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의 호칭어의 대한 대조 연구 : 특히 친척 호칭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is an important part of forms of address because it contains problems of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In this the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of Korean and Chinese have been contrasted and analyzed...

The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is an important part of forms of address because it contains problems of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In this the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of Korean and Chinese have been contrasted and analyzed from the views of parents address, relatives address and address form's generalization to try to fi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it is hoped to be of some help to the Korean or Chinese learners.
This can be concluded as follow.
In the preceding studies in Korean, ‘친족 호칭어’ is most widely used as the meaning of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In Chapter two the definitions of ‘친족’ and ‘친척’ are compared and the reason is explained why ‘친척 호칭어’ is chosen in this .
Chapter three is the study of parents address. Because this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and as well it possesses the largest proportion so that it is discussed as a separate section. In this part the features of parents' address and their directive functions in Korean and Chinese have been illustrated.
Chapter four, the comparison of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in Koran and Chinese is the core of this and it has been carried out from six aspects. The first is that different forms of address will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ex of the speaker and the other side. The second is that the paternal relatives are more respectable than maternal, and this is more prominent in Korean. The third is that while calling the maternal relatives both Korean and Chinese use forms of address different from those of paternal relatives. The fourth is that compared with the western languages both of Korean and Chinese emphasize the proper formalities between young and old. Also this point is more prominent in Korean. The fifth is that the differences of intimacy is rather evidently especially in Korean. A particular point is that the diction of ‘촌’ is used to indicate intimacy in Korean.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촌’ is, the nearer the relationship is. The sixth is media address, which is exist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but the Chinese media address is more complicated. Their are two reasons of the formation of media address. One is the influence of feudal institution and the other is sensation factor.
Chapter five is the contrastive study of generalization of forms of address between relatives, which refers to using relative forms of address to call the non-relatives. It is much used in the private dialogues to show respect to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 can see it from three aspects. The first is the generalization of relative address both in Koran and in Chinese is mostly used with the acquaintances. The second is in Chinese, incidental component such as ‘老,大,小’ or first name are used to distinguish the addresses between relatives or non-relatives. The third is that forms of address used to collateral line are much used in Chinese while those used to direct line are much used in Korean.

이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 그 가운데 특히 친척 호칭어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보면, 호칭어에 대한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친척 호칭어 부분만을 연구하는 것이 ...

이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 그 가운데 특히 친척 호칭어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보면, 호칭어에 대한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친척 호칭어 부분만을 연구하는 것이 거의 없었다. 다른 논문에서 대부분은 ‘친족 호칭어’라는 용어를 쓰는데, 이 논문 제2장 ‘친척 호칭어의 개념과 분류’에서 ‘친족’과 ‘친척’의 사전개념을 비교하고 ‘친척 호칭어’를 사용하게 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 논문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3장 한중 부모 호칭어의 대조연구, 제4장 한중 친척 호칭어의 대조연구 그리고 제5장 한중 擬친척 호칭어에 대조연구가 그것이다.
부모호칭어는 친척 호칭어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라서 이 논문 제3장에서 따로 떼어 설명했다. 한국어에서 父에 대한 호칭어 38개, 母에 대한 호칭어 27개, 중국어에서의 父에 대한 호칭어 100개, 母에 대한 호칭어 90개를 제시하고 한ㆍ중 부모호칭어의 특징과 지시기능을 대조하였다.
제4장은 한ㆍ중 천척호칭어에 대한 대조연구인데, 남녀구분(男女區分), 남존여비(男尊女卑), 내외유별(內外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친소분명(親疎分明), 매개호칭(媒介號稱)의 6가지로 설명하였다.
남녀구분은 남자와 여자가 다른 호칭어를 사용하다는 뜻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어떤 친척관계 간에 중국어에서는 말하는 사람의 성별과 상관없이 같은 호칭어를 쓰고, 한국어에서는 말하는 사람의 성별을 따라 다른 호칭어를 쓰는 경우가 있다. 둘째, 어떤 친척관계 간에 호칭대상의 성별이 다르면 중국어에는 다른 호칭어를 쓰고, 한국어에는 똑같은 호칭어를 쓰는 경우도 있다. 셋째, 어떤 친척관계 간에 호칭대상의 성별이 다르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똑같이 다른 호칭어를 쓰는 경우도 있다.
남존여비라는 현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공통점은 다 부계를 중시하는 것이고, 차이점은 한국어의 남존여비 현상이 더 분명하는 것이다. 내외유별이라는 것은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계친척을 호칭할 때 부계친척에게 쓰는 호칭어들과 다르다는 것이다. 서양의 친척 호칭보다 한국과 중국의 친척 호칭의 장유유서 현상을 많이 강조한다. 그런데 한국어의 친척 호칭어는 중국의 그것보다 장유유서를 강조하는 면이 더 현저하다. 서양의 친척 호칭보다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친소관계가 더욱 분명하다. 특별한 것은 한국어에서는 ‘촌(寸)’의 개념으로 친소관계를 드러내는 것인데, 촌수가 적을수록 관계가 가깝다. 그래서 촌수만을 봐도 친척과의 친소관계를 알 수 있다. 매개호칭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 존재하는 현상이지만 각각의 특성이 있다. 중국어의 매개호칭은 한국어보다 많이 복잡하다. 매개호칭이 형성된 원인이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봉건종교의 영향이고, 다른 하나는 호칭 대상과의 감정요소이다.
제5장은 한·중 擬친척 호칭의 대조연구이다. 친척 관계가 없는 대상을 친척 호칭어를 사용해서 호칭하는 경우를 擬친척 호칭어라고 한다. 擬친척 호칭어는 대체로 사적인 대화 상황에서 많이 사용하며 상대방에게 겸손과 존중을 나타낸다. 이런 호칭들은 듣는 사람이 존중 받고 예우 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하므로 서로의 관계를 더 친밀하게 만들 수 있다.
한중 擬친척 호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擬친척 호칭어는 똑같이 주로 잘 알고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둘째, 중국어에서 ‘老,大,小’ 또는 성과 같은 부가 신분표기를 통해서 친척 호칭과 擬친척 호칭을 구분하지만 한국어에서는 그런 것이 없다. 셋째, 중국어에서 친척이 아닌 사람에게 사용하는 擬친척 호칭어는 방계 친척 호칭어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어에서는 직계 친척 호칭어를 많이 사용한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