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어에서 보어의 개념 및 범주, 유형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본고 또한 문장성분으로서의 보어의 의미 기능을 살펴 범주와 유형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현대 국어에서 보어의 개념 및 범주, 유형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본고 또한 문장성분으로서의 보어의 의미 기능을 살펴 범주와 유형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고에서는 보어의 의미적ㆍ통사적ㆍ화용적인 기능을 살펴본다. 또한 서술어의 의미와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보어가 가진 논항의 지위를 확인하여 보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밝혀 범주를 확대할 것이다.
Ⅱ장에서는 본고가 기능문법의 관점에서 보어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문법에 대해 먼저 살피고, 기능문법에서의 보어 개념을 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의를 결정하는 절차를 살펴보고, 본고에 적용한다. 다음으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보어의 특성을 살펴본다. 앞선 논의의 보어 개념 규정과 보어의 범위 설정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본고의 논의에 부합하는 보어의 개념을 제시하여 보어의 범주 설정 기준을 제안한다. 본고에서는 보어가 서술어의 의미를 보충하여 문장의 뜻을 완성하는 필수적인 논항의 일종이라고 보고, 보어의 범주를 서술어가 의미론적 필수성에 의해 요구하는 논항 중 주어, 목적어 이외의 성분으로 설정한다.
Ⅲ장에서는 보어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시되었던 보어 성분의 생략, 관계관형절의 표제화, 조사의 생략ㆍ교체ㆍ중첩, 서술어의 교체, 대용화 등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논의되는 문장성분이 실제로 보어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서술어의 어휘 개념 구조에 대한 논의를 위해 주격과 대격의 의미역 계층과 조사의 의미역을 함께 살펴 보어의 특성을 알아 본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규정한 국어 보어의 개념과 범위 설정 기준을 바탕으로 기능문법의 관점에서 조사와 결합하는 보어의 형태를 분류하여 보어의 필수성을 확인한다. 보어의 유형은 ‘이’형, ‘로’형, ‘에’형, ‘에게’형, ‘에서’형, ‘와’형, ‘보다’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본고의 논지가 보어를 주어, 목적어와 함께 서술어의 논항으로 보는 것이므로, 조사 ‘이, 로, 에, 에게, 에서, 와, 보다’를 보격 조사로 보아 보어를 설정한다. 이는 조사의 의미역 또한 서술어의 논항의 의미역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며, 조사의 의미에 따라 분류의 체계를 설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한국어 문형 사전의 개발(2차년도) 최종 보고서’에서 서술어의 의미를 기준으로 논항을 알아 본다. 특히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에서 ‘문형’과 ‘하위 센스 구획’을 살피고, 이를 ‘한국어 문형 사전의 개발(2차년도) 최종 보고서’에서 제시한 ‘문형’과 종합하여, 보어의 유형에 따라 서술 구조를 정리한 문형을 기준으로 서술어의 목록을 나열한다.
결론에서는 본고에서 살펴본 다양한 문장 분석을 통해 보어의 의미적 필수성의 근거를 찾고, 본고의 보어의 범주 설정의 타당성을 입증하여, 보어의 범주가 현행 학교문법에서 제시한 보어의 범위보다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There have been ongoing researches on concepts, categories and types of complement in modern Korean language. This article also aims at analysing functions of complement as constituent of sentence in order to explain its categories and types. It exami...
There have been ongoing researches on concepts, categories and types of complement in modern Korean language. This article also aims at analysing functions of complement as constituent of sentence in order to explain its categories and types. It examines semantic, syntactic and pragmatic functions of complement. By looking at its relevance to meanings of predicate, this article defines concepts of complement and proves that complement does function as argument. It also extends categories of complem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n Chapter II, since this article defines complement based on Functional Grammar, we first would investigate Functional Grammer, and seemed suggest the definition of complement. In relation to this, it will be applied to this article after looking at process of determining the meaning of a word. It also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 on the basis of advanced research. This also critically reviews various definitions of concepts and categories of complement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suggests corresponding concepts to this article’s discussion as well as criteria for establishing categories of complement. This article recognizes complement as a obligatory argument in completing meaning of sentences by supplementing meaning of predicate. From this perspective, complement is regarded as an essential semantic component in addition to subject and object in argument.
In Chapter Ⅲ, this critically examines ellipsis of complement, the head of the relative clause, ellipsis and substitutive use of predicate, as well as substitution, ellipsis and superposition of case-markers that are presented a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complement. In order to discuss about lexical conceptual structure of predicate, it also analyses thematic roles of nominative, accusative and case-marker. This process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
In Chapter Ⅳ, in accordance with concepts and categories of complement that are defined in Chapter Ⅱ and Ⅲ, this article confirms a crucial role of complement by classifying types of complement. It divides types of complement that accompanied with 'i, ro, e, ege, eseo, wa, boda' as case-markers.
Since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complement as argument of predicate with subject and object, this article presumes that there is relevance between thematic roles of proposition and argument of predicate. Means of the case-marker,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not set.
This also studies argument on the basis of meanings of predicate defined in various references. It particularly observes ‘sentence structure’ presented in references in order to list predicate. This list is set based on a predicative structure that is categorised by types of complement.
In the conclusion, it proves an essential semantic basis of complement that has been analysed through various sentences in this article and demonstrates its validity in establishing categories of complement. On the basis of such findings, this finally confirms that range of categories of complement that is used in current school grammar may be extended.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