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생활 국어』에 나타난 경어법 단원 교과서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어는 문장론의 경어법 발달로 언어의 아주 복잡한 통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생각할 때 사회 언어학적으로 강력한 구속력을 가지고 있다. ...

국어는 문장론의 경어법 발달로 언어의 아주 복잡한 통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생각할 때 사회 언어학적으로 강력한 구속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현행 중학교 『생활 국어』에 나타난 경어법 체계와 내용을 분석한 뒤,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생활 국어』지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제1장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지금까지의 경어법의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근거로 현행 국어 경어법의 용어의 정의 및 경어법의 체계 즉, 주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 객체 경어법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주체 경어법, 객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을 문법적 요소와 어휘적 요소로 나누어 예문을 통해 정리하였다.
제3장은 현행 중학교 『생활 국어』에 대상으로 언급된 경어법 관련 단원분석하였다. 또한, 『생활 국어』에 나타난 예문을 통해 주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 객체 경어법으로 나누어 확인해 보았고, 높임 어휘 표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문장의 호응 중에서 높임의 호응(행위의 주체나 높임의 대상에 따른 높임 관계)을 제시하고,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을 고치는 문제와 어휘의 낮춤말과 멀티미디어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경어 사용에 대한 삽화 상황 설정과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오용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수준별 학습과 단원별 연계성을 특징지어지는 7차 교육과정『생활 국어』는 현 교과 시간에 수준별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경어법의 내용도 단원별로 전혀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나아가서는 실질적으로는 각 학년마다 교육 내용의 연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즉, 중학교 『생활 국어』에서는 경어법은 전체적인 개념을 학습할 기회를 주는 대신에 소단원의 활동으로 문장론의 하위 범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행 중학교『생활 국어』는 상황 중심으로 한 높임 표현을 강조하고 있으나, 경어법이 실현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지도 내용도 충분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하는 중요성에 비해 현행 중학교『생활 국어』의 경어법 비중은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내용을 가지고 경어법의 체계를 숙지하는 것은 너무도 어렵기 때문에 교재 재구성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제4장은 제3장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가지고 효과적인 경어법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교재의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경어법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경어법 체계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있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경어법을 지도할 때 실제 언어생활에서 예문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잃지 않도록 주안점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볼 때 높임 표현의 경시와 경어 사용의 혼란스러운 현실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학습자의 올바른 경어법 사용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에서 지속적인 지도와 관심이 필요하다.

The Korean Language is composed of very complex sentence structures, because of the advanced honorific expressions in a theory of composition. When think about the influence of actual expressions, it has very strong binding power from the viewpoint of...

The Korean Language is composed of very complex sentence structures, because of the advanced honorific expressions in a theory of composition. When think about the influence of actual expressions, it has very strong binding power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linguistic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out a right way of teaching for ''Live Korean Language'' in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Live Korean Language''(생활국어), problems are pointed out and the ways of improvement are discussed.
''Chapter I'' contain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and the history of teaching methods of honorific expressions up to the present roughly.
''Chapter II'' shows the definition and structure of recent honorific expressions, including Honorific for Subject (주체 경어법), Honorific for Listener (상대 경어법) and Honorific for Object (객체 경어법), as the structure of honorific expressions is explained with Honorific for Subject, Honorific for Object and Honorific for Listener, those honorific expressions are classified with the factors of grammar and vocabulary, and explained by examples.
''Chapter III'' shows the analysis of related honorific expression chapters in the ''Live Korean Languag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Live Korean Language'' are examined through the examples, and the needs of honorific expressions are suggested. The agreements of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sequential sentences are also suggested. Questions to fix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and illustrations about particular situations when honorific expressions should be used are presented in for students, who familiar with multimedia circumstance and unfamiliar with honorific expressions. Examples of improper use of honorific expressions are also presented.
However, the 7th educational process in the ''Live Korean Language'', that is characterized with a level study and a connection with chapters, is not effective. Because a level study does not work in actual lessons, and honorific expressions are not related in the different chapters. Furthermore, the effective educational connection in each grade does not work actually. In the other words,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Live Korean Language'' do not provide a chance of studying a general idea of them, because of limitation to be dealt with a small chapter in the theory of sentences. Thus, although the ''Live Korean Language'' in the middle school emphasizes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actual circumstances, it does not contain various circumstances. It can be said that the portion of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present ''Live Korean Language'' is very small, although it is really important in actual life. Consequently, it needs to reconstruct teaching materials, because it is too hard to teach the system of honorific expressions with those materials.
''Chapter IV'' suggests the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honorific expressions is toprogress with a communication ability to us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actual life, through the knowledge of the system of honorific expressions. Thus, these counterproposals in ''Chapter IV'' focus on increasing the interest of students by using actual examples of conversation, when honorific expressions are educated in the actual classes.
As to this research, the continual guidance and concerns both at home and school are required for students to use correct honorific expressions, because disordered honorific expressions are commonly used.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