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어순을 기술하고, 그들의 어순 특징에 대해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설명 하였다.
1장은 연구의 대상, 연구 방법, 그리고 어순 연...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어순을 기술하고, 그들의 어순 특징에 대해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설명 하였다.
1장은 연구의 대상, 연구 방법, 그리고 어순 연구 현황에 대한 소개이다. 어순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고,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은 한국어 부사어 어순에 대한 논의이다. 먼저 개별 부사어와 동사의 상대적 위치를 살펴보고, 부사어의 기본 위치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두 부사어가 동시에 나타날 때 부사어의 이동 현상을 통해 그들 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어순을 판단하여 부사어 사이에 기본 어순을 정하였다. 세 부사어가 나타나는 예문을 통해 이러한 어순을 확인하였다. 검토한 결과, 한국어에서 모든 부사어는 동사 앞에 오며, 부사어의 어순은 아래와 같다.
한국어:시간-빈도-장소-공동-출처-방향-도구-(양태1)-O-횟수-정도-양태2-V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의 부사어 어순은 Vennemann의 자연스러운 어순 배치 원리를 충실히 지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장에서 같은 연구 방법으로 중국어 부사어 어순을 관찰 하였다. 먼저, 부사어 어순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을 정리하였다. 역시 예문을 통해 종류별 부사어가 문장에서 동사와의 어순관계를 각각 살펴보고, 두 개의 부사어 그리고 세 개의 부사어의 어순을 살펴보았다. 검토한 결과 중국어 부사어의 어순 관계는 다음과 같다.
중국어: 시간1-빈도-장소1-공동-도구-출처-방향1-정도-양태-V-정도-양
태-횟수1-방향2-장소2-시간2-O-횟수2-방향3
Vennemann의 자연스러운 어순 배치 원리에 따르면 중국어 부사어는 동사 뒤에 올 것으로 예측되지만 실제로는 동사를 기준으로 양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사어 어순 현상을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언어의 부사어는 동사를 중심으로 그와 친밀하고 가까운 것이 동사 가까이에 놓인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즉 시간, 장소 부사어는 동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공동이나 도구, 출처, 방향 부사어는 동사와 가까운 것이 자연스럽다. 횟수, 정도, 양태 부사어는 동사 바로 앞에 놓인다.
2) 한국어는 SOV 언어로서 그에 따르는 비교적 고정적인 부사어 어순을 갖고 있다면, 중국어는 부사어 어순이 고정적이지 않고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통사적 특징들을 언어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관찰 해보면 중국어는 SVO 언어와 SOV 언어 사이 어느 중간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describing the order of adverbials in Korean and Chinese and comparing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hich are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typology.
We can postulate the relative orders o...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describing the order of adverbials in Korean and Chinese and comparing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hich are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typology.
We can postulate the relative orders of Korean adverbials as following. ; 'time - frequency - place - comitative - source - direction - instrument - manner1 - OBJECT - frequency - degree - manner2 - VERB'
In Chinese, we can find the following orders of adverbials. ; 'time - frequency1 - place1 - comitative - instrument - source - direction1 - degree - manner1 - VERB - degree - manner2 - number of times1 - direction2 - place2 - time2 - OBJECT - number of times2 - direction3'
As you see, many adverbials including 'time - frequency - place - comitative - source - direction - instrument - manner' occur before verbs in Korean and Chinese and their relative orders are very similar too. However, Chinese adverbials show some differences from the Korean adverbials in occurring after verbs. The bidirectional orders of Chinese adverbials are due to the fact that the basic order of Chinese language is drifting from SVO to SOV.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