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致昊의 『우순소리』 저본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o find the original script of “Usunsori” I searched figures who contacted Yun Chi-Ho thoroughly based on his journal in this research. George R. Loehr who was a teacher of Anglo Chinese College was confirmed as an author of HaeHoonYooSul(孩訓...

To find the original script of “Usunsori” I searched figures who contacted Yun Chi-Ho thoroughly based on his journal in this research. George R. Loehr who was a teacher of Anglo Chinese College was confirmed as an author of HaeHoonYooSul(孩訓喩說) which is the one of translated Aesop's Fables by western authors under the influence of EuSeupYooUn(意拾喩言) made by Robert Thom, and he is the same person with Brother Loehr on Yun's journal frequently and also belonged to the same Anglo Chinese College. I investigated Yun's journal in his Anglo Chinese College period and Jwaong Yun Chi-Ho Letters(佐翁尹致昊書翰集) in detail to find out the influence to translation of “Usunsori” by confirming George R. Loehr who is an author of HaeHoonYooSul(孩訓喩說) and Brother Loehr on Yun's journal is same person. As a result, Brother Loehr and George R. Loehr had been confirmed as the same person, and Yun's teacher George R. Loehr wrote HaeHoonYooSul(孩訓喩說) on 1900, student Yun Chi-Ho published “Usunsori” on 1908. George R. Loehr wrote HaeHoonYooSul(孩訓喩說) earlier and he acted as a catalyst to the birth of “Usunsori” as his teacher. And the dean of Anglo Chinese College Young John Allen let student Yun Chi-Ho to be exposed to Aesop's Fables naturally by publishing ManKookGongBo(萬国公報 The Chinese Globe Magazine) With reviewing translation trend of EuSeupYooUn(意拾喩言) by Robert Thom which is presumed to be one of original script and “Usunsori”, I tri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ranslation under each periodic background. As a result, compared to EuSeupYooUn(意拾喩言) which was made in Sinicized Aesop' fables of Chinese education for western people, “Usunsori” by Yun Chi-Ho was wrote for the enlightenment of majority of people by translation in radically changing environment among Japan, China, Western powers. But even though they had different purpose, Yun Chi-Ho eventually translated to let readers contact author directly without any interference as possible as EuSeupYooUn(意拾喩言) by Robert Thom. Also I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Usunsori”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eHoonYooSul(孩訓喩說). Robert Thom in 1840, George R. Loehr in 1900, Yun Chi-Ho in 1908 used translation method with their own message to deliver depending on each periodic environment and their social status. As we can see, translation is not just translation itself equivalence to it but also we can understand messages which it delivers enough when understood at wider point of view including language, culture and periodic background.

1908년 윤치호에 의해 제작된 『우순소리』는 20세기 초 조선의 번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작품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그 저본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분명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

1908년 윤치호에 의해 제작된 『우순소리』는 20세기 초 조선의 번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작품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그 저본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분명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번역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 인물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순소리』의 저본을 찾기 위해 3단계에 걸쳐 조사하였다. 첫째, 윤치호의 일기와 『(국역) 佐翁 윤치호 서한집』등을 바탕으로 윤치호가 접촉한 인물들을 면밀히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윤치호의 『우순소리』는 다수의 이야기가 『의습유언(意拾喩言)』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을 참고하여 집필되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우순소리』는 선교사와 중서서원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근거로 먼저 중서서원의 교사이자 목사 조지 알 로에(Rev. Geroge R. Loehr)가 상해상무인서관(上海商務印書館)에서 로버트 톰의 『의습유언(意拾喩言)』을 저본으로 우화집 『해훈유설(孩訓喩說)』를 출판했다는 점과, 윤치호의 일기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인물인 「Brother Loehr」와 조지 알 로에는 동일 인물로, 윤치호의 스승이자 먼저 『이솝우화』를 번역한 번역가로서 『우순소리』의 집필에 촉매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중서서원의 학장 알렌이 창간한 「만국공보(萬國公報)」로 『의습유언(意拾喩言)』의 우화들을 정기적으로 게재함으로써 당시 학생이었던 윤치호는 자연스럽게 우화들을 접했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마지막으로 『의습유언(意拾喩言)』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해훈유설(孩訓喩說)』과 『우순소리』에는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스토리가 총10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솝우화』 중 현존 선본(先本)인 『그리스 본』에 기인하여 『우순소리』의 내용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그 조사를 바탕으로 로버트 톰의 『의습유언(意拾喩言)』, 조지 알 로에의 『해훈유설(孩訓喩說)』, 와타나베 온의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 『우순소리』를 각각 비교 분석하여 그 저본을 추적하였다. 먼저 『의습유언(意拾喩言)』과 『우순소리』를 비교 검토한 결과, 『의습유언(意拾喩言)』의 개정판 『이사보유언(伊沙菩喩言)』에는 종교적 신화적인 이야기가 대폭 생략되어 출판되는데, 그 생략된 이야기가 『우순소리』에 번역되어 재등장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윤치호는 『이사보유언(伊娑菩喩言)』등과 같은 개정판을 본 것이 아니라 직접 『의습유언(意拾喩言)』를 보고 『우순소리』를 집필했을 개연성이 크다고 보았다. 또한 『의습유언(意拾喩言)』과 『우순소리』가 제작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번역 경향을 비교한 결과, 번역의 원 목적은 서로 달랐지만, 윤치호는 로버트 톰과 같이 “가능하면 독자에게 간섭하지 않고 작자가 독자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으로 번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해훈유설(孩訓喩說)』의 구성과 특징을 조사하여 『우순소리』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해훈유설(孩訓喩說)』은 『우순소리』가 창작되는 과정에 모티브가 되는 이야기를 제공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 『우순소리』를 비교 분석한 결과,『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는 토마스 제임스의 『이솝우화』를 일본어로 초역(抄譯)이고, 『의습유언(意拾喩言)』의 저본은 로저 러스트레인지 경의 영역으로 각각 그 저본이 다르고, 『우순소리』의 번역 방식도 『의습유언(意拾喩言)』과 비슷하며,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조사에 근거하여, 『우순소리』는 『伊娑菩喩言』와 같은 개정판이나 와타나베 온의 『통속이소보물어(通俗伊蘇普物語)』를 보고 번역했다기보다는, 『의습유언(意拾喩言)』을 직접 보고 참고했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볼 수 있다. 1840년의 로버트 톰, 1900년의 조지 알 로에, 1908년 조선의 윤치호는 눈에 보이지 않는 ‘価値’를 통해 각자의 시대적 상황과 자신들의 신분에 맞춰, 각자의 목적에 따라, 번역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번역을 단순한 형식적 등가의 개념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언어의 문제뿐만 아니라 문화와 시대적 배경까지 포함해서 광범위한 시점에서 작품을 볼 때 그것을 제작한 이가 전하고자 하는 진정한 메시지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