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복수접미사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この論文は、映像資料の台詞略论を通して、韓国語と日本語の複数接辞詞の使用における相違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目的がある。  韓国語と日本語は、構造的に性格が...

この論文は、映像資料の台詞略论を通して、韓国語と日本語の複数接辞詞の使用における相違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目的がある。
 韓国語と日本語は、構造的に性格が良く似た言語であり、単数・複数の区別においても、英語等に比べ、はっきりしていないという共通点を持っている。両言語の複数表現の類型は似ているが、複数表現の中でも複数接辞詞を使った表現は、使用において違った性格を見せる。よって、両言語の複数表現を考察し、使用においてどのような違いがあるのか、映像資料の台詞略论を通した略论が必要だと考えた。
 そのために、まず2章では、韓国語と日本語の複数表現の概念と類型を調べた。類型数のみを見ると、日本語が韓国語より1種類多く、日本語のほうがより多様に表現されるように思える。しかし、日本語の複数接辞詞は、結合において多くの制限があるため、実際にはそうではない。
 3章では2章を基本にし、本研究の主題である、複数接辞詞の類型と特徴を調べた。韓国語の複数接辞詞と日本語の複数接辞詞の最も大きな違いは、日本語の複数接辞詞は、状況によって使い分けられ、複数接辞詞それぞれは、微妙な意味の違いを持っているということだ。
 4章では、3章で考察した韓・日複数接辞詞の使用において、両言語間でどのような相違点があるのか、使用頻度と使用法に注目し、映像資料から台詞を抽出して台詞略论を通し調べた。
 略论結果を1)韓国語でのみ複数接辞詞が使用される表現の場合、2)日本語でのみ複数接辞詞が使用される表現の場合、3)両言語で複数接辞詞が使用される表現の場合に分け整理した。1)では違いが生じる理由を全部で4つに整理した。一つ目は、複数接辞詞の結合の制限、二つ目は、日本語の主語省略、三つ目は、集団名詞の使用、四つ目は、韓国語の‘複数性の複写’である。2)の場合は、言語構造的な違いと、韓国語の主語の省略という2つの理由があった。また3)では、日本語でのみ、状況や複数で表す相手によって複数接辞詞が使い分けられることと、日本語では、ある対話の中で、一度複数接辞詞を使って表現された単語が、一貫して複数接辞詞を使った形で表現されている場合を見つけることは難しいということがわかった。
 5章では、本研究の目的である、韓・日複数接辞詞を使用した複数表現の使用において、両言語間でどのような相違点を見せるのか、類型の考察と映像資料の台詞略论の結果を通して再び整理し、これからの研究の課題を提起した。
 本研究では、映画から抽出できる対話のみを対象にし、研究したという点が残念である。より自然な日常会話では、この研究と同じ様な結果が得られる可能性もあり、そうでない場合もある。よって、これからの研究では、人々の日常生活から抽出できる、実際の会話を略论し、その使用において、どのような相違点を探すことができるのかに関する研究が進むことを、また、本研究が、これからの研究の役に立つことを願っている。

이 논문은 영상자료의 대사분석을 통해 한국어와 일본어의 복수접미사 사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구조적인 성격이 아주 유사한 언어이며 단...

이 논문은 영상자료의 대사분석을 통해 한국어와 일본어의 복수접미사 사용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구조적인 성격이 아주 유사한 언어이며 단수·복수의 구별에 있어서도 영어 등에 비해 분명하지 않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양언어의 복수표현 유형은 비슷하지만 복수표현 중에서도 복수접미사를 사용한 표현은 사용에 있어서 다른 성격을 보인다. 그러므로 양언어의 복수표현을 고찰하여 사용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영상자료의 대사분석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복수표현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유형 수만 봐서는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한 가지 더 많아 일본어가 더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일본어 복수접미사는 결합에 많은 제한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주제인 복수접미사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복수접미사와 일본어 복수접미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일본어 복수접미사는 경우에 따라 사용이 구별되며 복수접미사 각각은 미묘한 뜻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고찰한 한‧일 복수접미사의 사용에 있어서 양언어간에서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사용빈도와 사용법에 주목하여 영상자료에서 대화를 추출하여 대사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1) 한국어에서만 복수접미사가 사용되는 표현인 경우, 2) 일본어에서만 복수접미사가 사용되는 표현인 겨우, 3) 양언어에서 복수접미사가 사용되는 표현인 경우로 나누어 정리해보았다. 1)에서는 차이가 생기는 이유를 모두 네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는 복수접미사 결합의 제한, 둘째는 일본어 주어생략, 셋째는 집단 명사 사용, 넷째는 한국어의 ‘복수성의 복사’이다. 2)의 경우는 언어구조적인 차이와 한국어 주어의 생략이라는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 또한 3)에서는 일본어에서만 상황이나 복수로 나타내는 상대에 따라 사용되는 복수접미사가 구별된다는 것과 일본어에서는 한 대화 속에서 한 번 복수접미사를 사용해 표현된 단어가 일관해서 복수접미사를 사용한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를 찾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냈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인 한‧일 복수접미사를 사용한 복수표현 사용에 있어서 양언어간에서 어떤 차이점을 볼 수 있는지 유형에 대한 고찰과 영상자료의 대사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시 정리한 다음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에서 추출할 수 있는 대화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더 자연스러운 일상회화 속에서는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루어지는 연구 속에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추출 할 수 있는 실제대화를 분석하여 그 사용에 있어서 어떤 차이점을 찾을 수 있는지에 과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또한 본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의 도움이 되길 바란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