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an overall examination and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notation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ies in < 민필지(saminpilgi)> - Korean book in New Era. < 민필지(saminpilgi)> is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This study is an overall examination and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notation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ies in < 민필지(saminpilgi)> - Korean book in New Era. < 민필지(saminpilgi)> is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which American missionary, Homer Bezaleel Hulbert(1863-1949) wrote in 1889 who had taught the geography in Yukyoung Gongwon-foreign language school-in late nineteenth century. It has an important value not only in the point that it was published 6 years before Yu, gil-joons <The travel to the west>(1895) was published but also it is the first textbook of New Era.
First, in the notational and phonological aspect, < 민필지(saminpilgi)> has similar forms to Modern Korean system. We can find separated spelling based notations, the use of same-consonants-paralleled spelling of stressed consonants(ㄲ,ㄸ,ㅃ,ㅆ,ㅉ) and seven final consonants and doubled final consonants. And there was great progress of palatalization and vowel rounding.
Also there appear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 ㆍ, connected spelling and doubled spelling, in the middle of a word, unpalatalized Chinese letters because of conservatism and free use of ㄹ and ㄴ as first consonant of a word.The notation of ㅅ has specific features in < 민필지(saminpilgi)>. It was used instead of stressed consonants in case of constructing compounds and phrases, and in the middle of a word. The loanwords in < 민필지(saminpilgi)> were transliterated. Generally, final consonants were from seven final consonants, in form of same-consonants-paralleled spelling when in place of stressed consonants. And aspirated consonants were often replaced of basic consonants, also there were frequent use of diphthongs and triphthongs.
Second, < 민필지(saminpilgi)> has similarity to Modern Korean, in the morphological aspect. Especially the use of markers has few differences compared with Modern Korean. Subject marker has unified to -이/가 and object marker to -을/를 just like now. There appears adverb marker : -에(셔), -예 as location case, -에셔, -브텨 as source case, -의게, -게, -에게, - , - as dative case, -과/와 -, -보다, -에셔, -만치 as comparative case, predominant 와/과 and ?고, 더부러 as company case, predominant -의 and rare -에, -ㅅ as possessive case. There was verb markers -이라,-ㅣ라 which were used in the enumerate way of ㅣ라…ㅣ라 in quotations. There were major assistant markers :-은/는/ , -대로, -라도, -마다, and -만. Most of them have similar features to Modern Korean. Especially -은/는/ which represent the topic had unified to -은/는. Conjunctive markers were -와/과 like Modern Korean. Endings were divided into sentence finishing endings, sentence connecting endis, and pre-word ending endings. Among sentence finishing endings, statement finishing endings are especially examined ; there used -다, -이라, -니라, -ㄴ지라, -더라, -겠다, etc. for statement finishing endings but they have the identical meaning. The conservative inclination of sentence connecting endings made the old expressions like - , - , -니 remained. Pre-word ending endings, - -, -더-, -시-, -(으)옵-, -더, -겠-, -앗/엇- were used. In syntactic aspect, there appear some differences in case domination and agreement and few differences in agent and patient role compared to Modern Korean. There is no quotation marker -고 in quotations instead, -라 닐 다 and -다 ?다/닐 다 are used. There appear short expressions and long expressions of negation similar to Modern korean but short expressions are not used very often. We can find the use of negative adverbs 아니 and 못 but theyre not differentiated in meaning yet. Also 아니?다 and 말다 are used without distinction.
Third, there appear interesting Original Korean words like 별 기(Milky way), 쇠 기(mining), 졋기름(butter), 졋 (cheese), etc. And there are many Chinese letters not used in Modern Korean and loanwords for names of place.
본 논문은 개화기 국어 자료인 < 민필지>에 나타나는 표기·음운, 문법, 어휘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 민필지>는 구한말에 육영공원 교사로 와서 영어와 지리를 가르...
