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미디어 재현과 초국가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래로 한국에서 초국가주의와 다문화 담론을 촉발시킨 결혼이주여성의 이슈를 통해서 매스미디어가 가시적으로 재현하는 것과 비가시적으로 은폐하는 것에 ...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래로 한국에서 초국가주의와 다문화 담론을 촉발시킨 결혼이주여성의 이슈를 통해서 매스미디어가 가시적으로 재현하는 것과 비가시적으로 은폐하는 것에 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매스미디어가 한국에서 일어나는 국제결혼 이주 현상을 농촌 중심의 문제로 재현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고, 그 흐름에서 소외된 수도권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일상과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밝혀 하위집단 수준에서의 초국가주의 현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제결혼의 증가 추세가 두드러지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총 8년간의 신문기사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고, 여기서 도출된 결과들을 실제 한국 내 국제결혼이주 현황과 대조하는 작업을 거쳐 매스미디어에서 배제되었던 수도권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해 주목하였다. 수도권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일상과 생활공간, 그리고 네트워크와 그로 인해 형성되는 농촌의 결혼이주여성과는 차별적인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총 13명의 수도권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과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도권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일상과 사회관계 및 네트워크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신문보도는 크게 (1) 국제결혼의 이슈화 시기, (2) 국제결혼의 사회적 인식기, (3) 국제결혼과 다문화주의 결합기의 세 시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연구자가 분류한 세 시기동안 민족 이데올로기부터 다문화 담론까지 한국 사회의 국제결혼에 관한 재현 과정의 변화가 있었다.
둘째, 신문기사는 전 시기에 걸쳐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실제 통계 수치와는 달리 농촌 중심의 문제로 묘사하여, 결혼이주여성을 사회적으로 소외된 공간인 농촌의 ‘타자’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스테레오타입화(stereotyping) 과정은 결혼이주여성을 농촌이 가진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속에 포섭하여 농촌 문화에 동화될 것을 강요한다.
셋째, 반면 매스미디어의 재현 과정에서 배제되는 수도권 거주 결혼이주여성은 미디어를 통한 외부적 범주화 과정에서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 보다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이들은 한국과 모국 사이에서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속하며, 두 국가 사이에서 유연적 정체성(flexible identity)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 거주 결혼이주여성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 보다 초국가적 이주자(trans-migrant)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한국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농촌지역을 사례로 제시하였던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수도권으로 제시되는 도시지역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과정에서 실시한 심층면담 대상자 수가 13명으로 한정되어있고, 연구의 편의를 위해 심층 면담자 모집 과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한 면담이 가능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도권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특성을 일반화하거나 객관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thesis attempted to reveal the attitude of mass media in the representation and exclusion about female marriage migrants who have derived on the discourses of trans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since the mid 1990s. This research poin...

This thesis attempted to reveal the attitude of mass media in the representation and exclusion about female marriage migrants who have derived on the discourses of trans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 since the mid 1990s.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fact that mass media in Korea are inclining to regard the increasing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tion as the problems of rural areas. From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in the everyday life and social networks of international female marriage migrants in the Capital Region, and to explain their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as subcultural phenome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ories and issues of female marriage migrants from all of newss in Korea from 2000 to 2007. And then, the results from news analysis were used to compare with the real trend and phenomena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 order to reveal the exclusion of mass media on female marriage migrants in the Capital Region.
This research utilized the method of intentive interview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 life, living space, social relations and transnational networks of female marriage migrants. Interview had been carried out from 13 migrants in the Capital Region and tried to reveal the difference of identity among female migrants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rural areas.
The results arise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n the news s shows the periodic change of representation from the stage on the increasing issue of international marriage, to the stage on the social realiz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n to the stage on the combin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ism. This periodic changes clearly reveal the changing representation of Korean society on the international marriage from ethnic ideologies to multicultural discourses.
Second, from 2000 to 2007, newss' s on female marriage migrant were biased, representing them as the problems of the rural areas and regarding them as 'the otherness' of rural space which has been socially excluded from the city space. This stereotyping process has been forcing female marriage migrants to be assimilated into the rural culture which has been formed with the basis of ethnical and patriarchal ideology.
Third, this research revealed the fact that female marriage migrants in the Capital Region were relatively free in the representation by mass media because they are excluded in usual from the external categorizing process by mass media. However, in actual, they have formed and developed diverse social networks between their original countries and Korea, making and forming a transnational identity, namely flexible identity. Therefore, female marriage migrants in the Capital Region are becoming more trans-migrant than the migrants in the rural areas as the latter is more suffering from an enforcement of assimilation into rural culture.
This research thus presents some implications on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representation of mass media about female marriage migration and on the understanding of transnational identity formed by female marriage migrant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