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특정 시점이 아닌 일정 기간(1년) 동안,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학습자들이 초급에서 중급에 이르는 각 학습 단계에서 산출한 작문 텍스트를 통해 구문의 발달 혹은 변화를 ...
이 연구는 특정 시점이 아닌 일정 기간(1년) 동안,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학습자들이 초급에서 중급에 이르는 각 학습 단계에서 산출한 작문 텍스트를 통해 구문의 발달 혹은 변화를 양적인 방법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문 발달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도구들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자료 분석에 앞서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구문 능력과 그 발달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도구들과 그 적용에 대해 살펴보고, 본고에서의 적용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론적 배경으로 구문 능력과 구문 능력의 일면을 나타내 주는 통사적 복잡성에 대해 정리하고, 측정 도구 부분에서 방법론적인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의 한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1년간 유급하지 않고, 초급1, 초급2, 중급1, 중급2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이수한 학생의 목록을 출석부를 통해 찾고, 이들이 작성한 작문 텍스트 자료를 구하였다.
문장의 구조 및 길이에 관한 학습 단계별 분석에서는 크게 구조와 관련된 분석과 문장 길이에 대한 분석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주로 문법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었고, 각각은 학습자별, 학습 단계별로 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문 발달 양상과 구문 발달 지표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문 발달 양상에서는 학습 단계의 향상에 따라 단문은 줄고, 복문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며, 평균 절의 수도 학습 단계의 향상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즉, 학습 단계의 향상에 따라 복문은 양적으로도 증가하고, 내부적으로도 복잡성을 더해 간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또한 모든 학생에게서 이전 단계에 비해서 복문의 구조가 크게 복잡해지는 단계가 존재하는데, 그 단계는 학습자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학습 단계가 향상될수록 점점 더 문장의 내포를 통해 문장을 확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그럼에도 여전히 접속을 통한 문장의 확대가 내포를 통한 문장의 확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 단계가 향상될수록 학습자의 문장의 길이는 늘어난다. 이는 단지 많은 단어를 사용해서가 아니라 문장 확대와 관련이 있음을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전반적으로 공통적인 구문 발달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학습 단계에 따른 분석 단위의 증가 비율이 다르며, 동일한 결과에 대해서도 다른 원인을 나타내는 등 개별 학습자들의 구문 발달은 학습자마다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문 발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느 것이 구문 발달의 지표로 쓰일 수 있는 도구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복문의 비율’, ‘평균 절의 수’, ‘성분절의 비율’, ‘문장의 길이’인데, 이들은 학습 단계의 향상에 따라 그 수치가 증가하고, 그 증가가 구문의 발달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구문 발달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한편 문장 길이를 나타내는 기준 단위로는 문장 길이를 계측했을 때, 그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는 단위인 ‘형태소’ 또는 ‘어절’이 적절한 것으로 보았다. 이 중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내는 단위는 ‘형태소’이지만, ‘어절’이 한국어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라는 점과 그 사용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이를 문장 길이의 기준 단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는 첫째, 1년간의 학습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학습 단계가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구문의 변화를 살펴본 종단적 연구로 구문의 변화 과정을 직접적으로 보여 주었다는 점, 둘째, 횡적인 방법이 적용된 기존 연구들에서의 연구 결과와 그 측정 도구들을 종단적 연구를 통해 검증해보았다는 점, 끝으로, 이를 통해 학습 단계별 구문 능력을 확인하고, 그 발달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차후의 학습 단계별 구문 발달에 대한 교재 및 커리큘럼의 영향, 쓰기 교육과 관련한 구문 능력 향상 방안, 쓰기 평가를 위한 구문 발달 지표의 적용 방안 등의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