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代 仕女畵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여성에 대한 기준과 미감은 시대가 변화하면서 바뀌어 왔으며, 仕女畵는 각 시대별로 여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 및 가치, 그 시대적 인식에 따른 변화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어 주목된다. 淸...

여성에 대한 기준과 미감은 시대가 변화하면서 바뀌어 왔으며, 仕女畵는 각 시대별로 여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 및 가치, 그 시대적 인식에 따른 변화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어 주목된다. 淸代(1644~1911) 仕女畵는 宮廷의 여인들이나 閨秀層과 같은 상류층 여성들은 물론이고, 妓女·姬妾들을 비롯하여 문학 및 설화·고사 속의 여인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여인들이 다채롭게 그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청대에 제작되었던 사녀화들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작품들을 고찰하여, 시기마다 유행했던 작품들의 경향을 분석하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성은 머리말과 맺음말을 제외하고 크게 5章으로 구분하였는데, 작품을 살펴보기에 앞서 그 배경이 될 II장에서는 사녀화라는 용어에 대한 기원과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사녀화라는 용어는 원래는 궁중의 여인이나 상류 사회 여인의 한가로운 생활모습을 그린 그림을 의미했지만, 점차 의미가 변하여 현재 중국에서는 궁정 여인 외에도 지식인 여성·기녀·역사·신화·문학 속의 여인들이 모두 포함된,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명말청초부터 지식인들에 의해 쓰여진 傳記, 詩歌, 小說, 版畵集 등 여성 관련 文學·筆記書들은 청대에 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았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 시기에 다양한 내용의 사녀화가 제작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청대에 쓰여진 여성에 대한 다양한 글들은 남성들의 시각에서 여성을 바라본 것이다. 명말청초부터 主情主義적인 견지에서 여성을 바라보던 지식인들은 그녀들의 才藝를 긍정하고 미색에 있어서도 각자의 개성을 강조하였다. 그들에게서 여성의 신체를 바라보는 유희적인 시선은 분명 존재하였지만 적어도 여성에게 유교적인 덕목만을 강조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이들 지식인들은 유교적 체제의 강요와 억압이 극심해져가던 청말에 여성에 대한 동정론과 함께 문학 작품으로 이에 대한 거부감을 표하기도 했다. 사녀화에 대해 살펴 볼 다음의 4개의 장은 편의상 작품 변화의 흐름에 따라 그 시기를 明末淸初 · 淸代 中期 · 淸代 後期 · 淸代 末期~民國 初期로 구분하였다. III장은 明末淸初 강남의 지식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받았던 기녀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 시기 기녀들의 이미지가 어떠했는가를 작품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명말에는 蘇州·南京과 같은 강남의 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유흥문화가 성행했으며 당대의 유명 지식인들과 기녀들의 로맨스가 세상에 회자되었다. 이 시기 지식인들이 쓴 글들은 대부분 기녀를 전형적인 美人의 모델처럼 설정하고 쓴 글들이 많았다. 그림 속에서도 기녀들은 지식인들의 동반자로서 다양한 재능을 지닌 藝人으로 표현되었는데, 정확히 기녀를 그린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청초에 제작된 많은 사녀화 속에서 명말청초 기녀들의 이미지가 반영되었다. 청대 중기의 사녀화를 다룰 IV장에서는 청 중기의 경제적 발전에 따라 과시적이고 소비적인 경향이 사녀화 및 당시의 회본삽도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청대 중기는 경제적·물질적 번영이 극에 달했던 시기였는데, 이 시기의 문화는 지식인들을 비롯, 鹽業으로 큰 부를 축적했던 상인 세력에 의해 주도되었다. 지식인들의 문화를 공유하고자 했던 상인들의 완상취향은 결국 소비적인 경향으로 치달았다. 이러한 경향이 청대 중기 사녀화에서도 나타난다. 성적인 것을 연상시키는 소품들을 비롯하여 호사스러운 가구와 화려한 실내 묘사는 청대 중기 문화가 과시적이고 세속적인 경향으로 흐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청대 중기에 강남에서 유행하던 기녀들과의 유흥문화와 서화·골동품에 대한 과시적인 취향 등은 궁정 사녀화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V장에서는 청대 후기의 사녀화에 보이는 여성의 柔弱美에 대해 고찰하였다. 19세기의 사녀화는 화면 여백에 唐·宋代의 詩詞를 적어 넣어 詩的인 분위기를 강조했으나 주제들이 春情, 그리움, 쓸쓸함, 버림받음과 같은 비련에 찬 주제들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情調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한 서정성적인 자연 補景이 선호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련미가 강조된 연약한 여인의 모습이 도식적으로 그려지는 ‘病態美’가 반영된 그림들이 화가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또한 청대 후기에는 改琦(1774~1828)와 費丹旭(1802~1805)을 중심으로 한 화가들 사이에서 유사한 주제들과 도상의 양식들이 공유되었는데, 이러한 경향들은 청대 후기에 유행하던 판화집과의 연관 속에서 생겨난 것으로 짐작된다. 판화집들은 중국의 역사·설화·문학 속에 나오는 여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그 모습들을 싣고 있는데, 판화 속 도상들은 화가들의 작품과 형태와 구도가 매우 유사하여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양식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마지막 VI장은 청말 上海를 중심으로 등장한 복고적 경향의 사녀화와 근대적 여성의 이미지라는 두 가지의 상반된 양상에 대해 살펴 보았다. 상해의 海派 화가들은 대중들이 좋아할만한 설화 속 이야기를 바탕으로 陳洪綬(1598~1652)를 임모한 복고적이고 장식적인 사녀화를 그렸다. 이들의 그림은 전통에 바탕을 두면서도 대중적인 취향이 고려된 것으로, 전통 사녀화의 명맥을 참신하게 계승했다. 이와 달리, 吳友如(1850~1893)를 비롯한 화가들은 시대성이 나타난 여성 풍속에 대해 묘사했는데, 오우여의 『飛飛影閣畵冊』 속에 등장한 근대적인 여성은 청말 기녀들의 이미지들을 비롯하여 변화된 시대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근대의 광고화인 月份牌畵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은 근대적인 이미지이지만, 자세나 배경 등에서 완전히 청대 사녀화의 전통을 벗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월빈패화에도 새롭게 등장한 사진, 석판인쇄와 같은 대중 매체들을 활용하여 자신들을 적극 홍보하고, 이를 통하여 새롭게 모던 걸로 떠오른 청말 기녀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었다. 중국의 인물화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미약했던 사녀화는 청대에 들어오면서 수량도 증가하고 다양한 여성의 모습들이 그려져 회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청이라는 큰 시대 속에서 사녀화의 변화를 고찰해 보는 것은 현재 진행 중이거나 혹은 차후에 진행될 우리나라 및 일본의 미인화의 비교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