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흐름에 따라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흐름에 따라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국내 체류 외국인 비율 중 여성 결혼이민자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밝혔다. 특히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과는 달리 한국인으로서 생활하게 된다는 이들의 특성상 장기적 관점에 따른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실제 각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실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이 논문에서 분석 대상이 된 주된 교재는 정부기관(여성가족부, 농림부)과 지역 교육기관(충청북도 교육청)에서 출간된 것으로 대부분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교재가 쓰기 교육에 있어서는 단순한 문법 연습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 또한 지적되었다. 이는 많은 학습자들이 중·고급 단계로 갈수록 보다 고급화되고 현실적인 내용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고, 특히 한국어 쓰기에 대한 어려움이 크다는 현실과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1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제 학습자들의 요구와 각 단계에 맞는 실용적 쓰기 교육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각 영역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많은 학습자들이 한국어 쓰기 영역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중·고급 학습자와 자녀가 있는 학습자일수록 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배우고자 하는 쓰기 교육의 내용은 초급 학습자는 말하기와 연관된 실용문 쓰기, 중·고급 학습자는 실용적이고 고급화된 쓰기에 더 높은 요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단계별 쓰기 교육의 내용도 차별화 시켜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4장에서는 학습자의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각 단계별 학습 목적에 따른 방법과 내용을 차별화시킨 실용적 쓰기를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급별 쓰기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대상을 더 이상 초급 학습자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급 학습자에게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 속에서 변화의 주체인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보다 실용적이고 고급화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uggests the methods of how to educate immigrant women who are residing in Korea after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in practical Korean writing, as Korea has been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chapter one, the need for Korean e...
This suggests the methods of how to educate immigrant women who are residing in Korea after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in practical Korean writing, as Korea has been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chapter one, the need for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was examined as the rate of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among the foreigners staying in Korea. Specifically, different from o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general purposes,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in Korea as Korean citizens, so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in long-term was discussed.
In chapter two,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classes for immigrant women, which were under progress in each region, was inquired into,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for them were analyzed and their problems were examined. The textbooks analyzed in this are the ones published by governmental organizations(Ministry of Gender Equalit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local educational organizations(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had the defect that they were mainly for lower-level of learners. In additio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in terms of writing education, all textbooks laid importance on simple grammar practices. This runs counter to the reality that many learners want more realistic and higher quality of learning contents, as their levels become advanced, and that they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writing in Korean.
Therefore, in chapter three, an analysis for practical writing education that was appropriate for learners' real demands and for each level of learning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124 immigrant wom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learners' interest in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as examined. The results proved that many learners were highly interested in writing in Korean, and those of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and those with children were more interested. Moreover, speaking of the contents of writing class they wanted, beginners' level of learners wanted to take a useful writing class related to speaking, an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demanded useful and sophisticated writing classe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importance of Korean writing education needs to be embossed, and simultaneously, the education contents of each step of writing class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ly, in chapter four, syllabi of lectures for practical writing, differentiated methods and contents of each step of learning purposes, were designed, reflecting these kinds of learners' needs. Also, based on these, each level of writing education methods were suggested, which could be applied to real education field.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 objects of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were not just limited to beginning level of learners, but extended to advanced lear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changes in the speedily progressing multi-cultural society, learn more practical and advanced level of Korean.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