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trend has been observed in Japanese teaching in Korean high schools since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tarted in 2002. Listing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and “focus on learner” as maj...
A new trend has been observed in Japanese teaching in Korean high schools since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tarted in 2002. Listing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and “focus on learner” as major key words, this educational curriculum focuses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iming to nurtu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ctive participation in exchange activities with Japan.
As the result of the analyses of 3 representative types of authorized high school textbooks and teaching,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arge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Japanese teaching actually conducted.
This study proposes team teaching in collaboration between a native Japanese speaker teacher and a Korean Japanese teacher who is not a native Japanese speaker as a method to improve the problems in Japanes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n high schools and achieve the learning targe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eam teaching which i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a native Japanese speaker teacher in the regular class is currently not popular among Korean secondary education. Meanwhile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at Japanes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evels, team teaching by a Japanese English teacher who is not a native English speaker and an assistant teacher who is a native English speaker is popular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 and glob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a large number of researches on this team teaching and its practical examples have been ed.
With regard to Japanese teaching, too,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native Japanese speaker teacher participates in the class in overseas secondary schools. To understand specifically how the teaching is conducted, a field survey on team teaching was carried out in Australia and Canada.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 was found that native Japanese speaker teachers played various roles within as well as outside the classroom and the team teaching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needs for Japanese education. In these 2 countries, team teaching received a positive review by learners and local Japanese teachers who are non-native Japanese speakers.
Subsequently, a survey on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attitude towards team teaching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eam teach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orean Japanese teachers thought that team teaching could be an effective motivation for learners and showed their interest in conducting team teaching if they have an opportunity, while learners expected that thei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would be enhanced through team teach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team teaching was actually conducted in Korean high schools by the author in collaboration with Korean teachers. As a result of implementation of this team teaching and the survey on it, very high reviews were obtained from both learners and Korean Japanese teachers, and effectiveness of team teaching was indicated. In the future, further conduct of such teaching will be necessary to accumulate practical examples and classroom research findings of team teaching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In the present day, overseas secondary students make up a large portion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however study on Japanese education in overseas secondary schools and non-native Japanese speaker teachers who are teaching overseas are very limited.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hich covers a new theme of collaborative language teaching in overseas secondary education conducted by a non-native speaker and a native speaker teacher, will help facilitate studies in this field in which future potential of development is expected.
한국 고등학교의 일본어교육은, 2002년부터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어 새로운 움직임이 보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특히,「의사소통능력 신장」「일본문화 이해」「학습자 중심」을 키...
한국 고등학교의 일본어교육은, 2002년부터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어 새로운 움직임이 보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특히,「의사소통능력 신장」「일본문화 이해」「학습자 중심」을 키워드로, 일본과의 국제교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일본어교육이 강조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일본어교육 현장에 있어서는 여러 과제들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고등학교 일본어 검정교과서 가운데 대표적인 교과서 3종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을 위한 활동·문화소개·학습자 중심의 활동 등이 제시되어 있지만, 교과서마다 내용이 달라, 제7차 교육과정의 해석의 차가 보였다. 그리고, 일본어 수업의 실상을 알아보기 위해, 복수의 고등학교 수업을 관찰 분석했다. 그 결과, 실제의 많은 수업들은, 교사가 한국어로 문법, 문화를 설명하고, 학습자는 듣기 중심으로 수동적이었다. 또한, 학습자의 발화는, 대부분이 단순히 반복하거나 번역하는 연습으로 한정되어 있고, 의사 소통을 위한 일본어 수업이라고는 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상기의 교과서분석 및 수업분석 결과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 목표와 실제 일본어 수업과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등학교의 일본어교육 과제를 개선하고, 제7차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한국인의 비원어민 일본어교사와 원어민 일본어 교사와의 협동수업(team teaching)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 중등교육의 현장에서는, 정규 일본어 수업에 원어민 일본어 교사가 참가해 한국인 교사와 함께 하는 협동수업은 현재 일반적이지 않다. 일본 초·중등교육의 영어교육에 있어서는, 의사소통능력의 신장 및 국제이해 교육을 위해, 원어민 영어교사가 보조교사로서 비원어민 영어교사인 일본인 교사와 함께 협동교육이 빈번히 행해지고 있고, 이 분야의 연구와 실천사례가 많이 보고 되고 있다.
일본어교육에 있어서도, 해외 중등교육에 원어민 일본어 교사가 수업에 참가하는 사례는 많이 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협동수업이 행해지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호주와 캐나다에서 협동수업에 관한 필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원어민 일본어 교사는 교실내외에서 여러 역할을 하고 있고, 그때그때의 일본어교육의 니즈에 맞춰 협동수업이 행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협동수업은 학습자 및 현지의 비언어민 일본어 교사로부터 긍적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고등학교에 있어서의 협동수업 가능성 고찰을 위해, 한국인 교사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동수업에 관한 의식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한국인 교사는 협동수업에 대해 학습자의 동기부여에 유효하고, 기회가 있으면 해 보고 싶어 하며, 학습자는, 협동수업을 통해 일본어능력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근거로, 실제로 한국 고교(인문·실업계고교)에서 필자는 한국인 교사와 함께 협동수업을 실천했다. 협동수업 실시후의 조사에 의하면, 협동수업의 주된 이점으로「학습자와 한국인 교사가 교실내외에서 자연스러운 일본어 사용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학습자의 학습동기가 높아진다」「일본문화를 실체험할 수 있다」
「한국인 교사의 일본어능력 향상과 지도방법 연구가 가능해 진다」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이번 협동수업 실천 및 조사 결과, 학습자 및 한국인 교사로부터 상당히 높은 평가를 얻어, 협동수업의 유효성을 보여줬다. 앞으로는 이러한 실천을 지속적으로 행하여, 한국 중등교육의 협동수업의 실천사례 및 수업연구를 축적해 나갈 필요가 있다.
현재 일본어교육에 있어서는, 많은 학습자들이 해외 중등교육 과정의 학습자들임에도 불구하고, 해외 중등교육의 일본어교육과 해외에서 일본어를 지도하고 있는 비원어민 교사에 관한 연구는 크게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해외 중등교육의 일본어교육 및 비원어민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동언어교육(collaborative language teaching)이라고 하는 새로운 테마를 다루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요망되는 이 분야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