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니}와 {-었더니}에 대한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도 및 이해도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연구는 {-더니}와 {-었더니}가 한국인에게 {-더-}의 결합 어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한국인의 발화에도 매우 높은 사용 빈도를 보이는데 반해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다양한 의...

이 연구는 {-더니}와 {-었더니}가 한국인에게 {-더-}의 결합 어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한국인의 발화에도 매우 높은 사용 빈도를 보이는데 반해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다양한 의미 기능과 문법 제약으로 인해 사용 빈도가 낮으며 오류율이 높아 기피문법이라는 평가를 받게 된 원인을 밝혀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법 {-더니}와 {-었더니}에 대해 ‘인지도’와 ‘이해도’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인이 한국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직관적인 이해 정도를 ‘인지도’로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습득한 한국어에 대한 지식 정도를 ‘이해도’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연구 방법은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설문지를 통해 문법항목 {-더니}와 {-었더니}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의 문법과 관련된 문장의 이해도와 문장 안에 제시된 내용의 수용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에 연구 대상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선어말어미 {-더-}의 회상, 서법(알림법), 증거성 표지로서의 기능과 4가지 문장 제약을 살펴보고 {-더니}와 {-었더니}의 순차접속․인과․대조․반응 등의 의미 기능과 {-더니}와 {-었더니}의 증거성, 문장 내 연결 관계에 대한자의 판단과 태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더니}와 {-었더니}에 대한 한국어 문법서의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6종의 한국어 교재의 제시 양상과 함께 문제점을 짚어 보았으며 주요 항목과 의미 기능을 분류하고 6종의 한국어 교재의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가질 수 있는 {-더니}와 {-었더니}에 대한 문법의 성취도와 문법 기술과 연습·과제 등에서의 개선·보완해야 할 부분에 대해 논의 하였다. 또한 6종의 한국어 교재의 제시 양상과 형태를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 {-더니}와 {-었더니}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2장․3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문법과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직관을 바탕으로한 인지도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을 통한 한국어 이해도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설문은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 모두 동일한 설문지로 진행하였다. 또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더니}와 {-었더니}의 교수․학습의 문제점 및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문법 이해의 부족한 부분과 한국인과 학습자 간의 응답 및 응답율의 차이를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 간에 생길 수 있는 오해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점을 지적하여 앞으로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기술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차지하는 문법 교육의 부분에 대하여 {-더니}와 {-었더니}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직관을 바탕으로 한 인지도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을 통한 이해도 간에 차이가 있음을 밝힌 것과 {-더니}와 {-었더니}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수․학습에서 꼭 이루어져야 할 {-더-}의 선학습의 필요성을 지적한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figure out why {-더니} and {-었더니}, of the {-더} compound ending words, are often used in a speech by the natives while Korean learners finds it difficult to use due to its vastly wide range of meaning and function as...

This research attempts to figure out why {-더니} and {-었더니}, of the {-더} compound ending words, are often used in a speech by the natives while Korean learners finds it difficult to use due to its vastly wide range of meaning and function as well as limited grammatical structure that generates error. As to distinguish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we’ll be using the word ‘perceptive’ as an intuitive comprehension of {-더니} and {-었더니} as a native Korean speaker and ‘understanding’ as to indicate the amount of knowledge that a Korean learners archived through learning process. Method is to handout same test sheet to both native Korean and Korean learners, have each group check grammar section with {-더니} and {-었더니}, by analyzing the percentage of how much the both parties understood the whole sentence, grammar, understanding of related sentences to see much they fully comprehend.
Chapter 1 is about purposes and needs for the research as well as to find out which party to proceed the research and how to perform them, after examining reference on advanced studies.
On Chapter 2, we examined suffix {-더-}, which i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our research, and its function as an evidential marker as well as limitation on 4 different sentences. Also we’ve studied {-더니} and {-었더니}’s progressive exposure, cause and effect, comparison and reaction as well as its function. We’ve even look through evidentially and co-interaction, based on speakers reaction and attitude within the sentences, of {-더니} and {-었더니}.
Chapter 3 is a reference on how {-더니} and {-었더니} is introduced on grammatical context and to pin point problems we see in current Korean text book in terms of main subjects and its meanings and functions.
On Chapter 4, based on discussions from chapter 2 and 3, we performed a test using poll sheets with appropriate contains and examples to find out how native Korean speakers perceptive way differs between Korean and Korean learners. For this, same poll sheet was given to both Korean and Korean learner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Furthermore, from analyzing the above mentioned materials, problems on Korean instructional manual of {-더니} and {-었더니} has been mentioned as well.
Chapter 5 is conclusive summery of this research and it points out our limitations up to now as well as to suggest how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bout grammar education, which takes immense importance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how {-더니} and {-었더니} is understood perceptively by native speakers and shows a misunderstanding between non-native Korean learners as well as to point out the need to set a proper guide line to instruct {-더} during instructional period of {-더} and {-었더니}.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