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Curation을 위한 미술관 서브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 헬로우뮤지움 동네미술관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s convergence between different fields opens up a new age of value creation, the win-win strategies of companies such as co-branding,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have become a common phenomenon. As the desire for creating new values increases in cu...

As convergence between different fields opens up a new age of value creation, the win-win strategies of companies such as co-branding,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have become a common phenomenon. As the desire for creating new values increases in cultural and artistic areas in addition to commercial enterprises, there are many sharing projects underway through collaboration.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sharing museum among diverse art institutions. The museum is no longer content with its role as an institution designed for one-way projects such as preserving, researching, and exhibiting collections. The number of interactive art museums is increasing today, and museums are planning various program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public. New museology, which has emerged since the early 1990s, places the core concept of museums in ‘people’ rather than ‘objects’. New museology also sees the role of a museum not only as a place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works, but also as a place for communicating with visitors and connecting their experiences by means of collections. Today, museums are transforming into a comprehensive art space for participation for exchange based on culture and arts as well as for sharing various issues. The museum is now becoming a platform to connect people with artistic and cultural experiences. Particularly, Co-Curation has become a familiar phenomenon for a museum. Co-Curation refers to the new phenomenon of planning an exhibition or program in a museum not by the museum alone, but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ternal planners or participation of visitors. Co-Curation is not a temporary event but will become a regular feature of the museum along with exhibiti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visual connectiv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Curation identity as the concept of sub-identity of the museum.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positive experience of visitors and more systematical management of the identity of museums in order to promote revitalization of museums and local area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visual identity of the Co-Curation project currently underway at the Hello Museum located in Geumho-do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present study analyzed cases of Co-Curation at home and abroad,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of the museum corresponding to Curation and the identity of the programs planned by the external bodies corresponding to Co-Curation. The direction for design of the work was decided so that the identity of Co-Curation and the identity of museum can maintain a morphological correlation. Analysis of Hello Museum’s identity showed that the effect of overlapping and outline was outstand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gotype, this study developed a variable sub-identity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dules were combined together, and then applied it to various contents and media.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variable and flexible Co-Curation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of art museum planning. This can be seen as a concept of the sub-identity of the museum identity, which will enable us to actively cope with various external contents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a coherent identity and tone and manner of a museum. The value of sharing and collaboration will continue to be highlighted in the future, and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phenomenon of Co-Curation of museums. It is expected that following this study, there will be further research on an effective Co-Curation identity that is more efficient and can maximize the experience of the visitors.

이종 간 융합으로 새로운 가치창출 시대를 열게 되면서 공동브랜드, 콜라보레이션, 파트너십 등 기업의 win-win 전략은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영리 기업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영역 안에...

이종 간 융합으로 새로운 가치창출 시대를 열게 되면서 공동브랜드, 콜라보레이션, 파트너십 등 기업의 win-win 전략은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영리 기업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영역 안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가치 창출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감에 따라,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활발한 공유가 일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는 특별히 예술기관 중 미술관의 공유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미술관은 더 이상 소장품 보존, 연구, 전시를 위한 일방적 장소로서 역할하지 않는다. 일방적 성격의 미술관 보다는 쌍방향적 성격의 미술관이 늘어가고 있고 일반 대중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1990년대 초부터 등장한 신박물관학은 박물관의 핵심 개념을 ‘작품(object)’이 아닌 ‘사람(people)’에 두고 있다. 또한 박물관의 역할은 작품 수집(collection)과 보존 그 이상이며, 소장품은 관람객과의 상호교류활동(communication)을 일으키고 그들의 경험을 이어주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 오늘날 미술관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교류의 장이자, 다양한 이슈를 공유하는 참여적 성격의 종합예술공간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처럼 미술관은 문화 예술적 경험과 사람을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하나의 플랫폼이 되어 가고 있으며, 그 가운데 Co-Curation 현상은 익숙한 미술관 풍경이 되었다. Co-Curation은 미술관 내 전시 혹은 프로그램 기획을 미술관 단독으로 기획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외부기획자와의 협업을 통해서 또는 관람객 참여를 통해서 만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관의 Co-Curation는 일시적인 이벤트가 아닌 전시 영역과 함께 일상적인 영역이 될 것으로 보고 본 연구는 미술관의 서브 아이덴티티의 개념으로 Co-Curation 아이덴티티 개발을 통해 시각적 연계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람객의 긍정적 경험을 강화하고 미술관의 아이덴티티 관리 체계성을 높여 미술관과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금호동에 위치해있는 헬로우뮤지움 동네미술관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있는 Co-Curation 프로젝트에 대한 시각 아이덴티티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였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국내외 Co-Curation의 사례를 분석해보고, Curation에 해당되는 미술관 아이덴티티와 Co-Curation에 해당되는 외부기획 프로그램 아이덴티티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해보았다. 작품의 방향은 Co-Curation 아이덴티티가 미술관 아이덴티티와 별개로 가지 않고, 형태적 유사성을 가지고 가는 방향으로 결정하였다. 헬로우뮤지움의 아이덴티티를 분석한 결과 중첩과 아웃라인의 효과가 두드러졌는데, 이러한 로고타입의 특성을 바탕으로 모듈이 결합하는 구조의 가변적 서브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다양한 콘텐츠와 매체에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변화하는 미술관 기획의 환경에 발맞춘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Co-Curation 아이덴티티 개발을 시도해보았다. 이는 미술관 아이덴티티의 서브 아이덴티티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일관된 정체성과 미술관의 톤 앤 매너를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외부 콘텐츠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공유, 협업의 가치는 끊임없이 부각 될 것이며, 미술관의 Co-Curation 현상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리라 본다. 본 연구에 이어서 더욱 효율적이고 관람객 경험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Co-Curation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날 것을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