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적 복잡성과제가 말실행증의 말 산출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말실행증 환자의 발화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음운론적 복잡성과제를 제시하고, 이러한 과제가 말실행증의 말산출미치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말실행증 환자의 발화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음운론적 복잡성과제를 제시하고, 이러한 과제가 말실행증의 말산출미치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24명의 말실행증 환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단순성과제와 복잡성과제의 치료를 실시한 후 말산출 정반응과 ABA 등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성치료집단과 복잡성치료집단에서 말산출 정반응은 증가하였다.
둘째, 복잡성치료집단과 단순성치료집단의 말산출 정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복잡성치료집단이 단순성치료집단보다 더 높은 말산출 정반응의 증가를 보였다.
셋째, 복잡성치료집단의 평음, 경음, 격음은 말산출 정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음이 평음과 격음보다 말산출 정반응이 높게 나타났고, 평음과 격음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단순성치료집단에서는 치료 전과 후에 ABA의 시행에서 말실행증의 등급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복잡성치료집단에서 치료 전과 후에 ABA의 시행에서 말실행증의 등급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복잡성치료집단의 평음, 경음, 격음은 ABA의 시행에서 말실행증의 등급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경음이 평음과 격음보다 더 많은 변화를 보이나 평음과 격음은 등급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복잡성과제가 단순성과제보다 말실행증 환자의 말산출 오류 개선에 일반화가 더 높으며, 복잡성과제의 경음이 말산출 정반응에서 높은 증가를 보인다는 결론을 얻었고, 기존의 단음절 과제 연구에서 벗어나 음운론적 복잡성과제가 말실행증의 말산출 오류의 치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training complex items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Korean-speaking apraxia of speech patients'speech production. It is also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s of phonological complexity on the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training complex items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Korean-speaking apraxia of speech patients'speech production. It is also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s of phonological complexity on the Korean-speaking apraxia of speech patients'speech production. 24 patients with apraxia of speech and aphasia were trained to produce complex or simple syllables. Improvement was measured by number of correct on nonword repetition test and ABA test.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both clusters of training complex items and training simple items led to improved speech production.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cluster of training complex items and cluster of training simple items. The cluster of training complex items has more improved speech production than cluster of training simple item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three group of training complex items. Tensed consonants more improved than aspirated consonants and untensed consona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spirated consonants and untensed consonant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uster of training simple items as ABA test.
Fifth, There was difference in cluster of training complex items as ABA test. The patients show increased grade of ABA test.
Sixth, there was difference in three group of training complex items as ABA test. Tensed consonants show increased grade of ABA test. Aspirated consonants and untensed consonants was no difference in grade of ABA test.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raining complex items is more effective than training simple items, tensed consonants is efficacious for speech production. And training complex items is efficacious for patient with apraxia of speech patients'speech production problems.
This study provides support for using more complex items in treatment for sound production problems in patient with apraxia of speech.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