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 위치에 있는 명사 선행어에 대해 후행글에서 어떤 조응어가 선택되느냐는 각 언어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명사반복 조응이나 인칭대명사 조응보다는 영조응 형식이...
주어 위치에 있는 명사 선행어에 대해 후행글에서 어떤 조응어가 선택되느냐는 각 언어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명사반복 조응이나 인칭대명사 조응보다는 영조응 형식이 자주 사용된다는 점에서 유사한 경향이 있다. 그런데 한국어와 중국어는명사반복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 그리고 영조응에 있어서 공통점도 있지만 실제로 서로 아주 다른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본고는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어와의 차이점을 대조하여 그 원인과 용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중국어 텍스트 중 명사반복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과 영조응의 사용 규칙과 기본적인 조응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텍스트에서 명사반복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과 영조응의 사용 차이는 인지언어학적으로 보면 뇌에서의 활성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생긴 것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는 우선 인지언어학적으로중국어와 한국어의 명사, 인칭대명사와 영형대명사를 비교하였다. 만약 이 세 가지 지칭어가 인지언어학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면 인지적으로 두 언어의 명사반복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과 영조응의 용법 차이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중국어와 한국어의 이 세 가지 지칭어가 비슷하거나 같은 접근성 정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심리학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텍스트 이해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중국어와 한국어의 세 가지 조응은 조응해결과정에서도 유사한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언어의 명사반복조응, 인칭대명사조응과 영조응의 서로 다른 용법은 다른 복잡한 요소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다른 시각으로 두 언어의 조응 용법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우선 역사적으로 명사반복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과 영조응에 대해 그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역사적 영향을 확인한 후에 사회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순수언어학적인 분석 방법으로 중국어 세 가지 조응의 텍스트적 의미와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각 조응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텍스트 조건을 제시하고 중국어 주어 위치의 명사선행어에 대한 기본 조응 모델을 추출하였다.
본고는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의미 단위란 개념을 제시하였다. 의미 단위란 텍스트 중 주어 위치에 나타난 명사 형식을 시작점으로, 마침표 뒤 주어 위치에 다시 나타난 명사반복 형식을 종점으로 하는 서술 내용이다. 의미 단위는 조응 사용의 기본적인 텍스트 환경이다. 의미 단위를 시작할 때 주어 위치에 처음으로 명사 형식의 선행어가 나타난다면, 의미 단위 내 후행글의 주어 위치에 영조응을 사용한다. 이는 본 논문 중 중국어 실제 언어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귀납된 중국어의 기본 조응 모델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1)한 의미 단위 내에서의영조응의 사용은 기본적인 조응 모델이다.
2)한 의미 단위 내 하위 의미 뭉치가 전환될 때만 A식대명사가 사용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영조응이 사용된다.
3)한 의미 단위 내 화자의 여러 표시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B식 명사 혹은 B식 대명사가 사용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모두영조응이 사용된다.
본논문에서 얻은 중국어의 명사반복조응, 인칭대명사조응과 영조응에 대한 조응 모델, 그리고 한국어와의 일부 대조 연구 결과는 중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학습자에게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거나 혹은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데에 있어서도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