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미각 형용사의 의미와 개념화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연구는 한국미각 형용사를 대상으로 말뭉치 자료에서의 공기 관계와 어휘 연상 실험을 통해 그 의미개념화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연구...

이 연구는 한국미각 형용사를 대상으로 말뭉치 자료에서의 공기 관계와 어휘 연상 실험을 통해 그 의미개념화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이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한국어 기본 미각 형용사인 {달다}, {맵다}, {시다}, {쓰다}, {짜다}의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데 있으며, 연구 대상을 다섯 가지 미각 형용사로 한정한 까닭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또한 보편타당성한 언어 연구를 위해 말뭉치 자료를 이용한 것과 언어 자료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 비가시적인 개념적 구조에 근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단어 연상(word association) 실험을 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 연구와 관련하여 미각 형용사에 관한 앞선 연구는 물론이고 감각 및 감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단어 연상 실험과 관련된 선행 연구도 함께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인지언어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리와 주요 개념 및 연구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먼저 인지언어학의 전제라고 할 수 있는 체험주의(experientialism)적 견해를 비롯하여 개념화의 근간이 되는 원형과 범주화 그리고 언어 이해의 바탕이 되는 인지모형(cognitive model)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의미 연구의 주요 분석 기제인 은유와 환유, 정신공간과 개념적 혼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3장부터 7장까지는 다섯 개의 미각 형용사 각각에 대한 의미 분석과 개념화 양상을 기술했다. 각 미각 형용사의 의미 분석을 위해 먼저 사전 의미를 정리하여 기본의미와 확장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말뭉치 자료에서 공기 관계에 있는 어휘를 추출한 후, 이를 일정한 범주에 따라 분류하여 의미 확장 과정을 논의하였다. 그 다음에는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해 나온 어휘들 가운데 높은 빈도순대로 상위 20항목을 뽑아 말뭉치 자료와 비교하였는데 비교 결과 어휘 목록이 상이할 경우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차이가 나는 어휘들을 따로 분류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는 말뭉치 자료와 연상 어휘가 가진 한계를 상호 보완하면서 각 미각 형용사의 인지 과정과 인지모형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 미각 형용사의 의미와 개념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8장은 이 연구의 결론으로 논의과정을 통해 발견된 사실들을 공기 관계, 의미 확장 양상, 연상 어휘의 의미 범주 등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고 요약․정리하였다.
기존의 의미 연구가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말뭉치 용례를 분석에서 그쳤다면, 본 논문은 한 발 더 나아가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한 연상 어휘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사용자의 인지모형과 개념적 구조를 밝히려고 한 것에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말뭉치 자료의 공기 관계와 단어 연상을 통해 밝혀진 미각 형용사의 개념화 양상은 한국어 학습자가 미각 비유 표현을 이해하고 어휘를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언어 간 비교나 대조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on the meaning and conceptualization of taste adjectives in Korean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s point of view. It is based on co-occurrence words of corpus, and the experiment with word association. In 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on the meaning and conceptualization of taste adjectives in Korean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s point of view. It is based on co-occurrence words of corpus, and the experiment with word association.
In Chapter 1, the purpose, method, objects of this study,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are described.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aste adjectives; {tal-ta}, {mayp-ta}, {si-ta}, {ssu-ta}, {cca-ta} in Korean. In addition, the reason that the objects are restricted to five adjectives is clarified. Furthermore, the corpus materials for universal language study are used and word association is experiment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language materials and approach the invisible conceptual structure. Advance researches related to the word association experiment as well as the taste adjectives, sense, emotion and feeling are examined.
In Chapter 2, the basic principle, main concept and study methods to understand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re described. First of all, experientialistic opinions called the premis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also prototype and categorization on the basis of conceptualization are briefly described. The concept of cognitive model on the foundation of language understanding is also described. In addition, metaphor and metonymy, mental space and conceptual blending which are the main analysis materials of semantic study are discussed.
From Chapter 3 to 7, the semantic analysis and concept aspects for each taste adjectives are described. For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each taste adjective, first, the basic meaning and the extension meaning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dictionary meaning are identified, then, the process of extension meaning after classified words in the certain category related to co-occurrence in the corpus is checked. Through experiment with word association, 20 items occurring in the highest frequency are chosen and compared to corpus data. After the comparison, classified by meaning and sorted out by frequency rate. This study makes up shortcomings of corpus data and word association. It also helps to identify each taste adjectives progress of cognition and cognition model. Each taste adjectives conceptual structure is described based on this findings.
In chapter 8,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revealed factors are compared and summarized by co-occurrence, meaning extension symptom, categorized of meaning word association. Previous studies of meaning is only checked by corpus examples, however, this is a much advanced study which adds analysis for user cognitive model and concept structure by word association experiment. Taste adjectives concept symptom, which is revealed by co-occurrence of corpus data and word association, will be helpful to Korean learner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aste metaphor expression, extend vocabulary, as well as compare or contrast study between word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