 한국판 아침형-저녁형 설문(MEQ-K)의 표준화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BACKGROUNDS Morningness-Eveningness (ME) can be defined by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diurnal preference observed from general behavioral pattern including sleep habits. In addition to sleep-wake patterns, various physiological rhythms such as body...

BACKGROUNDS
Morningness-Eveningness (ME) can be defined by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diurnal preference observed from general behavioral pattern including sleep habits. In addition to sleep-wake patterns, various physiological rhythms such as body temperature and melatonin rhythms usually reveal their differences between the ME types. Although Horne & Östberg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MEQ) has been generally applied for classifying the ME types, this was not properly standardized into Korean version. Therefore, we ai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EQ (MEQ-K).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Q-K by comparing the sleep-wake rhythms measured by the actigraphy (ACT), and to compare the sleep-wake patterns between the ME types.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Sleep-Wake Questionnaire (SWQ-K) including the MEQ-K was administered to subjects aged 18 years or older from May, 2010 until February, 2012. We examin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19 items of MEQ-K in 91 subjects, and its test–retest reliability at 4 weeks apart in 21 subjects. The standard scores of the MEQ were used to categorize 1022 subjects aged 20 to 39 years as morning type (MT), neither type (NT), and evening type (ET). After excluding those who had clinical conditions affecting their sleep, the ACT data (Actiwatch-2, Philips-Respironics Co. USA) for 7 days were finally collected in 15 MT (age: 33.3±6.1), 15 NT (age: 31.0±7.5), and 16 ET (age: 29.1±7.2) subjects. Cosinor analyses on ACT data were done to obtain the acrophase and amplitude of sleep-wake rhythm.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se variables between MT, NT and ET groups, and the correlations of these with sleep-wake habits from SWQ-K and sleep parameters measured by ACT.


RESULTS
(1)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otal score of MEQ-K was 0.77, indicating a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0 (p<.0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s of MEQ-K between the 1st and 2nd tests. Two factors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ccounted for 29.9% of total variance, which is slightly higher compared to a previous study (27.1%).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acrophase between the MT, NT and ET groups (p<.01), and the acrophas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Q-K scores (r=-.56, p<.01).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dtime and wake time (work and free days), and sleep duration (free day), and sleep efficiency between the MT, NT and ET groups (p<.01). (4) The acrophases in total subjec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ke time of free and work days(r=.60, .73), sleep duration of free and work days(r=.37, .37), sleep latency of work day(r=.31) and sleep need (r=.40). And the amplitud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leep efficiency (r=.49),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ime in bed, total sleep time, sleep latency, and fragmentation index (r=-.50, -.30, -.60, -.44, respectively).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EQ-K were show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rophases of sleep-wake rhythm between the ME types. And the amplitudes in three typ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sleep quality. The bedtime and wake time in ET subjects were robustly delayed than those of MT subjects, and sleep durations of free days in ET subjects were longer compared to MT subjects. The acrophas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bedtime, but with the wake time. Finally, the validity of MEQ-K was verified by illustrating the difference in acrophases of the sleep-wake rhythm between the ME types.

연구배경 아침형-저녁형(Morningness-Eveningness, ME)이란 수면습관을 포함한 행동습관 전반에서 관찰되는 선호하는 활동 시간대의 개인차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E 유형은 수면각성습관...

연구배경
아침형-저녁형(Morningness-Eveningness, ME)이란 수면습관을 포함한 행동습관 전반에서 관찰되는 선호하는 활동 시간대의 개인차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E 유형은 수면각성습관의 차이뿐 아니라 체온이나 멜라토닌 등 다양한 생리학적 리듬에서도 그 차이를 보여준다. ME유형의 분류를 위한 MEQ (Morningness- Eveningness Questionnaire)는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MEQ의 국내 표준화 연구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MEQ-K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성인에서 액티그라프(actigraphy, ACT)에 의한 ME유형간 수면각성리듬의 차이를 통해 MEQ-K의 타당도를 검증함과 동시에 수면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2년 2월까지 Korean version of Morningness- Eveningness Questionnaire(MEQ-K)가 포함된 한국어판 Sleep-Wake Questionnaire (SWQ-K)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91명에서 MEQ-K의 내적 문항 일치도와 21명에서 4주 후 실시한 재검사에 대한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20세에서 39세의 1022명의 자료가 이용되었고 ME분류 기준에 따라, 아침형(morning type, MT), 저녁형(evening type, ET), 중간형(neither type, NT)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였다.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적 상태를 배제기준으로 적용하였고, ACT실시 대상자를 선발하였다(MT 15명, 33.3±6.1세; NT 15명, 31.0±7.5세; ET 16명, 29.1±7.2세). 7일간의 ACT자료(Actiwatch-2, Philips-Respironics Co. USA)에서 cosinor 분석법을 통해 수면각성리듬의 정점시각과 진폭을 계산하였다. ME유형간 ACT의 정점시각과 진폭의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이들 변인들에 대해 SWQ-K의 수면-각성습관 및 ACT로 측정된 수면지표들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1) MEQ-K의 내적 일치도는 .77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재검사에 대한 집단내 평균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총점수의 집단내 상관계수는 .90 (p<.0001)으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추출된 2요인의 총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29.9%로 기존연구의 27.1% 보다 약간 높았다. (2) ME유형간 정점시각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1), 전체 대상자에서 정점시각은 MEQ-K점수와 유의한 역 상관성(r=-.56, p<.01)을 보였다. (3) ME유형간 취침 및 기상시각(휴일/근무일), 수면시간(휴일), ACT로 측정된 수면효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4) 전체 대상자에서 정점시각은 기상시각 및 수면시간 (휴일/근무일) (r=.60, .73 ; r=.37, .37), 입면시간(근무일) (r=.31), 수면욕구 등과 유의한 상관성(r=.40)을 보였고, 진폭은 ACT로 측정된 수면효율과 유의한 상관성(r=.49), 잠자리에 머문 시간, 총 수면시간, 입면시간 및 분절지수 등과 유의한 역 상관성(각각의 r=-.50, -.30, -.60, -.44)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ME유형간 수면각성리듬에 있어, 그 위상의 차이가 뚜렷하였고 진폭의 변화는 수면의 질적 상태를 반영하는 변인들과 연관되었다. 한편 ET의 취침 및 기상시각은 MT에 비해 뚜렷하게 지연되었고 휴일수면시간의 연장이 뚜렷하였다. 이와 함께 정점시각은 기상시각과의 연관성은 보였으나 취침시각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ACT로 측정된 정점시각에서 ME유형간 그 위상의 차이를 통해, ME유형의 분류를 위한 MEQ-K가 타당한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