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TESOL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Korean English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Korean TESOL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Korean Englis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English among Korean graduate TESOL students. Individualiz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60 and 90 minutes...

Korean TESOL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Korean Englis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English among Korean graduate TESOL students. Individualiz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60 and 90 minutes, and all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verbatim. Three themes were emerged from the responses: (1) Korean English or Konglish? (the definition of Korean English); (2) What is Korean Englis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nglish); and (3) Does Korean English need to be taught in schools? (Korean English in education) Data analysis shows that most participants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Korean English, and that they viewed it as a legitimate variety of English. Furthermore, they agree that Korean English could be a possible tool of communication outside Korea. The participants see American English has had the biggest factor of influence in the English use in Korea;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in 1945 is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nationwide spread of English in Korea. They also mention the Korean language-based and Korean culture-embedded characteristics that make Korean English a codified and localized variety of English. When it comes to education, however, most participants see Korean English insufficient to be an educational norm by itself, yet it can be useful only as a supplementary tool.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issues were raised for discussion. First,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that Korean English exists as a legitimate variety of English. Second, the rise of Korean English shows the recent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ability in English among Koreans. Third, despite the development of Korean English, American English is still considered significant in Korea. Last, it seems that Korean cultur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glish classes for two purposes: a target culture and a supplementary tool for easier explanation.

한국인 TESOL 대학원생들의 한국식 영어에 대한 태도 본 연구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영어의 갈래로써 인정받는 중국식 영어, 인도식 영어와 같이 과연 한국에도 단순히 잘못된 영어사용으로...

한국인 TESOL 대학원생들의 한국식 영어에 대한 태도

본 연구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영어의 갈래로써 인정받는 중국식 영어, 인도식 영어와 같이 과연 한국에도 단순히 잘못된 영어사용으로 치부되는 콩글리쉬 콩글리쉬(Konglish)와 구분되는 구분되는 ‘한국식 영어 (Korean English)’라는 것이 존재하는가에 존재하는가에 대해 다루고 다루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의 교육현장에서의 한국식 영어 적용여부에 적용여부에 대한 논의도 포함하고 포함하고 있다. 영어교육을 전공 하는 한국인 대학원생 (석사 5명, 박사 7명)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는데, 이 특정집단이 선정된 이유는 그 동안의 선행연구가 교육자 또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단편적인 의견도출을 한것에 비해, 영어교육 영어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은 교육자와 교육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모두 갖고 있는 특수 집단이라는 점을 착안, 본 연구의 참여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학교 구내 및 주변에서 1:1 인터뷰가 각 참여자 별로 60분에서 90분의 시간동안 진행되었고, 이는 모두 녹취되었다. 녹음된 인터뷰 자료는 글자 그대로 전사되어 문서화시켰으며, 이를 토대로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질적 연구 방법론(qualitative method) 에 기반한 인터뷰 분석 방법이 내용분석에 적용되었다.

전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터뷰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는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한국식 영어를 영어의 한 갈래로 인정하며, 콩글리쉬와의 의미 차이도 엄연히 구분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는 한국식 영어의 정의와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식 영어만의 특징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에서는 해방 직후 미군 주둔과 함께 한국 전역으로 퍼진 미 국식 영어가 가장 선호되고 있다는 점이 같이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존재와 언어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는 미국식 영어로 대표되는 네이티브 영어의 보조 역할에 가장 적합하다는 점이다. 단 독적인 교육도구로 사용되기 보다, 하나의 목표 문화(target culture) 또 는 더 쉬운 설명을 위한 보조도구로서 사용되는 사용되는 것이 한국의 영어교육 영어교육 현장에서 가장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모든 답변은 사전 참고자료 참고자료 없이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터뷰 현장에서 내용도출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아래와 아래와 같은 내용들이 향후 논의주제로 언급되 었다. 첫째, 기존의 많은 사람들의 인식과는 달리, 최소한 고학력자들에 한해서는 한국식 영어가 영어가 영어의 정식 갈래로 갈래로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공 감대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다수 의견과 배치되는 것으로, 한국어 및 문화에 기반한 특징을 가진 언어라고 여겨진다는 점이 본 연구에서 연구에서 언급이 되었다. 둘째, 한국식 영어 의 존재여부에 대한 논의 자체가 최근 한국인의 영어 소통능력 향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듯 했다. 어릴 때부터 기초교육과정 이후까지 오랜 시간 지속되는 영어교육기간,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친 영어의 영향은 사람들의 영어능력 향상에도 이바지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영어를 외국어가 아닌 제2언어로 사용하는 Outer Circle 국가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의 가시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셋째 , 한국식 영어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여전히 미국식 영어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 사람들의 인식 및 교육적인 측면에서 또한 그렇게 작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방 이후 미군의 군정정 치로부터 시작된 미국식 영어의 한국사회에 대한 영향은 이미 사회 및 교육 깊숙이 자리잡은 상태이며, 이는 주요 대학교에서의 영어강의, 외국인 강사 채용 시 미국인에 대한 편향적인 선호도 등을 통해서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 한국의 문화가 영어교육에 있어 미국 또는 영국 문화와 같은 목표 문화와 더 수월한 설명을 위한 보조적인 도구라는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여지고 있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도 한국 문화의 적용여부가 교육적 효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거라 여겨진다 .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