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감각표현 및 감각형용사는 언어적 보편성과 특수성이 교합되어 독특하게 발달한 의미장을 형성한다. 또한 감각표현은 한국어 특유의 섬세한 감수성과 표현력의 요체로서 한국어 언...
한국어 감각표현 및 감각형용사는 언어적 보편성과 특수성이 교합되어 독특하게 발달한 의미장을 형성한다. 또한 감각표현은 한국어 특유의 섬세한 감수성과 표현력의 요체로서 한국어 언어문화적 특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감각형용사의 한국어 교육적 가치는 중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용 감각형용사를 선정하고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 간의 감각형용사에 대한 인식을 비교했다. 두 집단의 인식 비교 결과, 한국어 교육에서 감각형 용사 어휘 교육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2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자료에서 추출한 감각형용사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감각형용사를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감각형용사를 감각기관을 기준으로 분류해 보았다. 한국어 학습용 기초 자료와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한 어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158개의 감각형용사 어휘 목록을 만들었다.
3장에서는 158개의 감각형용사 중 사용 빈도가 높고, 한국어 초급 또는 중급 교재에 나타나는 감각형용사를 선정하여 한국인과 외국인(각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이 비슷한 양상의 응답을 보이는가 하면 눈에 띄게 다른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한국어에는 다양한 감각형용사가 매우 발달해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형태론적.의미론적 관점에서 감각형용사를 살피고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학습 시 도움이 될 만한 근거를 찾아보았다.
먼저 형태론적 관점에서는 음운 교체, 파생 구조, 합성 구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운 교체에 의한 유의어는 자음.모음이 교체된 형용사들이 어휘의미는 유지하되 어감의 차이를 가지고 대립하여 유의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자음 교체와 모음 교체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살폈다. 파생에 의한 유의관계에는 접두사 파생에 의한 유의관계, 동일 어근에 다른 접미사가 붙은 파생어들 간의 유의관계가 있다. 접두사 파생에 의한 유의어는 단일어 형용사와 그 형용사의 어근에 접두사가 결합되어 파생된 형용사가 유의관계를 이루는 경우로 여기에서는 시각형용사 중 색채형용사의 어기에 ‘새/시-’가 결합하여 그 색채의 농도를 높여 주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접미사에 의한 파생은 접두사에 의한 파생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고유어 명사나 어근에 결합하여 형용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 ‘-하다, -스럽다, -앟/엏/얗/옇-, -롭다’ 등이 있다.
합성은 둘 이상의 실질형태소가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합성에 의한 유의관계는 ‘명사/용언’과 같은 통사적 구성으로 된 것과 ‘어근/어근’의 비통사적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의미론적 관점에서는 의미 차이에 따른 유형으로 개념적 의미의 차이, 정도성의 차이, 의미 확장의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개념적 의미의 차이로 ‘밝다/환하다’ 두 감각형용사의 변별적인 개별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각각의 기본의미를 설정하고, 하나는 쓰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쓰일 수 없는 예문을 통해 두 감각형용사의 의미를 비교해 보았다.
다음으로 ‘정도성’에 따른 유의 관계를 가지는 감각형용사는 시각형용사와 촉각형용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각형용사에서는 의미성분을 기준으로 색채형용사를 분석해 보고, 또한 ‘검다/누르다/붉다/푸르다/희다’ 색채형용사의 전반적인 의미관계 양상을 살펴보았다.
촉각형용사에서는 앞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 사용된 온도를 나타내는 감각형용사를 중심으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변화하는 정도에 따라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의미 확장의 양상은 시각형용사와 미각형용사로 나누어 살폈다. 시각형용사는 색채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기본적 미각형용사와 이들보다 낮은 미각 농도를 표현하는 미각형용사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살펴보고 각각의 감각형용사를 예문으로써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보았다.
형태론적, 의미론적 관점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감각형용사는 일반적인 다른 어휘들에 비해 상당히 복잡한 단어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의관계에 있는 감각형용사들의 의미 차이 역시 큰 의미장이 되는 하나의 유의어군에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나면서 다양한 의미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 수업에서 3차원 색상환이나 색 블럭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노래, 광고매체를 활용하여 감각형용사 어휘를 교수할 수 있다. 또한 앞서 한국어교육용 감각형용사를 추출할 때 어휘자료로 삼았던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에서 등급에 따라 색채형용사를 분류하여 단계에 맞게 지도할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감각표현 및 감각형용사 연구, 나아가 실제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등 폭넓고 활발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