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특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Korea, there is an increasing multicultural population. This includes immigrant workers,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and Kosians (Korean-Asians) growing up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ese social chang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

In Korea, there is an increasing multicultural population. This includes immigrant workers,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and Kosians (Korean-Asians) growing up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ese social chang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are increasing as a percentage of the overall population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One of the primary task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dealing with children from culturally different backgrounds is to accurately diagnose language disorders and distinguish them from language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Korean lower grader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of those children who grow up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comparison with children of ethnically homogeneous families.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frequency of grammatical morpheme production and grammatical morpheme error ratio. Two groups of 20children were examined on the pattern and the frequency of their grammatical morpheme production and error types using spontaneous speech.
The data were analyzed into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tandardized test of frequency of grammatical morpheme produ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tandardized test of the frequency of grammatical morpheme production by type.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objective cas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ror ratio of grammatical morpheme produ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with respect to the error ratio of grammatical morpheme production. Howev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ouble use.
There are environmental influences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In spite of being schooled in Korea in Korean language, they tend to use broken Korean grammatical morphemes. Therefore, the differences in error production of children from particular backgrounds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posed as applicable to the assess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s Korean language usage and for early intervention.

한국의 국내 거주 외국 출신 주민 및 외국인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 다양한 국제결혼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국제결혼을 통한 ...

한국의 국내 거주 외국 출신 주민 및 외국인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 다양한 국제결혼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국제결혼을 통한 국내 이주 외국인의 증가와 동시에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수 역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중가는 한국사회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의 한국 사회 적응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이주 여성이 언어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한 의사소통문제, 교육문제, 인권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 중 이들의 궁극적인 고민들은 자녀들의 교육문제 이다. 아동들이 주로 어머니와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모국어의 기본적인 구조와 틀을 습득 한다고 볼 때, 다문화 가정아동들이 서툰 한국어를 사용하는 어머니들을 통해 한국어의 기본적인 구조와 틀을 정확하게 습득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결혼가정에서 태어나는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은 한국어에만 노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언어의 혼란과 함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나타내며 이는 학령기의 학습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부모의 낮은 언어능력은 자녀의 언어발달 및 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의사소통 능력 부족은 학교생활의 적응에 장애가 되고 있고, 다문화가정의 교육환경은 자녀의 전반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의사소통 등의 언어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정의 현황이나 실태 등을 조사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언어병리학 분야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공식검사를 위주로 아동의 수용언어, 표현언어를 살펴본 논문과 의미영역, 이야기 능력을 살펴본 논문이 보고되었다. 많은 장애 영역에서 문법형태소 측면의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에 비해 문법형태사용 특성과 관련한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조사연구는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아동과일반가정 아동들의 문법형태소 사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발화 평가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문법형태소(조사, 어미) 산출빈도에서 차이를 나타내는가?
2) 두 집단은 총 문법형태소에 대한 유형별(주격조사, 목적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부사격조사, 연결어미, 선어말어미, 전성어미, 종결어미) 산출빈도에서 차이를 나타내는가?
3) 두 집단의 문법형태소 오류율과 유형별 오류율은 어떠한가?
(1) 각 집단은 문법형태소 오류율에서 차이를 나타내는가?
(2) 각 집단은 유형(이중 사용, 생략, 대치)별 오류율에서 차이를 나타내는가?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각10명씩 총 20명으로 했다. 연구자는 대화(conversation)과제 시 인터뷰 형식을 통해 발화를 수집하도록 하여 문법형태소의 산출빈도, 유형별 산출빈도, 오류율, 유형별 오류율을 알아보았다. 전사된 자발화 자료는 KCLA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문법형태소의 수를 산출했다. 두 집단간 문법형태소의 산출빈도, 유형별 산출빈도, 오류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집단간 발화당 문법형태소 산출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연구문제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집단간 문법형태소 사용의 유형별 산출빈도의 차이에서 조사, 어미 산출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집단간 문법형태소 오류율에서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집단간 문법형태소 유형별 오류율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이중 사용, 대치, 생략 오류 중 이중 사용 오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집단간 문법형태소 산출빈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법형태소 오류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보아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과 비슷한 빈도로 문법형태소를 산출하기는 하지만 표현의 정확성이 부족하여 오류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화 산출시 문법형태소사용을 일반아동과 비교했을 때 문법형태소를 이중 사용한 오류가 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 언어의 문법형태소 산출빈도 및 오류율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문법형태소 산출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문법형태소 오류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보아 다문화가정 아동이 학령기가 되어도 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에서 제한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