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fference of evalu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inclin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distributions and behaviors by using K-ARS(Ko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fference of evalu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inclin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grade distributions and behaviors by using K-ARS(Korea-ADHD Rating Scale) measures.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it was surveyed based on three study questions. First, studying of the difference of gender for ADHD inclination by using K-ARS measures. Second, studying of the difference of grade for ADHD inclination by using K-ARS measures. Third, studying of the difference in evalua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ADHD inclination by using K-ARS measures.
The subjects of study totaled 1,051 children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Mapo-ku, Seoul, covering 279 first-grade male children, 231 first-grade female children, 291 fourth-grade male children, and 250 fourth-grade female children.
The K-ARS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contained 18 questions whose even number questions are for the checking of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and the other odd number ones are for the checking of attention deficit. I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Dupaul for parents and teachers as an ADHD evaluation and K-ARS is its adaptation lately developed, to make it suitable to Korean circumstances.
Collected questionnaires that had been answered by 1,051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 9.1 program. To know the ADHD inclin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t-test was used after checking a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find a rating difference of the parents-teachers, the Pearson corelation method was applied to check an inter-rater consistency and a paired-test was made out to check an inter-rater inconsist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both the parents of children and teachers evaluated that male children have higher ADHD inclination such as a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impulse for gender object.
Secondly, for grade, the parents of children rated that ADHD inclination does not so much matter with school year of children but the teachers did that the first-grade children have higher ADHD inclination.
Thirdly, the rating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for 18 questionnaire showed statistically a similar correlation results(.20 ~.37). In case of a result of the Paired-t test, it showed that the teachers rated higher ADHD inclination against the children than their parents did.
Out of sub-factors,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showed a significant and similar correlation result statisti- cally.
Therefor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dat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ully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ADHD for parents of children and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guidance counselling for ADHD inclined children at the schools, and will help out to narrow their gap of perspectives on the assessment of ADHD inclined children as well as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to improve children' mental health.
급격한 사회 변화와 가치관의 혼란 속에 최근 초등학교에서는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2005년 학부모 면접을 통해 소...
급격한 사회 변화와 가치관의 혼란 속에 최근 초등학교에서는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2005년 학부모 면접을 통해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역학조사를 처음 실시한바 있는데 당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정신보건사업 대상 질환 가운데 우선 1순위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였다(서울시학교보건진흥원, 2006). 이에 서울시에서는 2008년 44개교 1, 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ADHD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선별검사를 실시했다. 학부모만을 대상으로 한 선별검사 결과로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2차 면접 대상 아동을 선정했으나 다수의 교사들이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이었다. 이는 학부모와 교사간의 아동 행동 평가의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학부모 평가에 의해 선별된 ADHD 경향성이 있는 아동들도 2차 검사에 많이 참여하지 않아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실시하려던 ADHD 아동 조기선발과 예방대책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개입이 필요한 ADHD 아동들은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초등학교는 아동 공교육의 시발점으로서, 효과적인 아동지도에 있어서 학부모와 교사의 협력적이고 일치적인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ADHD 아동평가에 대한 부모-교사의 평가차이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평가차이가 존재한다면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를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학교현장에서 일어나는 아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평가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교사가 평가한 초등학생 ADHD 경향성의 성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부모와 교사가 평가한 초등학생 ADHD 경향성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부모와 교사 간에 K-ARS 척도의 문항이 얼마나 일치적인지 확인하고자 K-ARS 척도의 상관관계 및 차이를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A구에 소재한 3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1, 4학년 학부모와 담임교사들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ADHD 평가척도(K-ARS)는 학부모-교사간 동일 문항으로 평가의 차이를 알 수 있는 최초의 평가지이다.
수합된 학부모와 교사 평가지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SAS 9.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초등학생 ADHD 경향성의 성별,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응답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본 뒤에 t-검증을 실시했고, 학부모-교사간의 평가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 평가간의 일치도에 대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평가의 차이에 대해서는 Paired-t 검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ADHD 경향성에 있어 학부모, 교사 모두 남아(男兒)가 높다고 평가했다. ADHD 하위요인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도 모두 남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ADHD 경향성과 하위요인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충동성에서 학부모들은 학년 간에 큰 차이를 못 느낀다고 평가했으나 4학년 학부모들은 교사보다 ADHD 경향성을 더 높게 평가했다. 1학년 보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아동 행동을 평가 하는데 객관성이 생김을 의미한다. 교사들은 학년별로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으며, 1학년의 ADHD 경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했다. 유아기에는 산만한 편이라 치부해 버릴 수 있으나 학교에 들어가면 그 증세가 확연히 들어나고 다른 아동과 비교되기 때문에 교사들은 1학년 아동의 경향성을 높다고 평가한 것 같다.
셋째, 학부모 교사간의 평정은 18개 문항에서 상관계수가 .20~.37까지 나타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다. Paired-t 검증 결과로는 대상 아동에 대해 학부모보다는 교사들이 ADHD 경향성을 높게 평가했다. 하위요인 중 과잉행동·충동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주의력결핍에 대해서는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ADHD는 학령기에 흔히 나타나고 최는 연구들을 통해서 유병율이 2~18%로 보고되고 있으나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아직까지 생소한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교사들은 ADHD 원인이 선천적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산만하다는 주관적인 견해만으로 아동을 ADHD라고 단정 짓고 있다.
부모들은 아이들의 문제 행동에 대해 아이가 아직 어려서 산만하고 충동적이라고 생각하며 장애라고까지 생각하지 않고 무시하는 경향이 많다. 그래서 아동의 문제를 심각하게 이야기 하는 교사의 말을 인정하기 보다는 문제의 원인을 교사에게 전가 시키고, 이로 인해 아동 행동을 적절히 평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학부모와 교사간 아동 행동에 대한 평가차이가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추후 부모와 교사의 일치적이고 협력적인 아동지도방법이 모색 되어야 한다. 학교에서나 집에서 아동을 일관성 있게 지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가정에서 별 다른 야단을 맞지 않는 행동이 학교에 와서 문제가 되고, 교사에게 계속 야단을 맞는다면 아동은 매우 혼란스러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기 초에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ADHD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가 필요하며, 아동 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를 좁혀 나갈 다양한 방법의 상담이 필요하다. 입학 후 문제 행동이 많이 드러나는 1학년 교사와 학부모 에게 더 더욱 연수의 기회가 많아야 할 것 같다.
학부모와 교사 간에 서로 신뢰 할 수 있고, 학교와 가정에서 서로 일치된 교육이 이루어 질 때 ADHD 아동은 행동변화가 있게 되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부적응 아동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