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德懋 『士小節』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is to examine Sasojeol which written by Lee Deok-moo (1741~1793). The book is based on a critical mind which emphasizes the awareness of genuine Sa(士). This focus on the core spirit of Sa(士) and examine the composition of the text...

This is to examine Sasojeol which written by Lee Deok-moo (1741~1793). The book is based on a critical mind which emphasizes the awareness of genuine Sa(士). This focus on the core spirit of Sa(士) and examine the composition of the text. The book is composed by three part which are Sajeon(士典), Buui(婦儀), Donggyu(童規). Sasojeol was considered significant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textbook. Lee Deok-moo emphasized to use the book as the practical education text for children and women, so he chose to write what really happened in the real life of the day. This focus on the practical value of this book as the Ye(禮, propriety) text, and analyze the features that appeared consistently on the three section of the book. On this , I determine that Sasojeol proposes principles on practical propriety and expand the subject of them by comparing Sasojeol with Sohak which had a large impact on Sasojeol. Moreover, by comparing Sasojeol with other former propriety text, this find that Sasojeol attempt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Ye”(propriety) with influences of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The time that Lee Deok-moo lived was the era of change. There was a lot of transitions on social stratum and on culture. Because of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 even people’s tendency and spirit had changed. Thus the principles that had applied on everyday life became ambiguous. On this historical environment, Lee Deok-moo tried to propose some useful principles. He established the family as a basic social measure, and wrote Sasojeol in parts which are about each members of it, Seonbi, children, wives. He tried to propose Ye of day-to-day life for families. In those three part, Sajeon, Buui and Donggyu, are based on true realization of Sa(士, Seonbi) and its identification. In this , I analyzed the entire text of Sasojeol, and determine the meaning of Ye which reflects the social aspects of the time, and comprare it with practical Ye. By practicing Sojeol which are short verses about propriety, one can establish its identity as a Sa(士), Lee Deok-moo argue throughout all three part of the text. Lee Deok-moo claimed that a Seonbi must remind his duty and practice it on daily life. He saw that teaching their own children by being a model which lead them to aware of the true Sa(士). Moreover, practicing Sojeol as a young Seonbi even in their private life, would change the atmosphere of social culture of Sa(士), Lee Deok-moo claimed. Especially, He determined in Buui what wives of Sunbi must keep in mind when in a realtionship with others, and in Donggyu what childern must practice or not to practice to become a real Seonbi. These emphasises on role of wives of sunbi and education for children are also meaningful because they can contribute to realize Sa(士) and to establish them to identify as a Seonbi as well.

본 논문은 李德懋(1741~1793)의 『士小節』이 士의 자각과 참다운 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확립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士小節』이 「士典」, 「婦儀」, 「童規」 으로 된 것을 주...

본 논문은 李德懋(1741~1793)의 『士小節』이 士의 자각과 참다운 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확립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士小節』이 「士典」, 「婦儀」, 「童規」 으로 된 것을 주목하여, 체제 연구와 함께 각각의 내용을 연결시켜 분석하였다. 『사소절』은 1775년(英祖 51) 출간 당시부터 교육서로서의 유용성 때문에 크게 주목받았다. 이덕무는 저술 당시 실제로 생활에서 행동으로 실천했던 일을 기록하면서, 이 책을 자녀 및 부녀자의 실천적 교육에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사소절』이 예서로서 가지는 실천적이고 실용적인 가치에 주목하였고,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저서의 체제 안에서 일관되게 드러나는 내용상의 예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소학』과의 비교를 통해 『사소절』이 일상 예의 실천에 있어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예의 실현 주체를 확대하였음을 밝혔다. 『사소절』 이전에 통용되었던 수신서와 『사소절』의 폭넓은 문헌 인용 양상을 비교하여, 『사소절』이 실학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예에 대한 재인식을 시도했음을 밝혔다. 조선후기는 사회계층의 이동이 많고, 문화적으로 변화가 많은 시기였다. 외래문물의 유입으로 인해 사람들의 습관과 기질, 풍습까지 변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사안들에 대한 기준이 모호해진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덕무는 일상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이덕무는 사회를 이루는 기본 단위를 가정으로 설정하고, 가정을 이루는 선비, 자녀, 부인으로 나누어 저술하였다. 그는 가정 안에서 日常 禮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부의」·「동규」로 나누고, 각각의 위치에서 사를 향하는 일상에서의 禮를 추구함으로써 士의 자각과 참다운 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확립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의 각성과 주체성을 확립하려는 차원에서 『사소절』 전체를 아울러 분석하고자 한다. 이덕무가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이를 위하여 ‘예’와 ‘日常 禮’의 실천으로 士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한 의미를 규명하였다. 小節의 실천을 통해 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의 본분을 형성할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은 『사소절』에 잘 담겨져 있다. 동몽과 부녀자의 교훈적 지향과 한편으로는 부녀와 사의 수신적 지향을 모두 담았고, 이러한 교훈과 수신을 실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士의 각성과 정체성을 추구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 이덕무는 선비가 참다운 士의 길을 가기 위해 士 역시 일상에서 사로서의 본분을 끊임없이 상기하고 안팎에서 이를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안 내에서의 자녀 교육과 일상적 의례의 교육과 실천을 통한 전범의 제시는 결국 참다운 士의 정립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아동시기부터 사로서의 소절을 끊임없이 실천하고, 집안에서도 사의 의례를 실천하는 것은 결국 사회의 士風을 진작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부의」에서는 他者와의 관계 속에서 지켜야 할 士婦의 소절을 추적하여 제시하고, 「동규」에서는 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동몽들이 어떠한 규범을 가지며 무엇을 지켜야 하며, 사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가에 대한 소절을 규명했다. 부인의 역할과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도 士의 자각과 참다운 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확립에 기여하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