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ecific needs for diplomat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s and also seeks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ourse to improve diplomats'' spoken communication competence at work. This dissertati...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ecific needs for diplomat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for occupational purposes and also seeks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ourse to improve diplomats'' spoken communication competence at work.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six chapters. The first chapter, which is introductory, points out a lack of curriculums and syllabi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for professional use. The numbers of these learners are increasing rapidly.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need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courses for diplomat learners whos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important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 Also, in this chapter, previous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and Korean speech education are examined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explained. The second chapter define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ajor duties, roles and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of diplomats in order to understand target learners. It then provides definitions, objectives and categories of Korean education for diplomat learners and examines the U.S. FSI (Foreign Service Institute) speaking proficiency test to learn how the speaking proficiency of diplomats is tested. The third chapter analyzes collected survey data to find out diplomat learners'' difficulties when speaking Korean during work settings and what would help them to prepare more for their jobs. Survey questions are designed as a result of face-to-face interviews with a sample group of subjects and then the survey is administered not only to diplomat learners, but also their Korean colleagues to identify topics, speech-based functions, tasks and preferred method for learning Korean speech. The fourth chapter suggests contents for teaching Korean speech to diplomat learners for work purposes based on Chapter 2 and 3. First of all, topics through related subject matter such as Korean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are selected. Then, speech-based functions, tasks, and a variety of speech activities which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are suggested. Lastly, it describes special features of Korean discourse such as structure or framework for discourse, discourse markers, nonverbal communication, to name a few, which can help diplomat learners to improve spoken communication skills. In the fifth chapter, a pedagogical model using contents from Chapter 4 is applied and a sample class proposed and demonstrated. In detail, this class is composed of 2 key steps, a ''preparation step'' and a ''task step''. The ''task step'' is then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that are processed in order of ''pre-speaking'' – ''speaking'' – ''post-speaking''. Finally, the sixth chapter sums up the thesis and concludes it with a discussion on future directions in this field of research.
본 연구는 직업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교관 학습자들의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교관 학습자 및 이들의 한국인 ... 본 연구는 직업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교관 학습자들의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교관 학습자 및 이들의 한국인 동료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직업 목적 외교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내용 및 구체적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에 비해 관련 연구나 교육과정 개발이 미흡함을 문제로 지적하면서, 직업 목적 학습자 중에서도 외교관 학습자를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의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외교관 업무에서 말하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일반적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 다른 직업 목적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외교관을 위한 직업 목적 말하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외교관이라는 직업의 특성, 직무, 역할 및 외교관의 외국어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직업 목적의 언어 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을 통해 외교관을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 목표, 분류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영어권 국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표적인 외교관 대상 말하기 숙달도 평가인 ‘FSI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내용을 통해 외교관의 외국어 말하기 숙달도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개별 면접을 통한 사전조사를 통해 본 설문조사 문항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을 도출한 뒤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와 같이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현재 한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어권 외교관과 이들의 한국인 동료의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외교관 업무에서 필요한 말하기 주제, 기능, 과제 및 한국어 수업에 대한 요구 등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2장에서 설정한 교육의 방향과 3장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교관을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외교관 학습자의 업무와 관련된 말하기 주제를 선정하였고, 학습자들이 업무에서 자주 수행하는 말하기 기능 및 실제 업무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말하기 과제와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말하기 활동들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외교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외교관을 위한 직업 목적의 말하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단계에 따른 실제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학습 모형은 크게 ‘준비 학습’과 ‘과제(task)’ 단계로 구성되고, ‘과제’ 단계는 다시 ‘말하기 전 단계 → 말하기 단계 → 말한 후 단계’로 진행되는 과제 중심의 단계별 말하기 수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정리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