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법형태소 습득 및 문해능력에 지체를 보이는 청각장애학생 4명을 대상으로 그림을 통한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를 실시하여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과 문해능력에 미...
본 연구는 문법형태소 습득 및 문해능력에 지체를 보이는 청각장애학생 4명을 대상으로 그림을 통한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를 실시하여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특정 구문에서의 오용은 여전히 잔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 검사에서는 크게 세 가지 패턴으로 나타났는데, 1) 조사 및 어미의 지도 후 바로 정답수의 증가를 보이는 학생, 2) 일정기간 동안은 그렇다할 증가양상을 보이지 않다가 지도가 완전히 종료된 시점에서 증가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학생, 3) 지도 후 문법형태소 사용의 혼란을 겪는 학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오용형태로는 조사는 ‘받다문’과 ‘사동문’에 있어서 오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어미는 전성어미보다 접속어미의 사용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접속어미 중에서도 대등접속소보다 종속접속소의 사용에서 오용이 현저하였으며, 특히 ‘-도록’과 ‘-거든’의 오용이 두드러졌다.
작문에 나타난 문법형태소 변화양상으로 조사는 1) 새로운 조사가 출현하면 오용을 거쳐 조사 사용이 분화되는 학생, 2) 한정된 조사의 사용에서 다양한 조사의 출현과 함께 오용이 증가하는 학생, 3) 일정한 조사를 사용하다가 다양한 조사의 습득과 더불어 사용의 혼란을 겪는 학생으로 구분되었다. 오용은 부사격조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어미는 1) 지도 후 오용이 감소되나, 일정 시기에 ‘-고’와 ‘-(어)서’를 통한 계기적 나열관계가 급격히 증가하는 학생, 2) 한정된 어미를 사용하다가 지도 후 ‘-고’와 ‘-(어)서’를 집중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통한 내포문 구성이 활발해지는 학생, 3) ‘-고’를 고빈도로 사용하다가, 어미의 지도 후 ‘-고’의 사용이 감소되고 전성어미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어미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학생, 4) 고착화된 어미 사용 패턴을 보이는 학생으로, 참여학생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두 명의 중학생에게서만 나타났던 특징으로 문법형태소의 오용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정형화된 수화식 표현이 사용되었다.
둘째,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문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중학생 참여학생에서 두드러진 변화양상을 나타냈다.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에서는 문법형태소 및 구문구조에 초점을 맞춘 문항에서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오류 문항에 있어서는 문장이해에 있어 통사적 지식뿐만 아니라 어휘의 의미 파악이 전제가 되는 문항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더불어 문장 내의 미습득 어휘가 문장이해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할 경우 이해에 곤란을 나타냈다.
읽기 및 쓰기 검사에서는 읽기는 문장배열 하위검사에서, 그리고 쓰기는 문장구사력 하위검사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가져왔다. 검사 문항별 특징으로 문장 내에 미습득 부사어가 존재할 경우 부사어와 정합을 이루는 동사를 유추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빈칸에 적절한 부사어를 선택하는 문항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가장 낮은 수행능력을 나타낸 하위검사 영역은 읽기에서 짧은 글 이해, 쓰기에서 글 구성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tence instruction by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on grammatical morpheme use and literacy abilities for fou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ose students employed in this study showed 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tence instruction by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on grammatical morpheme use and literacy abilities for fou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ose students employed in this study showed delay in acquisition of grammatical morpheme and literacy development. The major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tence instruction by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however it became clear that misuse in specific sentences still remained.
The results from the test of grammatical morpheme ability were presented in three cases such as: 1) a student that showed an immediate increase of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fter receiving the instruction of particles and endings; 2) a student that showed little change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the increment was remarkable in the time when instruction had ended completely; 3) a student that showed confusion i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after intervention. From the investigation of a pattern of misuse, it revealed notable errors of particles in 'receive sentence' and 'causative sentence'. And difficulties were presented in the use of conjunctional endings more than embedded endings. Among conjunctional endings, there were more salient misuses of subordinate conjunctions than coordinate conjunctions, specially in '-dorock(-도록)' and '-geodeun(-거든)'.
I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presented participants' compositions, aspects of the change in the particle were classified as follows: 1) a student that showed the use of particles differentiates after experiencing a misuse when a new particle appears; 2) a student that showed the increase of misuses along with appearances of various particles from the use of limited particles; 3) a student that showed confusion of particle use due to the acquisition of various particles after experiencing a certain number of particles use. The main misuses in the ending were presented such as: 1) a student that showed a decrease of misuse after instruction, but an enumeration relationship of temporal sequence by using '-go(-고)' and '-eoseo(-어서)' appeared rapidly; 2) a student that used limited endings before sentence instruction, but constructed embedded sentences actively by using embedded endings after instruction, and used '-go' and '-eoseo' intensively at the same time; 3) a student that used '-go' frequently before instruction then less used '-go' with using other forms of endings including embedded endings after instruction; 4) a student that used an adhered form of ending. Two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tandardized sign language expression which can not be explained from the misuse of grammatical morphemes.
Second, there were positive impacts on improving literacy ability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sentence instruction of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Specially, a remarkable change was seen in the middl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entence comprehension tests, there were remarkable improvements in the test items focusing on grammatical morphemes and syntactic structure. From their mistakes,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ies in the test items which require syntactic knowledge as well as a grasp of vocabulary. Furthermore they show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when non-acquisition vocabularies, which offer decisive clue to understanding of sentences, were present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tests, remarkable changes were showed in sentence arrangement in reading sub-tests, and sentence command ability in writing sub-tests. From the characteristic of test items, if a non-acquisition adverb was in the sentence,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ies inferring a verb which corresponds with the adverb. Also, difficulty was presented in the question items from which an appropriate adverb had to be chosen in a blank. Among reading and writing tests, sub-tests with the lowest performance were 'comprehension of short ' in reading and 'text composition' in writing.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