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피동문 대조 연구 : 중국어 被자문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초록 한중 피동대조 연구 -중국어 굳자문과의 대조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양 설 본 논문에서는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에 이르는 분야에서 ...

국문초록

한중 피동문 대조 연구
-중국어 굳자문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양 설

본 논문에서는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에 이르는 분야에서 중국어 굳자문을 중심으로 한중 피동문에 대해 전반적인 대조연구를 함으로써 중국어 굳자문과 대응하는 한국어 피동문을 분류해보고, 또한 양자 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착어인 한국어와 독립어인 중국어와 피동 개념에 대한 이해, 피동 표현 방식 등 면에서 많는 차이가 보인다. 제1장에서 본 논문 연구동기, 방법 및 선행연구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피동 표현 체계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간단하게 말하면 한국어 피동은 두 종류의 방법을 통하여 실현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피동의 의미를 담은 단어를 통하거나 단어 변형을 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되다, 당하다, 받다' 같은 단어 자체가 외계의 힘을 입어 무엇을 받았다는 의미가 있으니 피동문에서 쓰이고, '-히, 리, 이'나 '-어 지다'를 특정 능동사 뒤에 붙이는 것은 단어에 대한 변형이라 볼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중국어 피동체계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중국어의 피동은 한국어보다 다양하다. 한국어처럼 표식이 있는 피동문도 있는 동시에 표식이 없는 피동문도 많이 존재한다. 또한 3장에서 햇갈리기 쉬운 被자문, 피동문, 수사주어문 등 세 가지 개념을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두 부분을 나누어, 被자문을 중심으로 한국어 피동과 대조 분석하였다. 의미상 피동문의 정의, 특징을 소개하고 대표 유형을 소개하면서 한국어와 비교해보았다. 의미상의 피동문에는 피동표식이 없어서 겉으로 볼 때 능동문과 구별이 잘 안 된다. 한국어에서 이런 문형이 없기 때문에 의미상 피동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의역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한중 피동문 대조분석할 때 의미상의 피동문보다 被자문과의 대조 분석이 더욱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본다. '被'의 품사 분류에 대해 소개하였다. '被'는 현대 중국어에서 개사로 인정받고 있는데 한국어에서 개사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被자문과 한국어 피동문의 문장성분·유형 분석과 양자의 비교 대조 방식을 통해 중국어와 한국어의 피동문을 이루는 주요 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현 시대 상황이 세계화되면서 국가 간의 교류가 확대되고, 이에 수반하여 외국어 습득 및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이러한 필요성에 부합하기 위해 진행된 것이다.

中文簡介 中韓被動句對照研究:以對照被字句為中心 慶熙大學 大学院 國語國文系 韓國語學 專業 楊 雪 本論文以漢語被字句為主,通過與韓語被動句的對比研...

中文簡介

中韓被動句對照研究:以對照被字句為中心

慶熙大學 大学院
國語國文系 韓國語學 專業
楊 雪

本論文以漢語被字句為主,通過與韓語被動句的對比研究,考察了兩種語言被動表達方式在形態、構造、意義表達等方面的各自功能,發掘并總結出韓語被動句與漢語被動句的相同點與不同點。
截止当前,韓國語學領域關於被字句與韓語被動句的對比研究仍然稀缺。主動與被動是人類語言的普遍現象,處於不同語系的漢韓兩語在被動概念的理解、被動表達方式等方面有著很大的差異,因此具有一定研究價值。
第一章中記錄了論文研究目的措施與既存研究,韩语论文范文,為后幾章的研究做好基礎準備工作。
第二章對韓語被動進行了系統介紹。韓語被動大體通過兩種表現方式來實現-依賴本身可表被動的單詞或對單詞進行變形,當然還要加上格助詞。韓語是黏著式,語法功能大部份靠對單詞進行變形來實現,這點與漢語有著很大的不同。韓語中本身可表被動的單詞相較于漢語並不算多。
第三章對漢語被動系統進行了介紹。作為獨立語的代表語種,漢語的被動方式非常靈活。既有同韓語般形式上的被動句,也有韓語中並不存在的意念上的被動句。
第四章中以被字句為主,對中韓被動句進行了對比略论。首先第一小節在介紹意念上的被動句的定義特點后將其與韓語被動進行比較。意念上的被動句不存在任何可供識別的標識,從結構上看與漢語主動句並無區別。因意念上的被動句同韓語完全相異,韓語中不具備這一概念,將其翻譯成韓語時,大多使用意譯,因此比較意義并不大。本論文的重點便是將同樣具有被動標識的被字句與韓語被動句進行比較。
第二小節中首先簡介了被字句的定義、特點,然後對被的詞性進行了介紹。在現代漢語中‘被’屬介詞,而韓語中不存在介詞,韩语论文范文,所以再次有必要先讓讀者搞清其詞性。本論文從兩方面將被字句與韓語被動進行了比較略论,一是句子成份(主謂賓狀語),二是句子類型。句子類型方面,漢韓兩語還是相當相似的,這是否也是語言普遍性的一種體現呢。
第四章最後對被字句與韓語被動的相相同於不同進行了總結,讓比較結果更加一目了然。
本文作為一次試驗性研究,還有許多局限性與不足之處,不過作者仍希望它能夠給學習韓語的中國學生,以及學習漢語的韓國學生帶去一些參考價值。日後做著將努力更加完善本研究。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