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Typology of TV Format : An Asp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Story, Pla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new useful typology for TV format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n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factors co... A New Typology of TV Format : An Aspect of the Relationship among Story, Pla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a new useful typology for TV format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n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factors composing TV format. The study inspects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typology and definition of the non-scripted TV format especially. It tries to define the difference of TV format and TV program consistently causing confusion. A TV program is normally designed in the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related in broadcast coverage and programming. Otherwise a TV format emphasizes universal events of huma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des for targeting global audiences. Therefor the study focuses that a TV format uses universal cultural factors actively for global consuming. While the previous typology has focused on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use, a new typology of the study is useful to interpretate and create formats. In this flow, universal cultural factors organizing TV formats are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The story is considered the key elements of a scripted format like a soap opera. But the study identifies that the non-scripted format such as the survival, the audition and the game show uses storytelling very broadly. It classifies four general types of stories with Orson Scott Card's M.I.C.E. quotient which means Milieu, Idea, Character and Event. The play is the universal culture phenomenon existing anywhere. After TV has been on the living room, the play is easily found on the entertainment TV format like a game show including diverse gaming elements. When comparing the TV format and the characteristic of play, the study finds that they share the same cultural structure reproducing the meaning. In addition, the study adopts the types of play by Roger Caillois like agon, alea mimicry, Ilinx for formalization. Media mediates TV format texts. Media is substance of expression and itself can be a main concept of format. Providing digital editors provokes the change of story aspect.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makes the new environment of play and new storytelling. A smartphone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make the users gather in the virtual space as a platform not in the physical space where TV is placed. The study formalizes the format as a media platform and media technolog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formats and media development. The story, the play and the media ha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producing the mutual meaning.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s the types according to their status like how it occupies in the format. As a result, a new typology can suggest clearly what the audience prefer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e matches among types of format text and it has strength to categorize all types of formats without exception. It also finds the actual concept of individual TV format which the previous typology has lost before. Actually it tries to make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character, the event, the stage, the plot and the viewpoint. It suggests how to make a concept of the character, how to use the stage equipment, how to use audience, how to apply media specifically. Finally It suggests the format creation system including interpretation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To sum up, the study interpretates TV format text based on the universal cultural factor through a new typology, which makes to create TV format. It tries to change viewpoint of the economical and industrial TV formats focusing on the specific type and production to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with analytical value.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he positive impact on TV format production as well as the other relating studies and discourses.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본 연구는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중심으로 포맷의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본이 없는 오락 ...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본 연구는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중심으로 포맷의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본이 없는 오락 포맷을 대상으로 기존 TV 포맷 정의와 유형화의 유효성을 점검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혼동을 야기하는 TV 포맷과 TV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은 대개 방송지역과 채널 편성표라는 시공간의 한계 내에서 기획된다. 반면 TV 포맷은 글로벌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내용과 구조에서 국제적 코드와 인간 삶의 보편적 사건과 소재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TV 포맷이 전 세계 시청자에게 소구하기 위해 문화 보편의 요소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포맷의 유형화가 산업적 필요에 의한 구분에 그치지 않고, 생산과 실천을 의미하는 창작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 보편 요소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가 필요함을 밝혔다. TV 포맷의 외재적 형식이 아닌, 텍스트 내부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상호 관계성에 주목함으로써 개별 포맷을 해석하고 더 나아가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TV 포맷을 구성하는 문화 보편의 요소로 이야기, 놀이, 미디어를 상정하였다. 이야기는 드라마와 같은 대본이 존재하는 포맷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야기 원형으로 알려진 영웅서사를 포함한 스토리텔링 기법이 오디션이나 서바이벌 포맷 뿐 아니라 게임쇼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됨을 포맷 텍스트 및 문헌 분석 등을 통해 밝혔다. 아울러 특정 서술이나 사건이 이야기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준이 변화양상에 있음에 착안하여 세부 유형을 구분하였다. 주요하게는 오슨 스콧 카드(Orson Scott Card)의 분류법을 활용하여 사건변화와 인물 변화를 중심축으로 환경, 사건, 인물, 착상 이야기로 유형화하고 그 분류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놀이는 인류 문화권 어디에서나 발현되는 보편의 문화현상이다. TV가 거실에 자리한 이후, 놀이는 다양한 게임을 앞세운 오락 포맷의 형식에서 선명하게 포착된다. 놀이와 TV 포맷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자가 경쟁과 재현을 통해 의미를 재생산하는 문화적 구조를 공유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가 놀이의 상호 관계적이며 독립적 특성에서 착안한 분류법을 수용하여 포맷의 유형화에 적용하였다.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에 대응하는 유형으로 포맷들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디어는 TV 포맷 텍스트를 매개한다. 미디어는 표현의 질료인 동시에 그 자체로 포맷의 주요한 콘셉트가 되기도 한다. 디지털 편집기의 보급은 서사차원의 변화를 추동한다. 새롭게 개발된 카메라 기술 등은 시점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스토리텔링과 놀이 환경을 구축한다. 스마트폰과 네트워크의 발달은 TV가 놓인 물리적 공간이 아닌 플랫폼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이용자들을 모이게 만들었다. 이러한 관점의 연장에서 미디어의 발달과 포맷의 관계 고찰을 통해 미디어 기술과 미디어 플랫폼으로 관련 포맷을 유형화하였다. 포맷의 구성요소로 상정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는 상호배타적이라기 보다는 상호 반영적으로 의미를 생산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해당 요소가 포맷 내에서 점유하는 위상에 따라 각각의 유형을 새롭게 구분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유형화는 수용자의 TV 포맷 유형별 선호도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맷 텍스트 세부 유형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거의 모든 유형의 포맷을 예외 없이 포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밝혔다. 무엇보다 기존의 관습적인 유형화가 놓치고 있던 개별 TV 포맷의 실질적인 콘셉트를 확인하고 해석 및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화를 기반으로 TV 포맷 텍스트의 인물, 사건, 배경, 플롯, 관점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포맷에서 캐릭터 설정방법, 무대장치, 관객의 활용, 미디어 응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이야기, 놀이, 미디어라는 3원 요소의 대분류와 하위구분, 그리고 상호 관계성에 기반한 해석을 아우르는 포맷 창작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단순한 유형구분을 지양하고, TV 포맷 텍스트의 특징이 지시하는 문화보편 요소를 기반으로 해석을 도모하고 창작과의 연결고리를 잇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상품과 특정 양식이 강조된 TV 포맷이라는 경제·산업 중심의 관점이 아니라, 분석가치가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관점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TV 포맷 생산 현장은 물론 문화콘텐츠로서 TV 포맷과 관련한 담론의 다양성과 지속성을 추동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