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문인의 등주 봉래각 시 비교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동일한 역사적 시기, 즉 중국 명나라시기 및 중국 명나라와 대응되는 여말선초 시기의 한·중 양국 문인이 등주 봉래각(蓬莱阁)에서 지은 시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중국 명...

본 논문은 동일한 역사적 시기, 즉 중국 명나라시기 및 중국 명나라와 대응되는 여말선초 시기의 한·중 양국 문인이 등주 봉래각(蓬莱阁)에서 지은 시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중국 명나라시기에 등주는 지리적인 우위로 인해 조선 사신이 해로 사행 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었다. 등주에 위치하는 봉래각은 중국 4대 명루 중 하나로 양국 문인의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이들은 봉래각에서 많은 우수한 시가를 남겼다. 그래서 필자는 동일한 시기에 각기 다른 문화 배경을 갖고 있는 양국의 문인이 동일한 자연경관에 대해 지은 시가를 비교하여 각각의 시가 특색을 밝히고 시가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연구하도록 한다. 첫 장에서는 먼저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양국 문인의 봉래각 시 작품 상황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장에서는 봉래각의 작시(作詩) 배경에 대한 소개를 하였다. 세 번째 장에서는 각각 양국 문인의 봉래각 시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논술하였다. 조선 문인의 봉래각 시 중, 이들이 쓴 봉래각과 봉래선산의 전설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신선의 길(仙道)을 동경하는 작품이 많이 창작되었다. 여러 어렵고 힘든 노정을 거쳐 등주에 도착하여 봉래각을 오른 후 조선 문인들은 경치를 보고 감흥을 토로하거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거나 여정의 고단함을 탄신하거나 그토록 동경했던 ‘중화(中华)’에 온 기쁨 등을 표현하였다. 조선 문인들은 등주 일대에서 발생했던 진시황의 신선추구에 대해 비평하며 사람들이 이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랐다. 이밖에, 이들은 소식이 등주에서 지은 <해시시(海市诗)>를 매우 높이 평가하며 이를 주제로 시를 읊곤 했다. 명대 문인의 봉래각 시를 보면 이들은 봉래각의 산수자연의 아름다움을 잘 포착했으며, 이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며 쓴 작품이 많은 편이다. 이들 문인 중 대다수는 등주에 와서 해상방어업무를 하는 관원이었으며, 등주 봉래각에 올라 조국의 수려한 산과 바다를 보며 공적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거나 자신의 포부 등을 표현하였다. 진시황과 한무제가 등주에 와서 신선을 찾았던 일은 명대 문인에게 있어서 철학적 시선으로 역사를 살펴보고 시간이 유수처럼 빨리 지나감을 탄식하는 대상일 뿐이었다. 소식의 <해시시>는 등주 해시 감상의 폭발적인 인기를 이끌었으며, 명대 문인은 해시 경관을 생동감 있게 묘사한 시를 많이 창작하였다. 제4장에서는 형식, 사상, 수사수법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양국 봉래각 시 특색을 밝혔다. 시가 형식에 있어서는 양국 문인이 모두 칠언 형식을 즐겨 사용했으며, 율시가 차지하는 비중도 절구보다 많다. 사상 측면에서는 한반도 성리학의 발전과 명나라 유학의 몰락, 도교 숭상으로 인해 진시황의 신선추구라는 동일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양국 문인이 각기 다른 견해를 보였다. 조선 사신은 이성적으로 이 역사적 사건을 대하며 진시황과 한무제에 대해 강렬한 비판적 태도를 보였고, 명대 문인은 대부분 감성적인 태도로 대했다. 수사수법에 있어서는 주로 시어 및 전고인용 등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시어 측면에서 조선 문인은 첩자(叠字) 사용에 능했고, 명대 문인은 문구 퇴고에 정통했다. 전고인용 측면에서 조선 문인은 전고를 이성적으로 논했고, 명대 문인은 감정적으로 전고를 다루었다. 이를 종합하면, 동일한 역사 시기라 하더라도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양국 문인이 동일한 경관을 감상하며 지은 시가가 각자의 특색을 보인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경물에 대한 인식에서건 역사적 사건에 대한 견해이건, 수사수법의 운용이건 모두 서로 달랐다.

本论文对相同的历史时期内,即中国明朝时期以及与中国明朝相对应的朝鲜丽末鲜初时期,韓·中两国文人在登州蓬莱&...

本论文对相同的历史时期内,即中国明朝时期以及与中国明朝相对应的朝鲜丽末鲜初时期,韓·中两国文人在登州蓬莱阁所作的诗歌进行了研究。中国明朝时期,登州由于地理上的优势,成为朝鲜使臣海路使行的必经之地。而位于登州的蓬莱阁作为中国四大名楼之一,受到了两国文人的关注,两国文人均在蓬莱阁留下了大量优秀的诗作。故本论文的作者欲通过对同一时期拥有不同文化背景的两国文人,在面对同一自然景观所作的诗歌进行比较,阐明各自的诗歌特色,并探索造成诗歌异同的原因。 在第一章中,先对相关的先行研究进行了考察,并对两国文人的蓬莱阁诗作概况进行了整理。在第二章中,对蓬莱阁的作诗背景展开了相关介绍。第三章中,分别对两国文人的蓬莱阁诗作按照主题分类进行了论述。在朝鲜文人的蓬莱阁诗作中,他们笔下的蓬莱阁与蓬莱仙山传说紧密联系在一起,故而创作了不少对仙道憧憬之作。在历经各种艰辛到达登州,登上蓬莱阁后,朝鲜文人们借景抒怀,或是流露出对故乡的思念之情,或是感叹旅途之艰辛,或是抒发来到向往已久的“中华”内心的喜悦之情等等。朝鲜文人们还对发生在登州一带的秦皇汉武求仙之事展开了批评,希望能够以史鉴今,警醒世人。此外,他们还十分赞赏苏轼在登州所作的<海市诗>,纷纷题诗吟咏。而明代文人的蓬莱阁诗作中,他们善于发掘蓬莱阁的山水自然美,畅游美景之作较多。并且这些文人中绝大多数是前往登州巡查海上防务的官员,当他们登上蓬莱阁,面对祖国的大好山河,或歌功颂德,或抒发自己的理想抱负等。对于秦皇汉武来登州寻仙之事,明代文人只是以富有哲理性的眼光审视历史,抒发时光流逝之感慨。苏轼的<海市诗>引发了前往登州观赏海市的高潮,明代文人创作了大量生动形象描写海市奇观的诗作。 在第四章中,分别从形式上、思想上、修辞手法三个方面,阐明了两国蓬莱阁诗作的特色。在诗歌形式上,两国文人都喜欢选用七言的形式,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律诗所占的比重多于绝句。在思想上,由于朝鲜半岛性理学的兴起和明朝儒学没落、崇尚道教,因此,对于秦皇汉武求仙这一相同的历史事件,两国文人的看法不尽相同。朝鲜使臣理性地看待这一历史事件,对秦皇汉武表现出强烈的批判态度,明代文人更多是以感性的、寄情于史的态度来看待的。修辞手法中则主要从诗语及用典两方面进行了略论。在诗语方面,朝鲜文人善用叠字,明代文人精于炼字。用典方面,朝鲜文人善于以典论理,明代文人善于以情驭典。 综上所述,可以得出这样的结论,即便是在相同的历史时期内,由于不同的文化背景,两国文人在欣赏同一景观所作的诗歌具有各自的特色。无论是对景物的认识,还是对历史事件看法,或是修辞手法的运用,都不尽相同。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