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간과 되어온 부모화(parentification)정도의 영향력에 대해 재고하고, 부모화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간과 되어온 부모화(parentification)정도의 영향력에 대해 재고하고, 부모화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정도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부모화 정도와 부모-자녀관계의 질은 차이가있는가?
셋째, 부모화 정도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essions & Jurkovic(1996)의 성인용 부모화 척도를 번역한 한국어판(조은영, 2004)과 최인재(2006)의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와 기타 선행연구를 종합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370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주요 변수에 대한 전반적인 응답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t-test, ANOVA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증 방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관련 변수간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이 같은 연구의 자료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부모화 정도와 부모-자녀관계 질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부모화 정도에서 중집단에 가장 높은 비율(N=235, 63.85%)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부모-자녀관계의 질에서는 비교적 어머니의 경우, 자녀와 관계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의 경우가 부모화 정도가 크게 나타났고, 월 소득 수준이 낮으며, 질병이 있는 경우, 그리고 가족형태가 그 밖의 형태로 부모 중 한 분 또는 친인척과 사는 경우에 부모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조사대상자의 아버지와 자녀관계의 질을 비교해 보면, 여성보다는 남성, 부모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 월 소득 수준이 높을 경우, 핵가족인 경우 아버지와 자녀관계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자녀관계의 질을 비교해보면, 아버지와의 결과와도 유사하게 부모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가 가사 일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어머니와 자녀관계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부모-자녀관계가 낮은 저집단의 경우에 부모화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와 자녀관계에서는 부모화 정도에 따라 관계의 질이 반비례하지 않으며, 부모화 정도가 중집단이나 저집단 외 고집단인 경우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아버지와 자녀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거주하는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부모화 정도가 높은 경우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반면에 부모가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아버지와 자녀관계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자녀관계의 질로는 가족구성원 내 질병이 있는 경우 어머니가 주로 간병의 역할에 전념하므로 어머니와 자녀관계의 질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arentification on parent-child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feature of parentification? Second, i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arentification on parent-child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feature of parentification?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parentification and qual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s Social demographic variable? Third, is there a difference parentification and qual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 Finally, what are the other factors which influence qual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ith items to support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questionnaire obtained back ground data and information on a degree of parentification and a qual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o measure parentification, this study used a revised version of Sessions & Jurkovic's (1996) questionnaire.
A total of three hundreds seventy (N=370)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Kyunggi-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 completed Parentification Questionaire-Adult, Parent-Child Relationship.
I analyzed the data by first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an conduct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WIN 14.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are placed in middle group at degree of parentification and students have relatively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Second, generally, women have higher degree of parenificaiton than men. Also, the degree of parentification was high when the family member have disease, family has low income, and in single-parent family. In case of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child, son and dad relationship quality are better than daugther's. Also child had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 when they live parents, family income high, and family form is nuclear family. In case of child-mother relationship, children had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when they live with parents and their father do the house work himself.
Third, father and mother both had relatively high degree of parentification when they had low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However, the quality of mother and child relationship is not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egree of parentificati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child have big difference in high degree of parentification group comparing with mid-group and low-group.
Fourth, this study found the factors which can effect child-parent relationship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When the parents live child, age is low, and the degree of parentification is high, the quality of father-child relationship is high and the factors' influence power is greater in the order of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father and child relationship is low when parents have disease. When one of the family member has disease, the quality of mother and child relationship is low because mother have to care and help the sick member.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