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영어 후기 이중언어자를 대상으로 두 언어에 따른 기본범주 별 어휘접근 양상을 비교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어휘 정보처리 과정에서 이중언어자의 두 언어가 기...
본 연구는 한국어-영어 후기 이중언어자를 대상으로 두 언어에 따른 기본범주 별 어휘접근 양상을 비교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어휘 정보처리 과정에서 이중언어자의 두 언어가 기본범주 별로 어휘접근 양상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인공물과 자연물의 기본범주(의복, 도구; 동물, 신체부위)로 구성된 단어-그림 일치 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어-그림 일치판단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L1으로 제시되는 과제의 반응시간이 L2 보다 빨랐으며, L1에서는 자연물에서, L2에서는 인공물에서 범주별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L1에서는 동물범주를 판단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신체부위 범주 보다 더 짧았고, L2로 제시되는 경우에는 의복범주의 반응시간이 도구범주 보다 빨랐다. 이러한 결과는 두 언어로의 어휘접근이 기본범주 수준에서 구분됨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는 두 언어로의 어휘접근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단어-그림 일치 판단과제를 수행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검토하고, 관심영역에 대한 신호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L1 인공물과 자연물, L2 인공물의 두 기본범주의 어휘접근은 활성화 영역이 서로 구분되지만, L2 자연물의 두 기본범주는 활성화 영역이 구분되지 않았다. 또한 관심영역의 신호강도가 언어와 기본범주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관찰되어, 인공물의 두 범주는 좌반구 중전두회와 우반구 상전두회에서, 자연물의 두 범주는 우반구 설소엽에서 언어와 범주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왔다.
반응시간과 뇌 영상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어휘접근 양상이 기본범주 수준으로 구분되며, 이중언어자의 경우 언어에 따른 기본범주 별 차이는 두 언어의 어휘집이 독립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lexical access processes of the bilingual’s two languages.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word-picture matching task. The task w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lexical access processes of the bilingual’s two languages.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word-picture matching task. The task was to decide whether the pictures presented after the words match or not. The stimuli were consisted of two natural categories (animal, part of body) and two artifacts (clothes, tool).
The decision time were analyzed in the experiment 1. The participants responded faster when the words were presented in L1. In L1 condition, the R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aturals: the animals were faster than the part of body. In L2 condition, the two categories of artifa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tools took longer time to decide than the clothe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bilinguals’ lexical access was based on the basic level categories.
In experiment 2, functional MR imaging technique was adapted to examine the brain activation involved in the task performance. In the L1 condition, the two naturals and two artifacts showed different activation areas in the lexical access processes. However, in the L2 condition, the natural categories were not distinguished in the activation areas. The analysis of the changes of signal intensity in the ROI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e artifacts interacted with the language in the left middle frontal gyrus and right superior frontal gyrus. The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also in right cuneus where the naturals interacted with the language.
We discussed the results as the lexical access processes were based on the basic level categories, and the lexicon of the bilinguals’ two languages seemed to be distinguished.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