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요구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teaching confidence of it and their needs in the region of Gyeongin in a bid to seek ways of providing more efficient muticult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teaching confidence of it and their needs in the region of Gyeongin in a bid to seek ways of providing more efficient muticultural education.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What are the outlook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 to that?
2. What is their teaching confidenc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3. What problems do they think in multicultural education?
4. What are their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d out of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eachers from 10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the region of Gyeongin. Out of the selected schools located in Incheon, three schools tried 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wo didn't. Among the other five schools selected from Gyeonggi Province, three provided man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education, and the other two tried out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approved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lived in our country as Koreans, and they had a firm belief that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esteemed. They had an intention to learn abou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ther races if there would be any chance. But many expressed reservations about whether the diction and behavior of other races were unpleasant or not, which indicated that they didn't feel so good about them. And it also implied tha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broaden their mental horizon in preparation for forthcoming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hey were relatively better confident of teaching students to cope with cultural diversity, to look at history and society from different angles and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learning to respect others and cooperate with students with a different racial background. But they didn't have confidence about presenting solutions for diverse problems resulting from cultural diversity. In particular, they were scarcely confident of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the need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ppropriat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 was likely to give rise to serious problems in teaching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ies. To remedy the situations, a supply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s required.
Third, the biggest problem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 shorta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second largest problem was that textbooks didn't deal with multi- culture a lot. The third biggest problem was a lack of workshop or extensive training chances, followed by insufficient aid and poor understanding of that education on the side of teachers.
Fourth,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considered it necessary for each school to develop and supply Korean education programs, career counseling programs and pan- academic education programs in partnership with research institutions. The largest group believ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ses should be provided to change the way teachers look 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same time, they thought colleges of education should offer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they called for support toward related workshop, more overseas training chances and incentives geared toward teachers who tea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ly.
In terms of training methods, the largest group wanted to learn about multiculture with foreigners around them, and the second biggest group asked for on-the-job training. The third largest group hoped to be informed about cases of open multicultural classes, and the fourth greatest group asked for online training, followed by self-training through books or journals.

본 연구는 경인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다문화교육을 실시할 때 지도능력 자신감을 알아보고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데 교사들의 요구조건을 조사 분석하여 효율...

본 연구는 경인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때 지도능력 자신감을 알아보고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데 교사들의 요구조건을 조사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교육을 지도하게 될 때 교사들이 느끼는 지도능력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때 교사들이 느끼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다문화 교육을 실시할 때 또는 실시하고자 할 때 수업에서의 또는 수업 외적인 것에서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사 대상을 경인지역에 있는 초등학교 중에 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천의 일반 학교 2개교와 다문화 교육 시범학교 3개교,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수 있는 일반학교 3개교와 다문화 시범학교 2개교를 선정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위의 분석에서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다문화가정 사람들을 한국인으로 인정하며 그들을 존중해 주어야 한다는 강한 인식과 나와 다른 인종, 민족 집단의 문화적 특징에 대해 배울 기회가 있다면 참여할 의향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나와 다른 인종, 민족의 말투나 행동이 거슬리지 않는다는 평가에 다수가 유보적인 평가를 하여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나타내었다. 이는 미래 다문화 사회에 대비한 교사들의 유연한 시각을 위하여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문화적 다양성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나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와 사회를 볼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는 능력 등 일반기능 측면과 상호 존중감 함양, 다양한 민족 집단의 학생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인간관계 개선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자신감을 나타냈으나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 제시에는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었으며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필요에 부응하는 수업 방법의 적용과 다문화 교실에 적합한 학습 자료의 개발 등 수업 기능 측면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어 앞으로 확대될 다문화 가정 아동 지도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수업방법이나 교수·학습 자료가 보급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으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자료 부족, 교과서에 다문화 내용 부족, 워크숍 또는 폭넓은 연수기회 부족, 다문화 교육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부족,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순으로 나열할 수 있으며 학교장의 인식 부족을 문제점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넷째, 다문화 교육을 실시할 때 교육청에 연구기관과 연계한 한국어 프로그램과 진로 상담 프로그램, 범교과 프로그램 개발·제공을 많이 요구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을 위해서는 다문화 교수-학습 사례의 보급을 요구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대나 사범대 교육 과정에 다문화교육과정 개설, 다문화 교육 교과 연구회 활동 지원과 다문화 교육 관련 해외 연수 기회 확대, 다문화 가정 자녀 전담 교사에게 인센티브 제공을 요구하였다.
다문화 교육 연수방법으로 외국인과 함께 하는 다문화 이해 연수가 좋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직무 연수, 다문화 수업이 이루어지는 수업 사례를 통한 연수,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연수, 관련 서적, 잡지 등을 이용한 자율적 연수 순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