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Understanding learner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learner strategies and planning appropriate language instruction; however, to date there has been no examination of these beliefs in Korean education. The primary aim ...

Understanding learner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learner strategies and planning appropriate language instruction; however, to date there has been no examination of these beliefs in Korean education.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 a Korean language institute. It investigated general beliefs of learners and teachers, and within-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s of learners' and teachers' beliefs. A total of 193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 questionnaire, a modified version of Horwitz'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 including 163 foreign students in Korean language courses and 30 Korean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 Kyung Hee University.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ies, one 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and for answers to open-ended questions, MS Office Excel was used.
Students' beliefs were examined in five areas: (1) The difficulty of language learning, (2) foreign language aptitude, (3) the nature of language learning, (4) learning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5) motivation and expectations. Except (5), which was not applicable to teachers, the results of teachers' beliefs and the inter-group differences of learners and teachers were investigated in the identical a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ents' beliefs were found related to variables such as nationality (native language), educational background, the length of stay in Korea, the length of Korean study, and the level of Korean. Teachers' beliefs, on the other hand, were mostly consistent but a few incongruent beliefs were found. Most remarkable was that the teachers without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have stronger beliefs in the importance of learning vocabulary than those who have experience with foreign language.
Results from the inter-group differences demonstrated that many students have stronger beliefs about accuracy, studying grammar and vocabulary, and repetitive practice, which may hinder their progress and persistence in the communicative language classroom.
The findings suggest that more interest and awareness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sector will be necessary for further research in finding effective applications.
The final part of this discussed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concluded by suggesting new directions (some questions to consider) for future research.

학습자 전략을 이해하고 적절한 언어 교수를 계획하는 데 있어 언어 학습 신념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 학습 신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학습자 전략을 이해하고 적절한 언어 교수를 계획하는 데 있어 언어 학습 신념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 학습 신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을 알아보는 데 주목적이 있다. 학습자와 교사의 전반적인 언어 학습 신념을 알아보고, 학습자 집단과 교사 집단의 각 집단 내 특성별 차이와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다. 한국어 학습자 163명과 한국어 교사 30명을 포함한 총 19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Horwitz의 BALLI(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를 수정한 설문지가 연구 도구로 쓰였다. 연구 자료는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개방형 문항에 대한 응답은 MS Office Excel을 사용하여 취합, 분석하였다.
학습자 신념은 다섯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언어 학습의 어려움, (2) 외국어 적성, (3) 언어 학습의 본질, (4)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 (5) 동기와 기대감.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과 학습자와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어서는 교사에게 해당되는 않는 (5)번 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언어 학습 신념은 국적(모국어), 최종학력, 한국 체류기간,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어 수준과 같은 학습자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의 경우는 교사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 신념은 많지 않았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외국어 학습 경험이 없는 교사 집단이 외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교사 집단에 비해 어휘 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다.
학습자와 교사의 언어 학습 신념을 살펴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교사들에 비해 정확성, 문법과 어휘학습, 반복연습에 강한 신념을 나타내었고, 이는 의사소통적 언어 교실에서 학습자의 학습 진전과 지속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 연구 분야에서 보다 많은 관심과 의식을 가지고 효율적 적용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본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교육적 함의ㄹ를 논하고 후속 연구에서 다루어져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