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mmar pattern “-(으)ㄹ게” and “-(으)ㄹ래” translates into the same word in Chinese and thus interfere whe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thesis observes how Chinese learners of the... Grammar pattern “-(으)ㄹ게” and “-(으)ㄹ래” translates into the same word in Chinese and thus interfere whe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thesis observes how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use “-(으)ㄹ게” and “-(으)ㄹ래” and how their use of “-(으)ㄹ게” and “-(으)ㄹ래” is varied based on their proficiency level of Korean. Many Chinese learners of Korean frequently commit grammatical errors, hence hindering them from mastering the Korean language. Because of Chinese and Korean's uniqu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 certain grammar rule in Korean that means one thing may mean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in Chinese. “-(으) ㄹ게” and “-(으)ㄹ래” is an example of this case. While the two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in Korean, that is not the case in Chinese. Subtle differences like this generate trouble for Chinese people learning Korean. Despite this problem, no research has been made on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 the “-(으)ㄹ게” and “-(으)ㄹ래” pattern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use of those two points based on their proficiency level in Korean; only research on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grammar points and on teaching methods shown in the textbook have been made. Thus, this thesis looks into the general use of “-(으)ㄹ게” and “-(으)ㄹ래”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whether their misuse of the grammar points is based on their mastery of Korean. The first focus of the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mong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understanding “-(으)ㄹ게” and “-(으)ㄹ래”, addresses the two expressions’ semantic and syntactic restriction. The second compar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verage score of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further examining their scores based on the “-(으)ㄹ게” and “-(으)ㄹ래” pattern. After gathering current Chinese learners of Korean of intermediate level (level 3 and 4) and advanced level (level 5 and 6) from Korean educational institutes, I tested their general Korean proficiency level in order to confirm their level. After confirming their respective level, I tested them on how well they use the “-(으)ㄹ게” and “-(으)ㄹ래” pattern through grammatical judgment test. This research was analyzed by statistics program SPSS. The result of test scores on the use of “-(으)ㄹ게” and “-(으)ㄹ래” demonstrates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the experiment, I found that both the intermediate and the advanced level groups scored better on the “-(으)ㄹ게” than they did on the “-(으)ㄹ래.” I also found that the participants understand the expressions’ semantic restriction rather than syntactic restriction. No substantial variance was noted based on participants’ Korean proficiency level, indicating that thei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way the people with different proficiency level used the two grammar patterns. Although “-(으)ㄹ게” and “-(으)ㄹ래” is taught in the beginning level, advanced level students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use the “-(으)ㄹ게” and “-(으)ㄹ래” pattern with not much difference. No improvement in using “-(으)ㄹ게” and “-(으)ㄹ래” when intermediate level learners move up to advanced level conveys that an easier and clearer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으)ㄹ게” and “-(으)ㄹ래” is needed. This thesis is significant because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how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use the “-(으)ㄹ게” and “-(으)ㄹ래” pattern was examined. While their usage of “-(으)ㄹ게” and “-(으)ㄹ래” was thoroughly researched, possibl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o enhance those learners’ Korean skill was not explored. In the future, with the help from my research, I hope to see some research done on professors’ teaching methods regarding this issue.
본 연구는 ‘-(으)ㄹ게’와 ‘-(으)ㄹ래’가 중국어에서는 같은 단어로 번역되기 때문에 모국어 간섭에 의한 한국어 학습 방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 본 연구는 ‘-(으)ㄹ게’와 ‘-(으)ㄹ래’가 중국어에서는 같은 단어로 번역되기 때문에 모국어 간섭에 의한 한국어 학습 방해가 일어날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으)ㄹ게’와 ‘-(으)ㄹ래’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숙달도 변인에 따른 학습자들의 사용 양상 차이를 밝혀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많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함에 있어, 많은 문법 사항에 대한 빈번한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고, 이러한 오류로 인해 한국어 습득에 장애를 겪고 있다. 특히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한국어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문법 표현이 중국어에서는 같은 표현으로 사용되는 등의 차이가 나타나고, 이러한 차이가 특히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 예로 ‘-(으)ㄹ게’와 ‘-(으)ㄹ래’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전혀 다른 표현에 해당하나, 중국어에서는 같은 표현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으)ㄹ게’와 ‘-(으)ㄹ래’의 학습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두 문법 사항의 의미적 차이를 분석하거나, 교재 분석을 통한 교수방안 연구에 치중되어 있을 뿐, 실제 중국인들이 두 문법 사항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거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두 문법 사항의 사용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보이고 있는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으)ㄹ게’와 ‘-(으)ㄹ래’의 전반적인 사용 양상을 살피고, 숙달도 변인에 따라 나타나고 있는 오류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으)ㄹ게’와 ‘-(으)ㄹ래’를 습득하는 데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 ‘-(으)ㄹ게’와 ‘-(으)ㄹ래’, 두 표현의 의미적·통사적인 제약을 교차 분석을 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가 ‘-(으)ㄹ게’와 ‘-(으)ㄹ래’의 사용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 실험 참여자들을 한국어 숙달도 점수에 따라 구분하여 두 집단의 ‘-(으)ㄹ게’와 ‘-(으)ㄹ래’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숙달도 중급(3급과 4급)과 고급(5급과 6급)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숙달도 평가와 ‘-(으)ㄹ게’와 ‘-(으)ㄹ래’에 관한 문법성 판단 시험지를 통해 학습자들의 ‘-(으)ㄹ게’와 ‘-(으)ㄹ래’의 사용 양상을 판단할 수 있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본 실험을 통계 프로그램인 SPS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으)ㄹ게’와 ‘-(으)ㄹ래’를 사용한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문법에 따른 점수에서 ‘-(으)ㄹ게’를 더 잘 습득하였으며, 두 표현의 통사적인 제약을 보이는 문항에 대한 점수에 비해서 두 표현의 의미적인 제약을 보이는 문항에 대한 점수가 더 높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의미적인 제약에 대한 것을 더 잘 습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집단 분류에서 하위권 집단과 상위권 집단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으)ㄹ게’와 ‘-(으)ㄹ래’의 사용 양상에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으)ㄹ게’와 ‘-(으)ㄹ래’가 초급에서 배우는 문법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 역시 중급 학습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사용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자들이 고급이 되어도 ‘-(으)ㄹ게’와 ‘-(으)ㄹ래’의 사용이 중급에 비해 나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좀 더 쉽고 명확하게 ‘-(으)ㄹ게’와 ‘-(으)ㄹ래’의 차이를 설명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의 의지 표현인 ‘-(으)ㄹ게’와 ‘-(으)ㄹ래’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밝힌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지 표현으로서 ‘-(으)ㄹ게’와 ‘-(으)ㄹ래’의 사용 양상만을 살펴보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으)ㄹ게’와 ‘-(으)ㄹ래’의 습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에 맞는 교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 한 점에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수 방안이 제시되기를 바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