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전반적인 교육 환경이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전반적인 교육 환경이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어교육 분야에도 적용된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는 더 이상 한국어로 된 문자를 읽어서만 한국어를 이해하기보다, 한국어로 이루어져 있거나 한국어와 관련된 소리 및 영상 매체를 통해 한국어를 이해해야 할 상황을 자주 접하게 되었다.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이와 같은 상황을 잘 표현하고 있는 교육도구이자 매체이다.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현재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난이도의 분포도는 어떠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웹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 모바일 앱 및 소셜 미디어 콘텐츠 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1차 목적은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의 제작 및 이용 현황을 정리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계 자료를 통해 iOS 기반의 앱스토어, 팟캐스트, 페이스북 페이지, 유튜브 채널을 연구 대상의 주요 범주로 설정하였다. 그 후 스마트폰과 데스크톱을 이용해 앱스토어와 소셜 미디어 각각의 플랫폼 검색창에서 ‘Korean', 'Korean language', 'Learn Korean'를 교차 검색을 하여 12개의 모바일 앱과 12개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을 선정한 후 연구 대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콘텐츠의 형태, 내용, 난이도, 상호작용의 범주 안에서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은 오디오와 화면 기능을 이용한 콘텐츠가 대부분이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쓰기 학습을 제공하거나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발음 학습을 제공하는 콘텐츠가 발견되었다. 한국어교육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각각의 플랫폼에 따라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다르다. 초급 수준의 어휘와 문장을 다루는 콘텐츠가 연구 대상의 다수를 차지했다.
둘째,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난이도는 초급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이에 접근하는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를 고려한 결과이며, 또한 불특정 다수가 콘텐츠 제작에 참여한 결과이다.
셋째, 웹기반의 한국어교육 콘텐츠에 비해 모바일 앱 콘텐츠는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언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및 쓰기 네 가지 영역을 고루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플랫폼의 성격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이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과 실시간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이 활발히 일어난다는 점, 이용자들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웹기반의 한국어교육 콘텐츠와의 차이점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 모바일 앱과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효과적인 발전을 위해 콘텐츠 제공자의 전문성 확보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자들과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용도 조사와 요구 분석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acknowledge the use and analyze the exemplary cases of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 environment is gradually enhancing to self-lead and willful education from the 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acknowledge the use and analyze the exemplary cases of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 environment is gradually enhancing to self-lead and willful education from the students, which is also applied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studies. An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tudents no longer simply reads and understands from Korean lecture, but also gain closer contact to the language through visual media that contains the Korean language or even relating sound;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association in order to learn the language as well.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contents are tools and mediums that clearly express the current state.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have been set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e the affect of its role.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app and social media contents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currently utilize the most and what are the types provided?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distribution chart like and what are its reas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contents' level of difficulty?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b based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contents?
The primary goal to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organiz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and its development. For this, the iOS based App Store, Podcast, Facebook page, and the Youtube Channel have been selected as the main categories for the analysis. And 12 mobile apps and 12 social media contents had been chosen through the intersecting searches of words such as 'Korean', 'Korean Language', and 'Learn Korean' on the search engine of each platforms of smart phones and desktops, in the App store and social media. After having chosen the research targets, specific evaluation categories have been set for the analysis such as the contents' form, structure, level of difficulty, and interac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the Korean language mobile app usually contains audio and visual features with the general use of the touch screen in order to practice the writing or the integrated recorder to practice the pronunciations. The social media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ach has different multimedia features per platform. Most of the contents that were reviewed during the research, targeted language learning beginners and covered basic vocabulary and phrases.
Secondl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contents did not exceed over the beginners' level of education. The reason to that result is due to the consideration of large number of unspecified user approaches and participation of unspecified participants whom have contributed to the contents development.
Thirdly, the mobile app contents provide more of varied features than the web 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where the user can utilize the repeat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parts of the education program all at once. And the social media contents, alter according to the platform's characteristic but provide an easy access to the users and also act as a real time communicator and interaction tool that connects the users for active use. The users find convenient that they can receive instant feedbacks as well, which these are the core differences from the web 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Lastly, this research and analysis suggest the need for professional and expert knowledge of the content developers in order to acquire great enhancement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apps and social media contents' effective evolution and survey information on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that applying contents.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