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들어서 크게 성행하는 한글 캘리그래피의 작품에서 可賞性만을 강조한 나머지 한글의 可讀性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매우 심화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한글 가독성의 기준을 ...
본 연구는 최근 들어서 크게 성행하는 한글 캘리그래피의 작품에서 可賞性만을 강조한 나머지 한글의 可讀性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매우 심화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한글 가독성의 기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저해 사례를 예시로 들어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가독성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캘리그래피 제작물이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단행본의 표지, 각종 공연 및 행사의 포스터, 공산품의 포장지에 인쇄된 BI를 중심으로 자료를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이는 순수예술이 아닌 실용목적의 캘리그래피에서는 한글의 가독성이 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논하기에 앞서 캘리그래피의 개념 정립과 용어 통일에 대한 고찰을 하였는데 그 이유는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최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이며, 본 고에서는 ‘캘리그래피’의 용어에 대해서는 인용문이 아닌 경우에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한글 표기법을 따랐다.
그리고 캘리그래피와 서예의 상관관계 및 범주에 대한 견해를 서술하고 한글 캘리그래피가 형성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양과 동양에서의 역사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특히 가독성의 기준으로는 훈민정음 창제원리에 입각한 한글 자소의 형태유지와 자소간의 간격과 획의 중첩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가독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음소를 발견하였다. 총 53건의 사례 중에서 두드러진 것은 흘림체 형태로 글씨를 쓰는 과정에서 가독성에 문제가 나타난 경우가 43건이 해당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흘림체 형태의 글씨는 충분한 훈련과 학습과정을 거친 다음에 써야 한다는 점을 입증한 결과였다.
가독성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은 자음중의 ‘ㄹ’로 14건에 해당되었으며, 초성일 경우보다 종성일 때에 많은 사례가 있었다. 나머지 자음 중에서 사례에 나타난 빈도를 보면 ‘ㄴ, ㅍ, ㅁ’의 순이었고, 모음은 ‘ㅏ’와 ‘ㅜ’의 자소 형태변화가 많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사례에서 가독성 저하가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정책의 측면에서 한글 글자꼴의 표준 제정과 발표의 중요성을 다루었으며, 다음으로 캘리그래피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 분야로 확장하였다. 관련 분야는 서예계와 디자인업계로 구분하였고 각 분야별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캘리그래피에서 뿐만 아니라 한글 쓰기 전반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한글 쓰기 교육을 정식 과목으로 채택한다면 더할 나위없는 대안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방안은 시간이 걸리고 현실화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하여 빠른 효과를 얻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한글 글자꼴의 표준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서예계와 디자인업계에서도 캘리그래피의 발전을 위한 방법을 찾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야 한다. 그리고 캘리그래피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사명감을 가지고 한글의 바른 표기에 대한 재인식을 하여야함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문자는 특성상 실용의 목적, 즉 의사소통이나 기록을 위한 목적이 우선이기 때문에 아름답게 쓰려는 노력보다 바르게 쓰려는 자세가 중요함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캘리그래피에서도 한글 구조의 원칙을 준수해야함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 problem in Hangeul calligraphy which is getting popular recently that it emphasizes too much on readability that it impairs legibility of Hangeul and to suggest a standard of legibility of Hangeul and analyze the cause...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 problem in Hangeul calligraphy which is getting popular recently that it emphasizes too much on readability that it impairs legibility of Hangeul and to suggest a standard of legibility of Hangeul and analyze the cause of this condition by taking deteriorating case as an example at the same time and to seek ways to improve legibility.
The range of the study is limited to a case of calligraphy product that has a practical purpose and above all, this study researched the data focusing on the BI printed on the book cover, wrapping of poster and industrial product of all sorts of performance. It is because legibility of Hangeul is especially important in calligraphy which is not a pure art and has a practical purpose.
Before dealing with a subject, I established a concept of calligraphy and studied unification of terms because it is important issue that has to be done before anything else in any field. And this study followed loanword orthography in Hangeul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bout terms of 'calligraphy' if it is not a quotation.
And I studied historical background in West and East to describe views about category and correlation between 'calligraphy' and calligraphy and to look for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Hangeul calligraphy.
Especially, I divided maintenance of Hangeul consonant and vowel pattern and spacing and reiteration of stroke based on the invented principle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by the standard of legibility.
As a result of analysing cases with this standard, I found phoneme that problem with legibility occurs frequently. Remarkably, 43 among 53 cases had a problem with legibility in the way of writing with cursive style. This result proved that cursive style writing has to be written after having sufficient training and studying process.
Consonant 'ㄹ‘ had the most problem of legibility with 14 cases and there were more cases with final consonant than with first consonant. The frequency appeared in cases was followed by ‘ㄴ, ㅍ, ㅁ’ among the rest consonant and there were many modification of grapheme in vowel ‘ㅏ’ and ‘ㅜ’.
Based on this result, I observed the cause of occurrence of legibility deterioration in many cases and sought plans to improve. First, I dealt with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standard of Hangeul and announcement from the side of educational policy and next expanded to the field that directly connected to calligraphy. Related field was divided into calligraphy and design industry and I suggested the way to develop writing Hangeul not only in calligraphy finding ways to improve substantially in each field.
In educational aspect, It will be an ideal alternative if writing Hangeul is adopted as an official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with a long-range view. But this plan has a difficulty of getting rapid effect because it takes time and the realization process is complicated. So, I suggested a way to establish standard of Hangeul and publicize it actively.
Calligraphy and design industry have to find the way to develop calligraphy and replenish insufficient part. And I demanded that they have a new understanding about correct notation of Hangeul with a sense of duty since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calligraph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 once again confirmed that an attitude to write correctly is more important than an effort to write beautifully because purpose of the letter is in practical use, in other words, the purpose to communicate and record takes priority. And it served as a momentum to reconfirm that we should follow the principle of Hangeul structure in calligraphy.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