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modern culture, ‘pleasure’ is regarded as the supreme good based on standards of individualism and utilitarianism. Thereby, human body is just degraded as a tool for pleasure, and the sexual pleasure prompted by instantaneous impulses is reduce... In modern culture, ‘pleasure’ is regarded as the supreme good based on standards of individualism and utilitarianism. Thereby, human body is just degraded as a tool for pleasure, and the sexual pleasure prompted by instantaneous impulses is reduced to momentary sensations and emotional feelings. Thus the frantic pursuit of sexual pleasure has resulted in becoming more distant from getting any pleasure, this is an evermore obvious phenomenon than in any periods of human history. This phenomenon further dismantles indivisible ties between nature and culture, between truth and freedom, sexuality and love, between sexual intercourse and procreation, and between sexual pleasure and personal joy, together. This intends to examine sexuality and sexual pleasure of the human pers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criptures and Catholic tradition. The distorted views and attitudes toward sexual pleasure will be critically reviewed in a way to find the potential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originally coupled the ‘sexual pleasure’(delectatio) and ‘personal joy’(gaudium) together. Christian ethics neither suppresses sexual impulse by law or regulations deducted from religious beliefs or pure reason, nor imposes guilt upon sexual pleasure. On the contrary, it illuminates nature with the light of revelation to elucidate the natural meanings of sexuality and sexual pleasure, and invites humans to live it to the fullest meaning. It helps sexual pleasure to be transformed into a complete personal joy. Teachings on human sexuality and sexual pleasure presented in the Bible and Catholic tradition can be understood in this way. The Scriptures and Catholic tradition neither regard sexual pleasure as evil nor deny it. Instead, the Scriptures and Catholic tradition preserve the true meanings of sexuality and sexual pleasure in the historical, religious, philosoph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era when the Christian revelation and tradition were shaped and formed. The Bible considers the sexuality and sexual pleasure a part of ‘human nature’(humanum) in God’s original plan, and sees the sexual pleasure as a way of deepening mutual love and of facilitating self-gift rather than as a seed of sins. Hence, it postulates that the human sexuality not only pursues ‘sexual pleasure’ but also intends for the intimacy and unity ‘between two persons’(communio personarum) based on reciprocity. This perspective is highlighted by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and of St. Paul. On the other hand, while Church Fathers considered human sex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odness of divine creation, they looked at sexual pleasure in association with ‘original sin’, and thereby provided the original ground the negative viewpoints on pleasure. St. Augustine made this point most explicitly, and his argument has been remaining in the mainstream of Christian theology. Thereafter, in the early Middle Ages and of Scholastic period, theologians started to recognize positive aspects of sexual pleasure. In particular, Thomas Aquinas paid his attention to the ontological value of sexual pleasure. He concluded that pleasure would become a complete joy when the order existed between pleasure and the ‘good of the person’(bonum personarum), the purpose of human behavior, is respected. Man is the being that “cannot live without love”(Redemptor hominis, n.10). Human sexuality and sexual pleasure are ‘the good’(bonum) given from the very moment of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and they are related with the self-realization of man in the dynamism of original desire for happiness. The natural tendency toward sexual pleasure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 human tendencies by the aid of reason, in the intention to achieve the supreme good. Through this, the sexual lives of married people and their sexual pleasure seek not for a ‘momentous satisfaction’, but for an ‘eternity’. Thereby, married couples could enjoy the genuine ‘joy’(gaudium) in their personal communion by way of their acts of love.
현대 문화는 개인주의와 공리주의에 기초하여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여긴다. 그래서 인간의 몸은 그저 쾌락의 도구로 전락되고, 성적 쾌락은 늘 충동에 의해 지배되며 찰나의 감각적 느... 현대 문화는 개인주의와 공리주의에 기초하여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여긴다. 그래서 인간의 몸은 그저 쾌락의 도구로 전락되고, 성적 쾌락은 늘 충동에 의해 지배되며 찰나의 감각적 느낌과 감정으로 환원된다. 인류 역사의 그 어느 때보다 성적 쾌락을 추구하면서도 동시에 성적 쾌락으로부터 도망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이는 자연과 문화, 진리와 자유, 섹슈얼리티와 사랑, 성관계와 출산, 그리고 성적 쾌락과 인격적 기쁨 사이에 존재하는 불가분적 유대의 해체를 조장한다. 본고는 성경과 그리스도교 전통의 관점에서 인간의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을 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성적 쾌락에 대한 왜곡된 시선과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성적 쾌락’과 ‘인격적 기쁨’이 본래적으로 맺고 있던 관계의 회복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스도교 윤리는 단순히 신앙이나 순수 이성으로부터 연역된 법과 명령을 통해 성적 충동을 억압하거나 성적 쾌락에 죄의식을 부여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연을 계시의 빛으로 조명함으로써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의 본연적 의미를 밝히고 그 의미를 충만히 실현하도록 초대한다. 성적 쾌락이 인격적 기쁨으로 성장되고 완성되도록 돕는다. 인간의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에 대한 성경과 그리스도교 전통의 가르침은 이러한 맥락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성경과 그리스도교 전통은 인간의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을 악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그 자체를 거부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전통이 태동하였던 시대의 역사적·종교적·철학적·문화적 배경 안에서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의 참된 의미를 보존하고자 노력하였다. 성경은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이 하느님의 본래 계획 안에서 ‘인간성’과 관련되어 있고, 성적 쾌락이 죄악의 씨앗이기는 커녕 상호적 사랑과 자기 증여를 심화시킨다고 본다. 인간의 섹슈얼리티는 단지 ‘쾌락만’을 추구하지 않고 상호성을 바탕으로 한 ‘인격 사이의’ 친교와 일치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예수님과 바오로 사도의 가르침을 통해 더욱 분명해진다. 한편 초대 교회의 교부들은 창조의 선성(善性)을 강조하면서 성에 깃든 하느님의 뜻을 통찰한다. 그러나 성적 쾌락을 ‘원죄’와 결부시켜 숙고함으로써 쾌락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의 단초를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은 아우구스티누스에게서 두드러지며, 오랫동안 주된 신학적 입장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후 중세 초기와 스콜라 시대의 신학자들에 의해 성적 쾌락이 긍정적으로 재인식되기 시작한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는 성적 쾌락이 지니고 있는 존재론적 가치에 주목한다. 쾌락 자체와, 인간 행위가 목적으로 하고 있는 ‘인격의 선’ 사이에 존재하는 질서가 존중될 때에 쾌락은 기쁨으로서 충만히 실현되어 간다는 것이다. 인간은 “사랑 없이 살 수 없는”(인간의 구원자 10항) 존재이다. 인간의 섹슈얼리티와 성적 쾌락은 창조 때부터 주어진 ‘선’으로서, 인간의 자기완성, 곧 행복을 향한 근원적인 갈망의 역동성과 관련된다. 최고선을 향한 갈망의 지향성 안에서 성적 활동에 대한 자연적 경향성은 이성의 도움에 의한 다른 경향성들과의 통합을 요청받는다. 이를 통해 부부 간의 성행위와 성적 쾌락은 ‘순간’을 벗어나 ‘영원’으로 정향되며, 부부는 사랑 행위를 통해 인격적 친교 안에서 진정한 ‘기쁨’을 향유하게 된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