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요 약
한국어의 증거성(Evidentiality) 범주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한국어의 증거성(Evidentiality) 범주에 관한 연구로서 ...
국 문 요 약
한국어의 증거성(Evidentiality) 범주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한국어의 증거성(Evidentiality) 범주에 관한 연구로서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한국어의 증거성 표지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고 한국어 증거성 체계(Evidentiality System) 전반을 고찰함에 있어 기초를 마련하려는 연구이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서 밝혔다. 분석 항목을 선정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국어 문법이나 한국어 문법의 분류에 따르지 않고 증거성 체계의 구분에 따라 ‘직접 증거’와 ‘간접 증거’로 나누었으며 한국어 학습자에게 ‘화자가 진술의 근거가 되는 증거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한다’는 정보를 반드시 제공할 필요성이 있는가를 판별 기준으로 삼았다. 앞으로 한국어 증거성 표지의 목록은 추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2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증거성의 개념, 유형, 양태범주와의 관계 등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증거성(Evidentiality)이란 ‘화자의 진술의 근거가 되는 증거(evidence)를 명시하는 방식과 관련된 문법적 범주’를 말하는 것으로서 언어마다 증거성의 체계가 다르며 표현 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증거성의 이해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 증거성과 양태(Modality)의 관계에서 크게 두 가지 의견이 있으나 증거성이 하나의 독립된 범주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살펴본 증거성의 유형에 따라 한국어 증거성 체계의 유형을 Aikhenvald(2003a)의 분류 중 B1의 ‘Visual(or Direct), Inferred, Reported’와 Willett(1988)의 ‘Attested, Reported, Inferring’의 분류 체계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직접 증거 표지(Direct Evidential Markers) {-더-}, {-네}, {-길래}와 간접 증거 표지(Indirect Evidential Markers) {-겠-}, {-(으)ㄴ가/았나/나 보-}, {-(으)ㄴ/는/(으)ㄹ 모양이-}, 그리고 직접․간접 증거 표지 {-군/구나}의 증거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접 증거 표지는 표지 바로 앞에 선행하는 부분(선행부)이 나타내는 상황을 화자가 직접 지각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화자가 지각하는 증거와 선행부의 상황은 일치한다.
둘째, 간접 증거 표지는 표지 바로 앞에 선행하는 부분(선행부)이 나타내는 상황을 화자가 가지고 있는 사전 정보와 화자가 지각한 증거를 근거로 추론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화자가 지각한 상황과 추론한 상황은 불일치한다.
셋째, 화자가 지각하는 대상은 인칭의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지각이 가능한가 불가능한가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 즉 1인칭이라도 화자 자신의 감정, 신체적 상태 등은 물론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새로이 깨닫는 경우 지각의 대상이 된다.
넷째, 증거성 표지가 서로 결합하여 사용될 때 특별한 경우에는 의미가 약화될 수 있으나 대부분 각각의 의미 기능을 수행한다.
다섯째, {-군/구나}의 경우 직접 증거 표지와 간접 증거 표지의 두 가지로 사용되며 {-네}와 함께 ‘미예측 신정보성(Mirativity)’을 가진다.
여섯째, 간접 증거 표지의 경우에는 ‘-(으)ㄴ/는 것을 보니’라는 선행절과 함께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었던 한국어 증거성의 특징과 체계에 관하여 논함으로써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 가르치는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안하였다. 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에서 얻어진 성과를 국어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양방이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 Study on Evidentiality in the Korean Language
Jeong In Ah
Major : Korean Language & Culture
Dept. of Kore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evidentiality in the Korean language and to set forth a framework for its analysis. Evidentiality is a grammatical category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the speaker specifies the source of evidence that is the basis for the speaker's statement. Different languages have different systems and ways of expressing evidentiality. So far, evidentiality in the Korean language has not drawn much attention in Korean language research studies, and only a few studies have analyzed limited cases of evidentiality markers.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Korean evidentiality markers identified will increase with further research. This thesis synthesizes previous studies on evidentiality markers and provides a framework for examining the overall system of evidentiality in the Korean language.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thesis as well as its subjects and methodology and the items for analysis. When selecting items which will be analyzed, this study adopts the classification of the evidentiality system instead of following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Korean grammar or the grammar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refore, items are classified into ‘direct evidential markers’ and ‘indirect evidential markers.’ The criterion for when to use evidentiality markers is whether or not there is definite evidence of the statement in the speaker's sentence.
Chapter 2 is a literature review which examines theoretical backgrounds including the concept and typology of evidentiality and the relation between evidentiality and modalit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videntiality since languages have different systems and ways of expressing it. There are two view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videntiality and modality: one is that evidentiality is a subtype of modality, and the other is that evidentiality is an independent category from mod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evidentiality is an independent catego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videntiality examined in Chapter 2, Chapter 3 identifies the type of evidentiality system in the Korean language as belonging to ‘Visual (or Direct), Inferred, Reported’ of Aikhenvald's (2003a) B1 type and the Korean evidential markers as being explained by Willett's (1988) ‘Attested, Reported, Inferring’ type. In addition, this chapter investigates the evidentiality of direct evidential markers {-te-}, {-ney}, and {-killay}, indirect evidential markers {-keyss-}, {-(u)nka/assna/na po-}, and {-(u)n/nun/(u)l moyangi-}, and direct/indirect evidential marker {-kwun/kwuna}. The resulting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vidential markers represent the speaker's direct perception of the situation that has been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t, and the evidence perceived by the speaker agrees with the situation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t. Second, the indirect evidential markers represent that the speaker infers the situation mentioned in the part preceding the markers from the speaker's own information as well as evidence perceived by the speaker, and the speaker's perceived situation disagrees with his/her inference. Third, the speaker's perceived object is restricted not by person but by the possibility of perception. That is to say, even if the sentential subject is in the first person, the speaker's emotion and physical condition are still objects of perception, and even the speaker's newly realized behavior is also an object of perception. Fourth, the meanings of evidential markers can be weakened in some special cases when they are used in combination, but most of them perform their own semantic functions individually. Fifth, the markers {-‐kwun/kwuna} are used in two ways as direct and indirect markers and have mirativity as {-ney} does. Sixth, as for the indirect evidential markers, it is effective to present them to learners with a preceding clause headed by ‘-(u)n/nun kes-ul poni’.
This thesis offers answers to questions on how to teach and understand evidential marker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discussing the hitherto overlooked characteristics and systems of evidentiality in the Korean language. For example, a teacher of Korean language can teach learners to use evidential markers only when there is definite evidence of the statement in his/her sentence.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a chance for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fields of the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Korean linguistics by allowing the latter to use achievements from research in the former.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