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 측면에서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들의 한자어 학습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과 관...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 측면에서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들의 한자어 학습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과 관련하여 모색해 보았다. 본고의 최종적인 목적은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를 단계별로 제시하는 것에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한자어 지도 시 활용 가능한 목록을 제시하고, 초․중․고급으로 등급을 나누는 방안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한자 교재의 한자와 현행 한국어 회화 교재의 한자가 아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서 선정된 전체 어휘 중에 한자어 목록을 밝혀, 한자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한자어 교육의 중요성과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데에 주안점을 두며,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자어 지도 시 활용 가능한 한자어 목록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무슨’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현대 한국어 말뭉치를 바탕으로, 그것을 한자화하여 만든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한자어 목록을 제시하지 않은 점에서 한계는 있으나, 한자 교육이 아닌 한자어 교육에 초점을 맞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한자 교육과 한자 교육을 연계해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1950년 한자 전용에서 1970년 한글 전용으로 한자 교육 정책의 변화로 말미암아 한자어 교육과 한자 교육의 연계성은 크게 줄어들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한자어 교육을 위해 한자 교육을 필요성을 제기하지만 현 시대가 한글 전용 시대인 만큼 한자어 교육을 한자 교육이 아닌 한자어 어휘 교육 측면에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는 비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자 교육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69.1%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한국어 어휘의 큰 갈래로 인식하여 한국어 어휘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자어 목록만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학습 대상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한자문화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자어 목록과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목록은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이다.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한자문화권에서는 같거나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는 한자어와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한자어들이 존재한다. 때문에 한자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자어 목록을 선정하기 보다는 한국, 중국, 일본과 같은 한자문화권에서 사용하는 한자어를 조사하여,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한자어와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한자어를 선정하여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어휘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여 한자문화권 학습자와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구별하고,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는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현장에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어휘 학습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