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보육시설 보육요구도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Child Care Centers for child care service in a bid to help the head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provide quality, nonbiased educare for children from Multi-C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Child Care Centers for child care service in a bid to help the head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provide quality, nonbiased educare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make a well-round grow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resided in Jinju, Hadong, Namhae and Hamyang and used Child Care Cente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28 respondents were analyzed. A SPSS 14.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utilized to find 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to grasp their needs, and independent-samples t-testing and one- 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programs. Finall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tilized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se of the Korean language and needs for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use the Child Care Centers, they used the Child Care Centers to educate their infants or preschoolers.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reason for the use the Child Care Center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stopped at elementary school used the Child Care Centers for their own reasons. In terms of husband-related characteristics, the mothers whose husbands received middle-school or lower education used the Child Care Centers to educate their infants or preschoolers.
Third, as for needs for child care service, they had strong needs for education programs, parent-teacher communication and maintenance of child care facilities, but they didn't ask a lot for parent education.
Fourth,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their own, husband-related and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to needs for child care service,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needs fo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their husbands and the order of birth of the children using the Child Care Centers, which were respectively the husband-related and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The occupation of their husbands, one of the husband-related characteristic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needs for parent-teacher communication and maintenance of child care facilities. Their needs for parent education significantly varied with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the age, occupation and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husbands, which were respectively on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he husband-related characteristics. Overall, the husband-related characteristics mostl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needs for child care service.

본 연구는 급증하는 다문화가정에서 언어발달이 미숙한 어머니가 사회 부적응 상태에서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는 경우, 보육시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보육시설...

본 연구는 급증하는 다문화가정에서 언어발달이 미숙한 어머니가 사회 부적응 상태에서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는 경우, 보육시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보육시설에서 영유아시기 자녀의 발달과 적응을 돕고,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보육시설이 육아 도움 요청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보육시설 보육요구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에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사유는 영유아교육을 위해 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영유아 발달을 위해서였다. 한국인 맞벌이가정과 저소득가정에서 가족 중 돌봐 줄 사람이 없다는 개인사정에 의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다르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가족 중 돌봐 줄 사람이 없어서, 자신의 부족한 한국어 교육 등 자신의 개발을 위한 개인사정으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들의 교육 및 양육을 위해 보육시설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사유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본인관련 특성에서는 직업유무와 학력에 따라서 보육시설 이용 사유(부모 개인 사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직업이 있거나 학력이 초졸 인 경우 부모 개인 사정으로 보육시설에 자녀를 위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관련 특성에서는 학력에 따라서 보육시설 이용 사유(부모 개인사정, 영유아교육)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 학력이 중졸 이하일 경우 부모 개인사정이나 영유아교육을 위해 보육시설에 자녀를 위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학력이 낮은 경우 부모 개인사정에 의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보육시설에 대한 보육요구도에서 영유아 교육프로그램, 부모-교사 의사소통, 보육시설 운영관리에 대한 보육요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부모교육에 대한 보육요구도는 낮았다. 영유아 교육프로그램이나 보육시설 운영관리, 부모-교사 의사소통이 높은 요구도를 보이는 것은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자신의 능력 개발에 대한 관심도 높지만, 자녀의 발달 및 교육과 자녀들이 누릴 보육환경 등에 대한 관심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보육요구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 교육프로그램은 남편관련 특성에서 남편 직업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요구도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관련 특성에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자녀 출생순위에 따라 특기적성교육에 요구도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교사 의사소통과 보육시설 운영관리는 남편관련 특성에서 남편 직업에 따라 요구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교육은 본인관련 특성에서 본인의 한국어 사용능력에 따라 한국 문화교육 요구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남편관련 특성에서 남편 연령에 따라 한국 문화교육 요구도에, 남편 직업에 따라 영유아 지도와 양육교육 요구도에, 남편 학력에 따라 지식과 교양교육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특성에서 대부분 남편관련 특성에 따라 요구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우 남편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고, 남편의 지원에 따라 자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사용능력과 보육시설 보육요구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능력은 영유아 교육프로그램과 부모교육에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한국어 사용능력이 부족 할수록 영유아 교육프로그램과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영유아 교육프로그램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영유아발달교육이나 특기적성교육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다문화가정 자녀를 보육하고 있는 보육시설에서는 영유아 교육프로그램 계획 시, 다문화교육에 대한 영유아 교육프로그램 계획이 꼭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부모교육에서 영유아지도와 양육교육, 지식과 교양교육 그리고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모든 항목에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보육시설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하겠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보육요구도는 본인관련 특성이나 가족관련 특성보다 남편관련 특성이 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음을 볼 때,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 또는 교육에 관한 연구를 실시할 경우 한국 남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들이 선행되거나 병행되어야 하겠다.
둘째,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서도 일부 시·군에 대한 요구도만 살펴보았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현황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인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전체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용된 설문지 128부의 비율을 구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가 전체적인 경남지역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보육시설 보육요구도로 보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다문화가정 보육시설 이용현황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이용현황에 따른 시·도별, 지역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보육시설 보육요구도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는데,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다문화센터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거나, 학교의 한국어교실을 이용하고 있어 한국어 능력이 다소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한국어 능력이 미숙하거나 초기적응 단계에 있어서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적응이 되지 않은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보육시설 보육요구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