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중일 3개 국어에 있어서의 접미사「적」의 대조고찰을 통하여 서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각 언어에서의 접미사「적」의 어원에 대해 고찰하고 현대의 의미...
본고에서는 한중일 3개 국어에 있어서의 접미사「적」의 대조고찰을 통하여 서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각 언어에서의 접미사「적」의 어원에 대해 고찰하고 현대의 의미와 용법을 알아보았다. 접미사「적」은 서양의 영향을 받아 1860년대 전후에 중국과 일본에서 새롭게 탄생하였고, 상호 교류를 통하여 중국과 일본에서 접미사「적」의 용법이 확립되었다. 접미사「적」이 한국으로 유입된 시기는 1896년 전후로 보인다.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접미사「적」은 대체적으로 「~의 성질을 띤」,「~의 상태」의 뜻을 의미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흡사하다.
중국어에 있어서 「적」은 다양한 의미와 용법이 있으며, 접미사로서의 의미,용법도 갖고 있다.
3개 국어에서의 접미사「적」의 대응관계를 살펴보고자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을 토대로 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번역본을 대조하여 고찰하였다. 용례의 분석을 통하여 상호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공통점:
각 언어에 있어서, 특수어휘를 제외하고는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 표현형식이 거의 일치하였다. 「의학적 치료」「인상적인 풍경」등과 같은 예이다.
차이점:
1, 한、일어에서 접미사「적」이 용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중국어에서는 용언 수식이 어렵고 「적(的)」이 아닌 다른 조사「地」를 사용한다.
2, 한국어와 일본어의 접미사 「적」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표현방식 중에는「식」,「형」,「성」,「상」등과 같은 , 접사적인 기능을 가진 것 들을 첨가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존재한다.일본어와 한국어가 갖고 있는 모호함과 다의성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라고도 할 수 있겠다.
3, 일반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접미사「적」이 붙어서 사용되지만, 중국어에서는 「적」의 생략이 가능하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4, 대체적으로 「적」에 대한 한일 대응관계는 일치하거나 비슷하지만, 「철저하게」, 「원칙적으로」,「극단적인」등과 같은 일부 어휘에 한해서는 그 대응양상이 서로 다르다.
5,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는 각각 형용동사/적, 형용사/적 의 접속이 불가능하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