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調와 絶句의 形式美 比較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정형시가인 시조와 절구의 율격 및 형식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두 시형에 드러나는 형식미에 대해서 고찰하여 비교 연구를 통해 두 시형의 형식미의 공...

이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정형시가인 시조와 절구의 율격 및 형식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두 시형에 드러나는 형식미에 대해서 고찰하여 비교 연구를 통해 두 시형의 형식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시조와 절구의 두 시형이 지니는 율격구조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조와 절구의 운율체계를 비교한 결과, 시조는 음수율과 음보율에 의해 이루어지는 음량율격으로서의 율격체계를 가지며, 절구는 고저율 즉 평측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율격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두 시형은 서로 다른 율격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시조와 절구의 형식을 각각 살펴보고, 시조의 장과 절구의 구와의 상관관계에서 시조의 제3행 첫 구가 절구의 전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미의 전환이라는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조는 의미구조에 따라 2단구조론, 3단구조론, 4단구조론으로 구분된다. 절구의 형식은 起承轉結의 4단구조, 전후반 2단구조, 三一式의 구조와 一句一絶의 구조로 구분된다. 시조와 절구의 운율구조와 형식에 대한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결과 두 시형에 드러나는 형식미는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나누어서 요약 정리할 수 있다.첫째, 두 시형은 모두 다양성과 통일성이 있다는 것이다. 음보의 음절수의 다양성이 氣息의 等長性과 音持續量에 의해 규칙적이면서 통일성이 이루는 동시에 다양성과 통일성이라고 하는 형식미가 드러냈다. 절구는 감탄문, 부정문이나 의문문의 등 복잡한 표현수법을 사용해 통일된 형식을 지키는 동시에 융통성 및 다양성의 미의식이 드러난 것이다. 둘째, 시조와 절구의 형식미는 대칭이라는 점에서도 나타난다. 시조는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은 4음보격의 중간휴지로 인해 다시 대칭되는 두 개의 구로 이루어진다. 절구에서도 대장 또는 대구의 격률적인 특징을 통해 시행에서나 시편 전체적으로 대칭적 및 균형적인 미의식을 자아냈다. 셋째, 시조와 절구는 모두 짧고 고정된 정형시로서 시형을 통해 정제미와 조화미를 이룬다는 것이다. 시조와 절구는 모두 자수와 행수가 한정되어 있어 고정된 형식 안에서 간결하고도 함축적으로 詩想과 詩意를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세련된 느낌과 형식상의 정제미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단정하고 아담한 단아미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시조와 절구는 모두 시형이 짧고 시어가 간단명료해야 되는 동시에 화자의 뜻을 표현해야 함으로 함축적인 수단이 꼭 필요하게 된다. 즉 자수와 행수가 한정되어 있어 간결하고도 함축적으로 쓰여 두 시형의 함축미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다섯째, 시조와 절구의 자연미는 '天人合一'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자연을 묘사하는 것으로 화자의 서정적인 정서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이럴 때 곧 객관적인 세계와 주관적인 이념을 결합하여 '天人合一'의 자연미를 드러낸다. 시조와 절구의 형식미를 비교한 결과 두 시형의 차이점도 있다는 것이다. 시조는 3장6구의 형식으로 대상과 자아가 병렬관계에 있는 1·2행과 그것이 극복되고 대상과 자아가 합일화하는 3행의 접속종결하는 것으로 종장에서 시상이 완결되면서 통일이 되는 미의식을 드러내었다. 반면에 절구는 제4행에서 독자들에게 여백을 남겨주는 것으로 시는 4행에서 완결은 된다고 하지만 詩意는 아직 계속된다는 느낌이 들어 독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상상에 맡기고 시의 더욱 풍부한 의미와 완전한 구성을 구상해내는 재미가 드러나는 여운의 미를 드러다고 할 수 있다. 시조와 절구의 형식미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시가문학뿐만 아니라 두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도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이것은 또한 양국의 서로 다른 민족의 정서를 두드러지게 드러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시조와 절구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가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tre and form of Sijo and Jueju,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forms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and to make a comparis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formal beauty between S...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