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 척도(K-OBC-Y)의 타당화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상화된 신체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Lindberg, Hyde와 Mckinley(2006)가 개발한 아동ㆍ청소년용 상화된 신체의식 척도(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를 한국어로 번...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대상화된 신체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Lindberg, Hyde와 Mckinley(2006)가 개발한 아동ㆍ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 척도(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이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청주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 남녀학생 7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K-OBC-Y(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 이하 K-OBC-Y), 신체존중감 척도(Body-Esteem Scale for Adolescents and Adults: BESAA),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SATAQ), 공적 자기의식 척도(Public Self-consciousness Scale), 섭식태도 척도(Eating Attitude Test-26: EAT-26)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OBC-Y의 구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체 감시성과 신체 수치심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K-OBC-Y의 구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청소년기 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 K-OBC-Y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비교에서 성별과 학교급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교급 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
셋째, K-OBC-Y의 수렴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요인간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 척도 간 상관관계가 높았다.
넷째, K-OBC-Y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신체의식 관련 척도(신체존중감 척도,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 공적 자기의식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K-OBC-Y와 신체존중감 척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 및 공적 자기의식 척도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K-OBC-Y의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체중감량 시도의 유/무, 과거 체중감량 시도 횟수의 다/소로 집단을 구분하여 K-OBC-Y의 하위척도인 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과 전체 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현재 체중감량 시행 집단과 과거 체중감량 횟수가 많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여섯째, K-OBC-Y의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EAT-26의 고위험 절단점인 20점을 기준으로 섭식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으로 구분한 뒤, K-OBC-Y의 하위척도인 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과 전체 척도에서 점수를 비교한 결과, 섭식장애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K-OBC-Y가 섭식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을 잘 변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합치도 Cronbach α를 산출한 결과, 신체 감시성 α=.86, 신체 수치심 α=.77, K-OBC-Y 총점 α=.84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K-OBC-Y) which was developed by Lindberg, Hyde, and McKinley(2006) to measur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K-OBC-Y) which was developed by Lindberg, Hyde, and McKinley(2006) to measur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the tendency to view oneself as an object to be looked at and evaluated by others-for adolescent youth.
The subjects were 754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7 through 11 in Seoul and Cheongju. They were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K-OBC-Y), the Body-Esteem Scale for Adolescents and Adults(BESAA),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SATAQ),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cale, and the Eating Attitude Test-26(EAT-26).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showed that K-OBC-Y had two factor structures representing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by school level interaction effect and no main effect of school level.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ender on the K-OBC-Y.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did male students on the body surveillance subscale, the body shame subscale and the total score of the K-OBC-Y.
Third, pearson correlations showed that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Fourth, pearson correlations among other relevant scales with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uch as the BESAA, the SATAQ and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cale showed that the K-OBC-Y was negatively related to body esteem and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Fifth, mean score of the K-OB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sent weight-control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periences of weight-control than the no weight-control group and the group with less experiences of weight-control, respectively.
Sixth, mean score of the K-OB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ating disorder symptom group than the normal group in eating disorder. The K-OBC-Y was confirmed to be useful to discriminate the eating disorder symptom group from the normal group in eating disorder.
Seventh, internal consistencies (α) of the K-OBC-Y scales were good: .86 for the body surveillance subscale, .77 for the body shame subscale and .84 for the total score of the K-OBC-Y.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