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 民畵 작가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조선 후기부터 우리 선조들의 생활공간을 장식하며 대중화되었던 민화는 해방 이후의 침체기를 거쳐 최근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했다. 본고에서는 20세기 후반 민화 작가들이 화단에 대거 ...

조선 후기부터 우리 선조들의 생활공간을 장식하며 대중화되었던 민화는 해방 이후의 침체기를 거쳐 최근 두 번째 전성기를 맞이했다. 본고에서는 20세기 후반 민화 작가들이 화단에 대거 등장하면서 종전의 제품 제작자 또는 장인 이미지를 벗고 작가로 활동을 시작하게 되는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이 되었던 민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 증가 및 예술계 전반에서 일었던 민화 차용 유행 현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성장해온 현재 활동 중인 민화 작가들의 초기 계보를 밝히고 20세기 후반의 활동을 규명하였다. 20세기 후반 전통민화 수집의 인기와 가격 상승은 현대민화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과 작품 판매에 있어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민화는 특히 상업적으로 이용되면서 친숙한 이미지로 대중화되었는데 이는 대중의 생활공간에 민화가 파고 들어가면서 민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관심 유도를 촉진하여 20세기 후반 민화에 대한 사회·경제적인 후원으로 작용했다. 예술계에서도 민화 차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민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회화와 기타 예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1990년대에 이르러 민화 차용이 크게 유행하면서 전성기를 이루었다. 따라서 20세기 후반의 민화 차용은 몇 몇 분야 소수 작가의 철학이 아닌, 예술계 전반에서 일어났던 현상으로 파악되어야 하며 이는 민화 작가들이 화단에 등장하여 활동할 수 있었던 문화적 기반으로 작용했다. 초기 민화 작가들의 계보는 크게 4개의 라인으로 분류되며 일봉 왕사조, 육재수, 춘원 정수희, 고안 김만희를 시작으로 한다. 특히 왕사조 라인은 1980년대 초까지 주로 공방을 운영하며 도제식 교육을 통해 제자를 양성하였고 이후에는 공모전에 출품하거나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화단에 본격적으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초기 민화 작가들은 일반인 중 특히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는 민화 실기 강좌에도 눈을 돌려 제자 양성에 힘을 쏟았다. 1970년대 후반에 시작된 민화 실기 강좌는 1980년대 초기에 공방을 닫은 민화 작가들이 대거 합류하면서 증가하였고, 1990년대에 이르러 모집 단체가 늘어나면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강좌를 통해 수많은 작가들이 배출되면서 민화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1970년대에 전시를 열었던 초기 민화 작가로는 김만희와 왕사조가 있다. 1980년대를 거치며 다양한 민화 작가 조직이 형성되었고 특히 한국민화연우회, 전통한국화회, 나정태, 이규완, 정하정이 주도했던 《민화 오늘의 시각과 방법전》에서 창작민화를 선보이면서 현대민화가 서서히 제품이 아닌 작품으로의 이미지 변신을 하게 되었다. 이후 1990년대를 거치며 새로운 단체들이 형성되었는데 특히 민화 강좌의 역사가 10년이 넘어가면서 사제관계를 중심으로 다수의 단체가 형성되고 다양한 전시와 활동을 펼쳐나가면서 수강생들이 작가로 성장해나갔다.

Minhwa(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 that was once popularized by decorating the Korean ancestors’ living sp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enjoying its second golden age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genealogy of the Kore...

Minhwa(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 that was once popularized by decorating the Korean ancestors’ living sp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enjoying its second golden age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genealogy of the Korean Minhwa artist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late 20th century. Also,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of Minhwa artists making their debut as painters, apart from the past image of being producers of goods or artisans, were included. Popularity in traditional Minhwa collecting and price rise of the art pieces have an indirect connection with the formation of positive image of contemporary Minhwa. Especially, Minhwa became popular through the commercial utilization, which acted as the social and economic support for the Minwha of the late 20th century. Minhwa was also utilized in creating new art pieces by various artists and the tendency marked the culmination in the 1990’s both in painting and other art field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Minhwa in art of the late 20th century needs to be understood as a trend in general, not as values of a few artists in some art fields, and it acted as cultural and psychological backgrounds for Minhwa artists to make their debut as painters. The genealogy of early contemporary Minhwa artists begins from 4 different people, Wang Sa-jo, Yook Jae-su, Jung Su-hee, and Kim Man-hee. The artists of the Wang’s line managed commercial workshops where they produced contemporary Minhwa as products rather than art pieces and trained pupils in traditional ways until the 1980’s, after which they became professional painters. Also, the early contemporary Minhwa artists opened Minhwa classes to teach common people especially housewives Minhwa drawing skills. Minhwa classes that started in the late 1970’s increased as the Minhwa artists closed their commercial workshops and joined in the early 1980’s and reached a peak in the 1990’s. The population of Minhwa artists greatly increased through these classes. The early contemporary Minhwa artists who held an exhibition in the 1970’s are Kim Man-hee and Wang Sa-jo. In the 1980’s, various organizations of Minhwa artists were formed. Especially The Korean Minhwa Yeonwoo Associatio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ssociation, and the three artists, Na Jung-tae, Lee Kyu-hwan, Jung Ha-jung, who held the series exhibitions of Minhwa, the vision and method of today, introduced creative contemporary Minhwa, which challenged and corrected the public prejudice against Minhwa being merely a product. New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1990’s especially among mentors and disciples, and the trainees grew to professional artists as the history of Minhwa classes had been over 10 year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