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稷祭에 關한 一考察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가의 존망과 백성의 생활을 보장 하는 것 또한 토지와 곡식이다. 따라서 고대 중국에서부터 사직단(社稷壇)을 만들어 사직제(社稷祭)를 봉행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삼국시대(三國時代)부...

국가의 존망과 백성의 생활을 보장 하는 것 또한 토지와 곡식이다. 따라서 고대 중국에서부터 사직단(社稷壇)을 만들어 사직제(社稷祭)를 봉행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사직제(社稷祭)를 봉행하여 왔다. 사직제는 국가제사의 대사(大祀)에 속한 것으로 고려시대 성종 10년에 직선을 세워 제사를 하게 하였고, 조선시대 태조4년에 사직단(社稷壇)을 영조하였으며, 세종12년(1430) 단유체제를 양유체제로 확립하고, 세종14년(1432) 9월 사직단(社稷壇)을 양단으로 분리하였다.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 대한제국이 선포되면서 사직단(社稷壇)에서 모시던 국사(國社)·국직(國稷)의 신위를 태사(太社)·태직(太稷)으로 높여 신주를 개제하여 봉안하였던 것이다. 그 후 1909년 일제는 전통문화의 말살정책으로 사직단(社稷壇)을 사직공원으로 만들고 사직제도 철폐하였다. 그러나 서울시와 종로구청에서 철폐된 사직단(社稷壇)을 1988년 9월 21일 복원하여 다시 사직제를 봉행하여 오다가 2000년 10월 19일 중요 무형문화제 111호로 지정을 받아 그 명맥을 계속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사직단(社稷壇)의 공간적 구성을 보면 사단(社壇)에는 국사(國社)의 신위를 남편에서 북편을 향하여 안치하고 후토(后土)의 신(神)을 동향하여 배향하였으며, 직단(稷壇)에는 국직(國稷)의 신위를 남편에서 북편으로 향하여 안치하고 후직(后稷)의 신(神)을 동향하여 배향하였다. 이것 또한 음양오행에 의하여 배향한 것으로 보인다. 사직제의 설행에 발현된 음양오행은 악(樂)·가(歌)·무(舞)의 관한 사직제(社稷祭)는 지기(地祇)에 대한 제사이므로 악(樂)·가(歌)·무(舞)는 등가에서 양률인 태주궁, 헌가에서 음려인 응종궁을 주로 사용하여 음양합성지제를 실현하였다. 사직제의 진설에 관한 음양오행은 설치하는 도구, 진설하는 방향, 국왕 및 관리가 서 있는 자리 등 모든 것들이 음양에 맞추어 진설되고 있다. 사직제(社稷祭)는 나라의 가장 중요한 행사이며,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훌륭한 전통문화임을 인식하고 후손들은 사직제의 앞날에 발전과 보존을 위하여 계속적인 연구를 함으로 해서 계승 발전시킴이 우리가 할 일인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earth and grain that secures the existence of a nation and life of the people. Therefore, Sajikdan was created from ancient China and Sajikje was conducted. Sajikje praying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welfare of the people started in Korea s...

It is earth and grain that secures the existence of a nation and life of the people. Therefore, Sajikdan was created from ancient China and Sajikje was conducted. Sajikje praying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welfare of the people started in Korea since the period of the Tree States. Sajikje is one of the significant rites of the nation. On 10th year of King Seongjong in Goryeo, the altar was built for the rites, and Sajikdan was built on the fourth year of King Taejo in Joseon Dynasty. On the twelfth year of King Sejong (1430), the Danyu system(walled site of rites) was change to Yangyu system (multiple sites), and Sajikdan was separated to two sites on Septeber of 14th year of King Sejong (1432). On October 12, 1897(first yar of Gwangmoo), Korean Empire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all the ancestral tablet of Sajikdan, the Guksa, Gukjin were elevated as Taesa, Taejik. Then, in 1909, due to Japanese cultural erasure policy, Sajikdan was turned into Sajik Park and Sajik system was abolished. However, Seoul city hall and Jongro-gu office restored Sajikdan on September 21, 1988 and conducted the rites. On October 19, 2000 it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111 and is kept alive. As for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Sajikdan, the ancestral tablet of Guksa is enshrined on Sadan toward North, oriented God of Huto toward East, while on Jikdan, the ancestral tablet of Gukjik is enshrined from South to North, and oriented God of Hujik toward East. This orientation is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Yin-Yang five elements displayed in Sajikje about Ak(music), Ga(song). and Moo(nothing) is a rites about Jigi. Ak, Ga, and Moo mostly use Taejugung, the yang in Deungga, and Eungjonggung, the yin in Heonga and realized the ritual of yin and yang. Yin-Yang five elements about the table arrangement of Sajikje is all arranged based on yin and yang from the installing tool, arranged direction, standing spot of king and mofficials. Sajikje i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the nation, the precious cultural heritage that we should not forget, a magnificent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develop and preserve Sajikje, we must continue the study to succeed and develop as the descendant.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