본 논문은 개화기 국어 자료인 < 민필지>에 나타나는 표기·음운, 문법, 어휘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 민필지>는 구한말에 육영공원 교사로 와서 영어와 지리를 가르친 미국인 선교사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1863-1949)가 1889년에 편찬한 세계 지리 교과서이다. 이 책은 유길준의 <서유견문>(1895)이 나오기 6년 전에 나왔다는 점에서, 개화기 첫 교과서란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먼저 표기·음운에서 < 민필지>는 현대 국어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분철 지향 표기가 그러하며, 된소리 표기에 있어서 각자병서(ㄲ,ㄸ,ㅃ,ㅆ,ㅉ)를 사용하고 있고, 받침은 7종성과 겹받침이 보인다. 또한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가 상당히 진척되어 있다. 반면 아직 근대 국어적인 모습도 많이 보인다. ㆍ의 표기와 연철· 중철 표기, 어중의 ㄹㄴ표기 등이 그러하다. 또한 보수성으로 인하여 구개음화가 안된 한자어들이 많이 보이고, 어두에 ㄹ과 ㄴ이 자유롭게 쓰이고 있다.
<사민필지>의 특이한 표현으로 ㅅ의 표기를 들 수 있다. < 민필지>에는 ㅅ이 많이 쓰이는데, 합성어의 구성에서, 구 구성에서, 기타 단어 내부 등에서 된소리의 표기로 사용되었다. 또 < 민필지>의 외래어들은 대부분 음역되어 나타나는데, 대개 받침은 7종성으로 표기되었으며, 각자병서를 취하고 있고, 유기음을 평음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중, 삼중모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두 번째로 문법면에 있어서도 역시 현대 국어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조사의 경우는 현대 국어와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준다. 주격조사의 경우 현대와 같이 -이/가로, 목적격 조사는 -을/를로 통합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부사격 조사는 다시 처소격, 기원격, 도달격, 여격, 도구격, 비교격, 공동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처소격은 -에(셔), -예만이 나타났다. 기원격은 -에셔, -브터 등의 형태가 보인다. 여격은 -의게, -게, -에게, - , - 가 나타난다. 여기서 특이한 것은 - 가 기존의 논의에서처럼 존칭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비교격은 -과/와 -, -보다, -에셔, -만치 등이 나타난다. 동격은 와/과가 생산적으로 쓰였으며, ?고와 더부가 쓰이기도 하였다. 관형격으로는 -의가 많이 쓰였으며, 간혹 -에가 -의를 대신하기도 하였다. 또 ㅅ이 관형격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서술격 조사는 -ㅣ라, -이라가 있었고, 특히 -ㅣ라는 모두 인용문에서 ㅣ라…ㅣ라의 방식으로 열거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특기할 만한 보조사로 -은/는/ 과 -대로, -라도,-마다, -만을 살펴보았다. 대개 현대 국어와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특히 화제를 나타내는 -은/는/ 은 -은/는으로 통합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접속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와/과가 나타난다.어미는 종결어미, 연결어미, 선어말어미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종결어미 중 특히 평서형 종결어미를 다루었는데, 평서형 종결어미로 -다, -이라, -니라, -ㄴ지라, -더라, -겟다 등이 쓰였다.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연결어미는 보수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 , - , -니 등의 의고적 표현들이 많이 쓰였다. 선어말어미로 - -, -더-, -시-, -(으)옵-, -더-, -겟-, -앗/엇- 등이 쓰였다. 통사면에서는 격지배와 호응은 현대와 다른 것이 몇 눈에 띄었고, 사동과 피동에 있어서는 현대와 비슷한 보여주고 있다. 인용문은 인용조사 -고가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라 닐 다의 형태와 -다 ?다/닐 다의 형태가 보인다. 부정문도 현대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단형 부정, 장형 부정이 보이나, 단형 부정은 쓰임이 활발하지는 못하다. 또 부정부사 아니와 못이 보이나 의미가 분화되어 사용되지는 않았고, 아니?다와 말다도 구별 없이 쓰이고 있다.세 번째로 어휘에 있어서 < 민필지>에는 별 기(은하수), 쇠 기(광업), 졋기름(버터), 졋 (치즈) 등 흥미로운 고유어들과 현대에 쓰이지 않는 다수의 한자어들이 보인다. 특히 외래어 지명 표기가 많이 보인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