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주격중출구문의 명사구 의미관계와 서술어의 의미·통사론적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주격중출구문의 문장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한국어 주격중출구문의 명사구 의...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주격중출구문의 명사구 의미관계와 서술어의 의미·통사론적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주격중출구문의 문장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한국어 주격중출구문의 명사구 의미관계는 전체-부분 관계, 친족 관계, 속성 관계, 소유자-피소유물 관계, 부류-성원 관계, 주어 재귀 관계, 양화 관계와 기타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미관계는 서술어의 의미·통사론적 성격에 따라 다시 분리관계와 비분리관계로 나눌 수 있다.
명사구 의미관계와 서술어에 따른 격과 의미역은 명사구로 하여금 적절한 구조적 위치를 점유하여 일정한 문법기능을 획득하도록 하는 문법적 장치이다. 즉 명사구 의미관계와 서술어의 의미·통사론적 성격에 따라 문장의 의미역 관계와 격 관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문장구조가 달라진다. 본고는 형용사와 동사가 서술어로 나타난 한국어의 주격중출구문을 대상으로 하여 격과 의미역을 분석함으로써 주격중출구문의 문장구조를 검토하였다. 논의를 위하여 각 구문의 선행 명사구와 후행 명사구에 부여되는 의미역과 격, 문장 구성을 표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한국어의 주격중출구문은 문장구성의 유형에 따라 주어-보어 구문, 이중주어 구문과 주제-주어 구문 등 3 가지 구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보어와 비통사적 주제에 부여되는 격을 무정격으로 보고 이 3가지 구문 유형 중에 이중주어구문만 전형적인 이중주격 구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3가지 유형의 주격중출구문은 주어존대 가능성, 생략 가능성, 사동구성 가능성에 있어서 서로 다른 통사적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