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텃밭 가꾸기 활동 여부에 따른 유아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 및 영양지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임교사 설문과 유아 면접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본 연구에서는 텃밭 가꾸기 활동 여부에 따른 유아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 및 영양지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임교사 설문과 유아 면접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텃밭 가꾸기 활동에 비중을 두고 꾸준히 실시해 온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중 시립 S어린이집(80명)과 민간 K어린이집(40명)의 재원 중인 만 4, 5세 120명과 텃밭 가꾸기 에 비중을 두지 않은 민간G어린이집(20명), U어린이집(30명), K어린이집(20명), S유치원(20명), C유치원(30명)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1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비교연구를 위해 각 유아교육기관에서 3월에 입학하여 재원하고 있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이후 입학한 유아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검사도구로 식습관 조사를 위해 강난기(1998)의 선행연구들과 관련문헌을 참고하여 이연주(2014)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식품기호도 검사를 위해 정은숙(2000)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를 기초로 하여 만 4, 5세 유아가 검사문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실사자료, 표정자료를 제작하여 교사-유아가 1:1 면접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또 유아의 영양지식 검사를 위하여 미국 전국낙농협회(National Dairy Council)와 아이오와 주립대학(Iowa State University)이 공동으로 개발한 유아용 영양지식 검사지(Nutrition Achievement Test)를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홍연홍(2014)의 유아용 영양지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6주에 걸쳐 설문 및 회수를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기초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텃밭 가꾸기 활동 여부에 따른 식습관의 차이 분석 결과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한 유아가 실시하지 않은 유아 보다 위생 인식, 식사예절, 식사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텃밭 가꾸기 활동 여부에 따른 식품기호도의 차이 분석 결과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한 유아가 실시하지 않은 유아 보다 육류 및 콩류에 대한 식품기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밖에 유아의 텃밭 가꾸기 활동여부에 따른 곡류 및 전분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 유지, 견과, 당류, 과일류, 어패류에 대한 식품기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텃밭 가꾸기 활동 여부에 따른 영양지식의 차이 분석 결과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한 유아가 실시하지 않는 유아 보다 영양문제, 영양소, 특별한 음식에 대한 영양지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식습관, 식품기호도, 영양지식에 대한 긍정적 향상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따라서 유아의 긍정적 식생활 문화와 태도를 위해 지속적인 텃밭 가꾸기 활동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하여 운영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hildren's eating habits, food preference and nutrition knowledge depending on whether they do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survey for their teachers and interviews of children were performed. Subjects...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hildren's eating habits, food preference and nutrition knowledge depending on whether they do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survey for their teachers and interviews of children were perform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children of age 4∼5 who go to municipal S preschool(80 children) and private K preschool(40 children) located in Gyeonggi-do, which are involved in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Regarding subjects who go to preschools that do not focus on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120 children of age 4∼5 who go to private G preschool(20 children), U preschool(30 children), K preschool(20 children), S preschool(20 children) and C preschool(30 children) were selected. Thes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elected children started their preschools in March, and those who started after March were excluded from the subjects. Regarding tools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that Yeonju Lee(2014) revised and compensated referring to precedent studies of Nanki Gang(1998) and related literature was used. For test of food preference, actual inspection data and facial expression data were made for children of age 4∼5 to easily understand, based on the inspection tool that Eunsuk Jeong(2000) used for food preference test in the precedent study, and then teachers and children did man to man interview survey. For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test, the study used the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test tool that Yeonhong Hong(2014) developed by revising and compensating Nutrition Achievement Test co-developed by US National Dairy Council and Iowa State University. The survey was done from September 5 to October 14, 2016.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eating habits depending on whether children do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showed that the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had higher hygienic awareness, eating etiquette and eating attitude than those were no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ood preference depending on whether children do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showed that the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had higher preference in meats and beans than those who were no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ood preference of grains, starch, vegetables, milk and dairy products, oil, nuts, sugars, fruit and seafood.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nutrition knowledge depending on whether children do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showed that the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had higher nutrition knowledge of nutrition problems, nutrients and special foods than those who were not.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positive effects of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about children's eating habits, food preference and nutrition knowledge, so there is implication of necessity of operating continuous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for children's positive eating culture and attitud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