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andard TOPIK, S-TOPIK) 듣기 영역에서 듣기 텍스트가 담고 있는 상황 맥락(context of situation) 정보를 보다 다양하고 명확하게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andard TOPIK, S-TOPIK) 듣기 영역에서 듣기 텍스트가 담고 있는 상황 맥락(context of situation) 정보를 보다 다양하고 명확하게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능력은 발화 속에 담긴 목표어 화자들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을 이해하여 그 사회 규범에 맞게 언어 자질들을 올바로 이해·산출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한국어의 실제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고급의 듣기 영역에서는 숙달도 제약이 크지 않고 다양한 상황 맥락에 따른 복잡한 구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므로 이러한 능력이 더욱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듣기 평가에서 구어의 사용 양상은 일차적으로 음성 입력 자료인 듣기 텍스트를 통해 구현된다. 따라서 사회언어학적 능력을 올바로 평가하기 위한 일환으로 듣기 텍스트에 언어 자질들(linguistic features)의 결정 요인인 실생활의 다양한 상황 맥락 제시가 전제되어야 한다. 더욱이 한국어능력시험 문항들은 시험에 응시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유익한 학습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숙달도 수준을 점검할 뿐 아니라, 아직 경험하지 못한 한국어의 담화 상황을 접함으로써 간접 경험을 쌓고 효율적인 듣기 전략을 모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듣기 텍스트를 다양한 상황 맥락에서 일어나는 실제 담화와 유사하게 재현해낸다면 듣기 평가의 긍정적 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S-TOPIK 듣기 텍스트에 상황 맥락 정보가 적절히 제공되고 있는지 진단하고자 제10회∼제15회 시험 문항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상황 맥락에 대한 정보를 담화 사건의 종류, 대화자들의 관계, 참여자들의 의사소통적 특성, 전달 통로, 의사소통 배경, 의사소통의 목적 및 화제나 주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석 요소로서 이 정보들의 하위 요소인 상황 변수(situational parameter)와 상황 창출에 관여하는 언어적 자질들을 선정하였다. 상황 변수에는 상호작용의 양을 포함한 텍스트 유형, 전달 매체, 공적·사적 배경(의사소통 장소), 의사소통 기능 및 화제나 주제가 포함되며, 대표적인 언어적 자질들로는 청자 대우의 종결어미, 호칭어나 2인칭 지칭어, 그리고 특정 상황 맥락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언역 표지(specialized register marker)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S-TOPIK 고급 시험의 듣기 텍스트에는 평가 기준과 관련하여 비교적 제한적인 상황 맥락이 제공되고 있었으며, 일부에서는 상황 맥락 정보가 모호하여 사회언어학적 규칙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단순히 내용 확인 평가에 그칠 수 있는 소지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듣기 텍스트에 상황 맥락 정보를 다양하고 명시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상황 맥락이 모호한 텍스트들에 대해 텍스트 재구성의 예를 들어 보였다.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 시험을 대표하는 국가 공인 시험으로서의 위상을 가지므로 학습자들은 그 타당도를 더욱 신뢰할 것이다. 따라서 듣기 텍스트가 일회성 평가 자료에 그치지 않고 한국어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가 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